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라벨이 표준어인 게시물 표시

'인터넷 때문에' 말이 바뀌고 있다?!

'인터넷 신조어'는 '언어파괴'로 규정되곤 한다.  출처: 알바콜 신조어가 불편하다고 말하는 사람들이 제법 된다. '한글 파괴'와 '세대차이'가 문제라고 지적하고 있다. 이런 불편한 감정을 쏟아내는 것은 대체로 40대 이상의 기성세대라는 것을 알 수 있다. 청소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를 보면, 분위기가 다르다. 출처: 시민의 소리, 청소년 대상 조사 시간이 흐르면, 지금의 언어 습관이 정상이 될 날이 오리라는 걸 충분히 예상해 볼 수 있다. 새로운 환경에서 새로운 언어 사용 습관과 새로운 말이 어떻게 만들어지고 있는가의 관점에서 이런 문제를 살펴볼 필요가 있는 것 같다.  최근에 본 〈인터넷 때문에〉라는 책은 이런 시각으로 인터넷 환경에서 우리의 언어가 어떻게 바뀌었는지 살펴본다.   '스낵 지식서'는 아니니 쉽게 읽을 수 있을거라 기대는 말라 그레츤 맥컬릭(Gretchen McCulloch) * 의 〈인터넷 때문에〉의 원제도 놀랍게도 'Because Internet'이다. 제목을 직역한 경우는 흔하지 않은데 놀라운 시도다. 왜냐면 책 제목이 입에 착 달라붙지 않기 때문이다. 부제는 원래의 부제와 다르게 갔다. 원래는 'Understanding the New Rule of Language'(언어의 새로운 규칙에 대한 이해)이다. 상당히 학술적 느낌이 강한 부제다. * 자신의 홈피 에 발음기호를 /ɡɹɛtʃn̩ məkʌlɪk/이라고 적어 놓았다. 다만 부르는 사람이 익숙한 발음대로 불러도 자긴 상관없다고 밝히고 있다. 영어권에서도 그녀의 이름을 제대로 불러주는 경우가 흔치 않은 것 같다. 자신의 이름 발음과 표기에 오해가 얼마나 많은지 자기 성(last name) 발음에 대해서 설명을 길게 해 놓고 있다( 참고 ). 책에서도 관련 언급을 볼 수 있다(74쪽). 번역서에는 '그레천 맥컬러'로 옮겼는데 영어권에서 통용되는 발음으로 보인다. 한국어 부제는

도매급과 도매금, 표준어 혹은 올바른 표현 규정의 문제

도매금(도매가격)이 맞는 표현이라는 썰을 들었다. 도매금은 사전에 나오지만 도매급은 사전에 나오지 않는다. 관용적으로 쓰는 표현, '도매급으로 넘기다'에서 '도매금'으로 가 더 상황을 명확하게 이해시킨다는 점에서 맞는 설명인 것 같다. 그런데 도매금에서 '도매급'이란 표현이 파생되고, '도매급'이 더 많이 쓰이는 상황이라면 '이 표현이 맞으니 저 표현을 쓰면 안 돼'라고 말하는 게 무슨 의미가 있을까 싶다. '도매금'은 '도매급'보다 발음도 불편하다. 게다가 '도매급'도 말이 된다. '도매'+'급( 級, 등급)'의 합성어로도 충분히 '정상적 표현'이라고 할 수 있다. '도매급 취급', ' 각각의   차이에도   불구하고   여럿이   같은   무리로   취급받음 '이라는 의미에 도매금보다는 도매급이 훨씬 직관적으로 이해된다는 장점도 있다. 참고로 구글링을 해 보면(22-9-23, 5:40 검색), '도매금'은 44,000건, '도매급'은 1,730,000건 정도의 결과를 보여준다.   왜 국어학자 등은 언어를 화석으로 만들고 싶어할까? 분명 언어의 사회성을 가르치는 사람들일 텐데. .   .   . '언어의 사회성'을 '...약속'으로 설명하는 건 '사회계약론' 같은 소설적 개념인 듯하다. 뭐 일상의 '약속'과는 다른 약속이라고 당연히 이야기하겠지만, 그런 표현을 쓰는 건 다분히 '변이'보다는 '고정된 것'에 초점을 맞추게 되는 것 같다. '국립국어원'의 '온라인가나다라'의 답변에 "개인이 함부로 바꿀 수도 없앨 수도 없는 공용물"과 "사회 구성원 간의 약속"이란 표현이 눈에 띈다. 시중의 신조어 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