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A Treatyse of the Newe India의 원출처를 찾아서

1553년 본 표지에서 '라틴어에서 영어로 번역, 리처드 이든(Translated out of Latin into Englishe. By Rycharde Eden)'에만 주목했었는데, 제목을 보면 이 책이 어떤 책을 저본으로 한 것인지 알 수 있다.

A treatyse of the newe India with other new founde landes and islandes, aswell eastwarde as westwarde, as they are knowen and found in these oure dayes, after the description of Sebastian Munster in his boke of universall cosmographie

세바스티안 뮌스터가 우주지리에 관한 그의 책에서 기술한 이후로 오늘날 알려지고 발견되는, 동쪽으로나 서쪽으로도, 다른 새로이 발견된 땅과 섬과 함께 새로운 인도에 관한 논의

뮌스터의 대표작이 Cosmographia(1544)이다. 지금으로 치면 '세계지리백과사전'쯤 될 것 같은 책이다. 1544년에 독어본이 출판되었고, 1550년 독어본 5판과 함께 라틴어 본이 출판되었다(참고). 이든이 참고한 책은 라틴어판이니까 바로 1550년 라틴어본이 저본이라고 할 수 있다(이든의 번역판이 1553년판이니까). 확인한 책은 1552년 바젤에서 출판된 버전이다(Basileae : apud Henrichum Petri, 1552)

이 책의 1099쪽을 보면,

"De Novis Insvlis, quomodo, quando & per quem"(새로운 섬들에 대해, 어떻게, 언제 그리고 누구에 의해)라는 제목을 볼 수 있다. 그림 아래에 콜럼버스의 1차 항해의 출발 과정과 출발 후 첫 기착지에 대한 그의 인상을 적고 있다.

'온화한 기후로 하늘의 축복을 받은 곳에서 원주민들이 religio도 부끄러움도 없이 벌거벗고 있다'는 내용이다.

영역자인 리처드 이든은 이를,

콜럼버스가 그곳에 처음 갔을 때, 그곳의 주민들은 부끄러움이나 religion 혹은 하느님에 대한 지식도 없이 벌거벗고 있었다.

라고 적었다. 이렇게 보면 A treatyse of the newe IndiaCosmographiae에서 발췌한 내용에 대한 1:1 번역이 아니라는 것을 확인하게 된다. 그 안에서 의미가 통하게 영작을 한 느낌이다.

그렇게 보면 '이든이 썼다'고 한 조너선 스미스의 표현이 영 틀렸다고 보기도 어려운 것 같은 느낌도 든다. 뮌스터의 글을 보고 다소 변형시켜 적은 것으로 보이기 때문이다. 

그래도 '뮌스터가 썼다'로 보는 게 더 타당하다는 느낌이 든다.

──────

JZ 스미스(1938-2017)가 Religion, Religions, Religious(1998)를 썼을 때는 원로급은 아니었지만 한국으로 치면 정년퇴임이 몇 년 남지 않은 시기였다. 97년에 썼다고 하면 우리 나이로 60세 때였던 것이다. 

인용의 다소간의 오류는 크게 문제가 되지 않는다. 내용을 왜곡하는 것이나 표절하는 것이 아닌 이상에는 말이다. 해당 내용도 '그들은 종교가 없다'를 보여주는 사례로서는 전혀 문제될 게 없다. 그와 관련된 사소한 정보(작자가 누구인가)에 오류가 있었던 것이다.

이것이 시사하는 바는 사실 '인용을 잘하자'가 아니다.

'출처를 명확히 밝히는 작업은 사소하지만 참 귀찮은 일이다'라는 것이다.

저명한 선생님들이 5,60대가 되면, 인용에 대한 출처 달기를 아웃소싱하는 경우가 많다.

필요한 작업이지만 참 귀찮은 일이다. 아웃소싱할 '능력'을 갖는 것도 복이라는 생각이 드는 한편, 그런 능력이 없는 사람들이 활용할 수 있는 방법은 AI가 아닐까 싶다는 생각도 든다.

서지입력 프로그램이 있어서 과거보다는 출처 표기의 부담이 많이 줄었지만, 여전히 귀찮은 작업이 많이 있는 게 사실이다(서지 입력 방식과 표기 방식이 전혀 통일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이 분야에서도 AI가 우리를 구원해 줄 수 있을까?

댓글

  1. 흥미로운 글이네요. 재미있게 읽었습니다. 참고로 여기서 religiō라는 명사는 '종교' 자체라기 보다는 '종교적 의무', '종교적 양심', '종교적 경외감' 등을 나타내죠. 18세기에 들어가면 용례로 'religionis Christianæ'를 'Christianity'의 의미로 사용하기도 하는데, religiō의 자세한 의미의 변천을 여기서 추적할 수는 없지만, 종교에 대한 단어들과 그 의미, 그리고 사람들의 의식이 시대와 문화에 따라 변화하는 것을 연구하는 것도 무척 흥미로운 주제라고 생각합니다. 감사합니다.

    답글삭제
  2. 흥미롭게 읽어 주셔서 감사합니다. JZ 스미스의 "Religion, Religions, Religious"(1998)에서 religio에 대해서도 다루고 있죠. 캔트웰 스미스의 The Meaning and End of Religion(1963)이 religio의 의미 변천을 다루는 대표적인 저작이죠.

    답글삭제
    답글
    1. 좋은 참고 자료를 알려주셔서 감사합니다. 도움이 많이 될 것 같습니다.^^

      삭제

댓글 쓰기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미신과 종교라는 개념에 담긴 '너는 틀렸고, 내가 맞다'

※ 이 글은 '얼룩소'에 2023년 1월 21일에 게재했던 글입니다. ─── ∞∞∞ ─── 미신이란 말을 많이 씁니다. 그게 무엇이냐 물어 본다면 우리는 어떤 행위들이나 관념을 이야기합니다. 뇌과학자 정재승 선생님도 미신 이야기를 하면서 '빨간색으로 이름 쓰는 행위가 불길하다는 미신'을 이야기했습니다. 차이나는 클라스, 정재승 편 미신이 어떤 것인가를 말할 때, 이렇게 미신에 속한 것들을 이야기하게 됩니다. '시험 볼 때 미역국을 먹지 않는다' '시험 볼 때 포크를 선물한다' '손 없는 날 이사해야 한다' '밤에 손톱을 깎으면 안 된다' '귀신을 쫓기 위해서 팥죽을 먹는다' 그럼 '미신'은 어떤 것이냐 설명해 보라면, 아마 이런 말들을 늘어 놓게 될 겁니다. https://engoo.co.kr/blog/먼나라이웃나라-세계-각국의-다양한-미신들/ 표준국어대사전에 바로 그와 같이 설명이 되어 있습니다. 표준국어대사전 '미신' 항목 그런데 이런 개념은 일상에서는 그런대로 사용할 수 있지만, 엄밀하게 따지면 쓸 수 없는 설명입니다. '비합리적이고 비과학적'인 게 너무 광범위하기 때문입니다. 도덕적, 경제적 판단과 믿음에도 그런 사례를 많이 찾아 볼 수 있습니다. 가령 '관상은 과학이다', 'ABO 혈액형 성격론', '과시적 소비' 등등. 어떤 종교적 맥락에서 '이상한 것'을 이야기하기 위해서 '미신'이란 말을 많이 사용합니다. 종교와는 다른 것으로 이야기합니다. 그런데 위 국어사전의 개념 정의는 종교도 포함된다고 볼 수 있습니다. 미신과 종교가 구분되지 않는다면, 어딘지 이상하게 느껴집니다. '미신'은 과학적 개념은 아니다 우리가 일상에서 당연시하는 많은 개념은 편견의 산물인 경우가 많습니다. 정상과 비정상의 구분에서 그런 게...

미신에 대한 중립적 개념은 무엇일까?

※ 이 글은 '얼룩소'에 2023년 1월 25일에 게재했던 글입니다. 본래 제목을 약간 수정하였습니다. ─── ∞∞∞ ─── 미신, 사이비, 이단 이 말들은 종교의 대척점에 있는 개념들입니다. 미신은 종교적 의식(儀式)이지만, 종교적 수준에 이르지 못한 것을 지칭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물론 모든 비과학적인 믿음을 통칭할 때 사용하기도 합니다. 사이비(似而非), 말뜻은 ‘비슷하지만 틀린 것’이죠. 영어의 ‘pseudo-’에 대응되는 말입니다. 사이비 종교를 ‘pseudo religion’이라고 하지요. ‘가짜’라는 의미가 두드러집니다. '사이비'란 말은 『맹자(孟子)』, 「진심장구하(盡心章句下)」 편에 수록된 말입니다.  孔子曰: 惡似而非者(공자왈: 오사이비자) 공자께서 말씀하시길, "나는 비슷해 보이지만 실제로는 아닌 것을 싫어한다." 출처: 다락원 페이스북(https://www.facebook.com/darakwonchild) 이 언급의 자세한 맥락은 다음의 글을 참고하세요( 사이비-나무위키 ). 겉만 그럴 듯하고 속은 빈 경우를 말합니다. 사이비란 말은 참된 종교와 거짓 종교를 말하는 맥락에서 많이 쓰이게 되면서 애초 의미에서 '거짓 가르침'으로 변하였습니다(사이비과학, 사이비종교 등등). 이단(異端), 말뜻은 ‘끝이 다르다’이고, 의미상으로 ‘사이비’와 큰 차이가 없습니다.  『맹자집주』의 주자주(朱子註) 중 '맹자는 양주와 묵적과 같은 이단에게서 유교를 지켰다'라는 표현이 나옵니다. 유교의 맥락에서 '이단'의 대표주자는 '양주와 묵적'입니다. 양주는 '위아설'(나만 위하면 돼), 묵적은 '겸애설'(모두 무차별적으로 사랑하라)로 이야기됩니다. 유가들이 곡해해서 '무부무군(無父無君)의 가르침'으로 평가되는 것이지, 그리 허무맹랑한 가르침은 아니라고 평가되고 있습니다(참고: 양주(전국시대)-나무위키 ...

한 해를 시작하는 날은 많다?│시간과 종교적 본능

※ 이 글은 '얼룩소'에 2023년 1월 2일에 게재했던 글입니다. (부제를 약간 수정) ─── ∞∞∞ ─── 1년의 시작점은 많습니다. 우리에게 익숙한 시간은 동지, 설, 정월대보름, 입춘 등입니다. 전에 이야기한 16세기 후반 프랑스의 신년 기념일들처럼( 참고 ) 같은 나라 안에서도 여러 신년 기념일이 있는 경우는 특이한 현상이 아닙니다. 왜 이렇게 되었을까요? 원래 지역적인 단일성은 있었을 겁니다. 특정 지역에서는 1월 1일이다, 이 동네는 음력 설이다, 이 동네는 입춘이다, 이렇게 말입니다. 이게 어떤 계기에 통합되는 과정을 거칩니다. 지역적으로 통일성을 가진 집단들이 묶여서 더 큰 집단으로 통합되면서 시간, 의례 등을 통합하는 과정이 뒤따르게 됩니다. 종교단체 수준에서도 진행이 되지만 국가 수준에서도 진행이 됩니다. 이 과정은 국가의 흥망성쇠, 종교단체의 흥망성쇠 등 집단 구속력의 변화에 따라서 부침을 겪으며 반복·중첩되었을 것으로 보입니다.  앞서 언급한 프랑스에서는 16세기에 신년 기념일을 단일화하려 했습니다. 한국에서는 그러한 노력이 19세기말 20세기에 시도되었습니다. 공식적인 수준에서 한 해의 시작일은 그렇게 하루 아침에 바꿀 수 있지만, 의례적으로 기념하는 첫 날은 쉽게 변화하지 않습니다. 이를 문화적 관성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선조들이 해왔던 대로 해야 한다는 의식으로 나타남). 여러 신년 기념일은 그런 통합의 힘에도 어떤 현실적 필요에 의해서 과거의 전승이 살아남아 그 흔적을 남긴 덕분입니다. 다만 해당 기념일을 현재에 활용하는 의미는 달라질 수 있습니다.  현재적 가치를 상실하게 된다면 사라질 운명을 일 겁니다. 그럴 경우 '고유한 문화를 지키자'는 운동이 표출될 수도 있습니다. 집단 정체성과 관련된 전통으로 선택되지 못하면 잊혀지는 것이고요. 동지 우리에게는 팥죽 먹는 날 정도의 의미만 남았습니다. 그러나 이 날도 과거에는 새해가 시작되는 날로 기념되었습니다. 그런 동지 축제가 신년 축제인 사례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