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라벨이 사드인 게시물 표시

'종교는 민중의 아편'이란 말은 마르크스만 한 말일까?

※이 글은 얼룩소 글(23.6.22)을 옮겨온 것입니다. ━━━━━━ ♠ ━━━━━━ 저는 출처 오귀인에 많은 관심을 갖고 있습니다. 소문이나 가짜 뉴스를 사람들이 사실로 믿는 현상을 통해서 인간이 신화와 종교를 만들어 향유하는 방식을 짐작해 볼 수 있기 때문입니다. 지난 번 에 마르크스의 '종교는 민중의 아편이다'라는 말의 참 뜻을 살펴본 김에 이 표현이 과연 마르크스의 순수 창작물로 볼 수 있는지 살펴보겠습니다. https://famosos.culturamix.com/historicos/karl-marx 칼 마르크스의 반종교적 입장을 단적으로 보여 주었던 ‘종교는 대중의 아편’이라는 표현은 너무나도 성공적이었기 때문에 그 이전의 사용자들을 떠올리는 것이 낯설게 느껴집니다. 그렇지만 비슷한 표현이 사용된 이전 사례는 많았습니다. 하인리히 하이네와 모세 헤스, 출처: 위키피디아 하인리히 하이네(Heinrich Heine, 1797-1856)와 모세 헤스(Moses Hess, 1812-1875)라는 사람도 비슷한 말을 한 바 있습니다. (하이네는 괴테 시대에 활동한 시인으로 신랄한 풍자와 허무주의적인 작품을 많이 남겼다고 합니다. 헤스는 마르크스와 같이 《라인 신문 Die Rheinische Zeitung 》을 만든 바 있는 인물입니다.) 하이네는 “종교를 갖게 된 걸 환영한다. 종교는 고통 받는 인류의 쓰디쓴 잔에 영적 아편 의 달콤하고 최면적인 음료와 사랑과 희망 그리고 신앙의 음료를 붓는다”(1840)고 말했으며, 헤스는 “ 종교는 … 아편이 고통스러운 병에 도움을 줄 수 있는 것처럼 같은 방식으로 … 농노 신분의 불행한 의식을 견디도록 만들어 줄 수 있다”(1843)고 말한 바 있습니다. *  *  Löwy Micheal, The war of gods: religion and politics in Latin America , London; New York: Verso, 1996, p.5. 마이클은 “동일한 문구를 다양한 맥락...

연이은 티스토리의 검열, 전화위복으로 만들 방법 고민

티스토리에서 '청소년 유해 정보'로 또 하나의 글을 블라인드 처리했다. 블라인드 처리된 글은 "오늘날 사드의 문제작 《소돔의 120일》을 읽는다는 것은"이라는 글이었다. '소돔의 120'의 개략적인 내용과 그 의미를 정리해 본 글인데, 이 글에 만레이의 '사드의 기념비(Monument to D.A.F. de Sade, 1933)와 이 책의 영화화 버전인 '살로 소돔의 120일'의 포스터가 있었다. 사드 책의 내용을 다룬다는 점, 그리고 만 레이 작품과 살로 포스터가 실려있다는 점 때문에 '청소년 유해 정보'로 판단을 받은 것 같다. 그렇게 추정할 수밖에 없는 것은 티스토리는 해당 조치 통보 메일에 관련 정보를 전혀 제공하지 않기 때문이다. 선정적인 작품이긴 하지만 엄연히 문학 작품에 대한 이야기마저 '유해'하니 하지 마라. 이런 식으로 판단하고 '영구적으로 이용 제한 되니 조심해' 이렇게 경고하니 어처구니가 없다. 긴 시간 해당 블로그에 여러 글을 작성해 왔는데, 그 글들을 인질 잡힌 기분이 들었다. 응당 이의제기를 했다. 문학작품, 예술작품 이야기한 것을 어떤 기준으로 유해정보로 판단하느냐, 문제가 있다고 하면 시정할 수 있는 기회를 주고 제재를 가해야 할 거 아니냐 이런 식으로 이의제기를 했다.  돌아올 답이 뻔할 것은 알고 있었지만. 이의제기를 해서 이 업체에서 받아들여진 것을 내가 경험한 적이 없으니. 답변도 이제까지 아주 메뉴얼에 입각한 형식적인 답변(거의 복붙 같은)만을 받아왔기 때문에, 인간적인 답변을 요구하기도 했다. 카카오의 이런 판단에 대해서는 동의하기 어렵다. 인간성의 어두운 면을 실험한 내용에 대해서 이야기를 할 수 없게 막아 놓는다니. 청소년 유해 정보를 막기 위한다는 미명하에 그저 정부의 규제에서 자유롭자 하는 기업의 대처 밖에는 되지 않는다고 생각한다. 청소년들이 사드의 '소돔의 120일'이나 그 영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