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라벨이 신년의례인 게시물 표시

절기, 시간의 마디와 의례 본능

‘크리스마스와 동지 축제’라는 타이틀의 시리즈물의 마지막 글이다. 이전 글까지 확인하려고 했던 것은 ‘크리스마스’가 동지라는 ‘시간의 마디’에 이루어지는 의례였고, 지금도 그 특성이 유지되고 있다는 것이다. 그 다음에 물을 수 있는 것은 '이런 시간의 마디에서 인간은 왜 의례 행동을 하는가'가 될 것이다. 동지 축제의 주요 요소라고 할 만한 것들이 ‘주술-종교적 목적의 행동’이라는 점을 지난 글( 핼러윈, 크리스마스, 만우절의 공통점 )에서 언급했다. 팥죽과 주술-종교적 위험 회피 우리의 동지 축제 때 관습으로 ‘팥죽 먹기’가 있는데, 그것도 동지 축제에서 많이 보는 주술-종교적 행동이다. 동지에 팥죽을 먹는 풍습에 대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의 설명을 보자. 동짓날에는 동지팥죽 또는 동지두죽(冬至豆粥)·동지시식(冬至時食)이라는 오랜 관습이 있는데, ... 팥죽에는 축귀(逐鬼)하는 기능이 있다고 보았으니, 집안의 여러 곳에 놓는 것은 집안에 있는 악귀를 모조리 쫓아내기 위한 것이고, 사당에 놓는 것은 천신(薦新)의 뜻이 있다. ... 동짓날에 팥죽을 쑤어 사람이 드나드는 대문이나 문 근처의 벽에 뿌리는 것 역시 악귀를 쫓는 축귀 주술행위의 일종이다. ‘악귀를 쫓는 축귀 주술행위’로 팥죽을 쑤어 먹는다는 것이다. 이런 동기는 이 풍습이 관습화되면서 많이 약화되고 새해에 떡국을 먹는 것처럼 ‘한 살을 먹는다’는 의미 정도로 축소되었다. 세계 도처의 ‘동지 축제 풍습’, 또 신년 의례를 보면 시간이 변하는 시점에 귀신이나 악령이 출몰하고 이들로부터 인간이 액, 살과 같은 좋지 않은 영향을 받을 수 있다는 관념이 폭넓게 퍼져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리고 그것을 막기 위한 모종의 행동(의례)을 수행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참고로 시간의 ‘경계’만큼이나 공간의 ‘경계’에서도 인간의 종교적 상상력은 활발히 작동한다. 그 대표적인 예가 누석단이다. 영어권에서는 cairn이라고 말하는 것이다. 새로운 공간으로 진입할 때 사람들은 민감하게 초자연적

핼러윈, 크리스마스, 만우절의 공통점

‘시간의 마디’에서 의례 행동을 하는 인간의 진화된 본성을 살피기로 했는데, 이 부분도 내용이 길어져서 두 부분으로 나눴다. 첫 번째는 ‘핼러윈, 크리스마스, 만우절의 공통점’에 대한 이야기다. 왜 크리스마스의 동지 축제적 특성을 살펴봐 왔는지 정리해 보기 위한 출발점이다. 종교적, 역사적, 자연적 층위들이 어떻게 복잡하게 어우러져서 종교적 관습—크리스마스—이 지금의 모습으로 보이는 것인지 살펴보는 작업의 마지막 부분이다. 동지 축제적 요소들 인간의 의례 행동은 종교 전통 속에서 너무 복잡하게 그려진다. 종교적으로 체계화된 어떤 세계관 혹은 어떤 종교적 사건을 기념하는 의미가 강조되다 보니 의례 행동은 종교적 믿음과 밀접하게 관련된 것처럼 비춰진다. 크리스마스가 동지 축제의 모습을 ‘동지’ 날짜와 이틀의 시간 차이가 있음에도 유지하고 있다는 점을 4편의 글을 통해서 살펴봤다. 크리스마스와 동지 축제(1) - 예수의 탄생일?  [ 블로그 ] 크리스마스와 동지 축제(2) - 기독교 초기 동지 축제의 크리스마스화는 실패였다  [ 블로그 ] 크리스마스와 동지 축제(3) - 기독교 시대의 크리스마스도 연말 잔치 느낌  [ 블로그 ] 크리스마스와 동지 축제(4) - 크리스마스는 타락한 적이 없다, 덧칠되었을 뿐  [ 블로그 ] 기독교적 의미가 두드러진 것처럼 보이지만 기독교 이전에도 기독교사 초기에도 중세에도 그리고 현대에 이르러서도 과거 동지 축제의 영향이 강력하게 유지되고 있다. ‘크리스마스’라는 이름과 ‘산타클로스’(성 니콜라우스를 떠올리지만 그는 엘프다)라는 이름에서 기독교적 외피를 찾아볼 수 있지만, 실제 이 시기의 축제 감각은 ‘시간의 끝과 시작’이라는 시간의 마디에서 의례를 요청하는 인간의 본능적 감수성과 더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는 게 드러난다. 동지 축제의 요소는 ‘떠들썩한 잔치, 자선, 베풂’을 생각할 수 있다. 이런 경향성은 지금도 두드러진다. ‘죽은 자/영혼의 출몰, 가면극, 액막이’ 등의 요소는 지금은 두드러지게 보이지 않는다. 다만 그런 주술-종

핼러윈 축제의 기원은 무엇일까? 역사 속에 감추어진 본능을 찾아서

만성절(All Saints' Day)로 알려진 핼러윈 * 이 머지않았다. 누가 귀신과 유령이 출몰하는 날로 믿을까만 21세기 유흥 소비 시장에서 여전히 각광을 받는 축제일이다. * 핼러윈(Halloween)의 한국어 표기에 대한 논란이 있다. 통상 '할로윈'을 많이 쓰나 '핼로윈'을 쓰기도 한다. 로마자 표기 규칙에 따르면 핼러윈이라고 한다. 참고1 , 참고2 . 한국 사람들에게 핼러윈은 그리 친숙한 축일은 아니지만 젊은 세대를 중심으로 향유하는 문화가 자리 잡아가는 것 같다. 핼러윈으로 떠들썩한 곳이 서울 등 몇몇 대도시의 주요 유흥가인 것으로 보면 말이다. 이 날의 기원이 무엇인가가 핼러윈을 기념하는 사람들의 관심사는 아니겠지만 호사가의 관심사는 될 수 있을 것이다. ─── ∞ ─── 핼러윈 축제는 고대 켈트족의 사우인(Samhain) * 축제에서 유래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기록에 따라서 '모닥불을 피우고 유령을 쫓기 위한 의상을 입는' 축제로 여겨지기도 하고, '무덤이 열린다고 여겨지는 날 모여서 축제하는 날'로 여겨지기도 한다. * 한국에서 이 발음을 '삼하인'으로 적는 경우가 많지만 본래 발음대로 적으면 '사우인'이다. 날짜로는 11월 1일(현대 달력 기준)을 말하는데, 통상 그 전날 밤부터 시작된다. 고대 켈트족 시간관은 해가 질 때 날짜가 바뀐다고 여겨졌기 때문이다. * 11월 1일은 '겨울의 시작' 혹은 '새해 첫 날'로 간주된다고 한다. 하루의 시작도 일몰 이후로 보니, 한 해의 시작도 겨울부터 꼽는 듯하다. ** * Ó hÓgáin, Dáithí. Myth Legend and Romance: An Encyclopaedia of the Irish Folk Tradition . Prentice Hall Press, 1991. p. 402.  ** 켈트족은 한 해를 빛의 반년과 어둠의 반년으로 나누었다고 한다. 어둠의 반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