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A Treatyse of the Newe India의 원출처를 찾아서

1553년 본 표지에서 '라틴어에서 영어로 번역, 리처드 이든(Translated out of Latin into Englishe. By Rycharde Eden)'에만 주목했었는데, 제목을 보면 이 책이 어떤 책을 저본으로 한 것인지 알 수 있다.

A treatyse of the newe India with other new founde landes and islandes, aswell eastwarde as westwarde, as they are knowen and found in these oure dayes, after the description of Sebastian Munster in his boke of universall cosmographie

세바스티안 뮌스터가 우주지리에 관한 그의 책에서 기술한 이후로 오늘날 알려지고 발견되는, 동쪽으로나 서쪽으로도, 다른 새로이 발견된 땅과 섬과 함께 새로운 인도에 관한 논의

뮌스터의 대표작이 Cosmographia(1544)이다. 지금으로 치면 '세계지리백과사전'쯤 될 것 같은 책이다. 1544년에 독어본이 출판되었고, 1550년 독어본 5판과 함께 라틴어 본이 출판되었다(참고). 이든이 참고한 책은 라틴어판이니까 바로 1550년 라틴어본이 저본이라고 할 수 있다(이든의 번역판이 1553년판이니까). 확인한 책은 1552년 바젤에서 출판된 버전이다(Basileae : apud Henrichum Petri, 1552)

이 책의 1099쪽을 보면,

"De Novis Insvlis, quomodo, quando & per quem"(새로운 섬들에 대해, 어떻게, 언제 그리고 누구에 의해)라는 제목을 볼 수 있다. 그림 아래에 콜럼버스의 1차 항해의 출발 과정과 출발 후 첫 기착지에 대한 그의 인상을 적고 있다.

'온화한 기후로 하늘의 축복을 받은 곳에서 원주민들이 religio도 부끄러움도 없이 벌거벗고 있다'는 내용이다.

영역자인 리처드 이든은 이를,

콜럼버스가 그곳에 처음 갔을 때, 그곳의 주민들은 부끄러움이나 religion 혹은 하느님에 대한 지식도 없이 벌거벗고 있었다.

라고 적었다. 이렇게 보면 A treatyse of the newe IndiaCosmographiae에서 발췌한 내용에 대한 1:1 번역이 아니라는 것을 확인하게 된다. 그 안에서 의미가 통하게 영작을 한 느낌이다.

그렇게 보면 '이든이 썼다'고 한 조너선 스미스의 표현이 영 틀렸다고 보기도 어려운 것 같은 느낌도 든다. 뮌스터의 글을 보고 다소 변형시켜 적은 것으로 보이기 때문이다. 

그래도 '뮌스터가 썼다'로 보는 게 더 타당하다는 느낌이 든다.

──────

JZ 스미스(1938-2017)가 Religion, Religions, Religious(1998)를 썼을 때는 원로급은 아니었지만 한국으로 치면 정년퇴임이 몇 년 남지 않은 시기였다. 97년에 썼다고 하면 우리 나이로 60세 때였던 것이다. 

인용의 다소간의 오류는 크게 문제가 되지 않는다. 내용을 왜곡하는 것이나 표절하는 것이 아닌 이상에는 말이다. 해당 내용도 '그들은 종교가 없다'를 보여주는 사례로서는 전혀 문제될 게 없다. 그와 관련된 사소한 정보(작자가 누구인가)에 오류가 있었던 것이다.

이것이 시사하는 바는 사실 '인용을 잘하자'가 아니다.

'출처를 명확히 밝히는 작업은 사소하지만 참 귀찮은 일이다'라는 것이다.

저명한 선생님들이 5,60대가 되면, 인용에 대한 출처 달기를 아웃소싱하는 경우가 많다.

필요한 작업이지만 참 귀찮은 일이다. 아웃소싱할 '능력'을 갖는 것도 복이라는 생각이 드는 한편, 그런 능력이 없는 사람들이 활용할 수 있는 방법은 AI가 아닐까 싶다는 생각도 든다.

서지입력 프로그램이 있어서 과거보다는 출처 표기의 부담이 많이 줄었지만, 여전히 귀찮은 작업이 많이 있는 게 사실이다(서지 입력 방식과 표기 방식이 전혀 통일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이 분야에서도 AI가 우리를 구원해 줄 수 있을까?

댓글

  1. 흥미로운 글이네요. 재미있게 읽었습니다. 참고로 여기서 religiō라는 명사는 '종교' 자체라기 보다는 '종교적 의무', '종교적 양심', '종교적 경외감' 등을 나타내죠. 18세기에 들어가면 용례로 'religionis Christianæ'를 'Christianity'의 의미로 사용하기도 하는데, religiō의 자세한 의미의 변천을 여기서 추적할 수는 없지만, 종교에 대한 단어들과 그 의미, 그리고 사람들의 의식이 시대와 문화에 따라 변화하는 것을 연구하는 것도 무척 흥미로운 주제라고 생각합니다. 감사합니다.

    답글삭제
  2. 흥미롭게 읽어 주셔서 감사합니다. JZ 스미스의 "Religion, Religions, Religious"(1998)에서 religio에 대해서도 다루고 있죠. 캔트웰 스미스의 The Meaning and End of Religion(1963)이 religio의 의미 변천을 다루는 대표적인 저작이죠.

    답글삭제
    답글
    1. 좋은 참고 자료를 알려주셔서 감사합니다. 도움이 많이 될 것 같습니다.^^

      삭제

댓글 쓰기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ChatGPT에 '크리스마스와 동지'의 관계를 물어 보았다.

요즘 핫하다는 '챗GPT'에 크리스마스와 동지의 관계를 물어보았다. https://openai.com/ 나: 크리스마스가 동지와 관계가 있다고 생각하니? 챗봇: 크리스마스는 세계 여러 지역에서 전통적으로 12월 25일에 기념하는 축제일이며 종종 북반구에서 1년 중 낮이 가장 짧은 동지와 관련이 있다. 동지는 보통 12월 21일 또는 22일 경에 발생하며 태양이 하늘에서 가장 낮은 지점에 도달하는 것, 즉 일 년 중 밤이 가장 긴 날을 표시한다. 크리스마스 축제는 원래 기독교 이전의 동지 축제의 영향을 받았을 것으로 생각되며, 이는 종종 태양의 재생과 낮이 더 길어지는 시기의 복귀와 관련이 있다. 고대 로마인과 고대 켈트족을 포함한 많은 고대 문화에는 동지와 태양의 귀환을 중심으로 한 전통과 축제가 있었다. 그러나 크리스마스는 복잡한 역사를 가지고 있으며 다양한 문화 및 종교적 영향에 의해 형성되었다는 점에 유의하는 것도 중요하다. 동지가 축제일의 기원에 역할을 했을 수도 있지만, 크리스마스는 광범위한 종교적, 문화적 전통과 연관되어 현재 전 세계의 다양한 신앙을 가진 사람들이 기념하고 있다. 크리스마스와 동지의 관계에 대해서 비교적 유의미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으로 보인다.  동지 축제와 관련성을 '논증'하지는 않지만, 중요한 정보(동지 축제와 관련되지만 현재는 역사/문화/종교적 설명이 복잡하게 얽혀있다거나 복잡하게 변화했다)는 대체로 잘 이야기하고 있다. 인지진화적 설명은 관련 문서가 부족하기 때문에 활용하지 못하는 것으로 보인다. 디테일이 부족한 것도 한계라 할 수 있겠지만, 간단한 답변으로서는 상당한 수준이라는 것도 부인할 수 없는 것 같다. 챗GPT가 3문단으로 설명하는 것을 나는 A4 몇 페이지로 설명했던가. 대학 등에서 학생들에게 과제나 시험문제를 내줄 때 이제 안일하게 내면 AI가 답을 써주는 시대가 되어버린 듯하다. ─── ∞∞∞

'정신병', 스캡틱, 박한선

※ 이 글은 ' 얼룩소 '에 2023년 1월 28일에 게재했던 글입니다. 본래 제목을 약간 수정하였습니다. 이 글은 Skeptic Korea의 " 정신의학의 오래된 과제, 과학적 치료와 처방 "에 관한 얼룩소글의 출처를 체크하고, 정신질환 치료의 현실에 대해 박한선 선생님께 들었던 이야기를 정래해 본 글입니다. ─── ∞∞∞ ─── 최근에 나온 글인 줄 알고 찾아봤더니 전에 나온 글이군요. 마침 어제(1/27) 정신과 의사 출신 인류학자 박한선 선생님을 통해서 관련 이야기를 듣고, 글쓴이부터 찾아 봤습니다. 다른 저자인 걸 보고, 정신의학계에서 상당히 유명한 이야기라는 걸 짐작할 수 있었습니다. 박선생님께서 정신병 진단과 치료에 '정신분석학'이 사용되고 있다고 하셔서 좀 어리둥절 했었습니다. 심리학계(실험심리가 중심이 된)에서는 배우지 않게 된 분야로 알고 있어서 의학 분야에서도 당연히 퇴출되었다고 지레짐작하고 있었습니다. '왜 인지 모르지만, 효과가 있다'는 면에서 정신과 치료가 이루어지는 현실을 생각해 보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아, '정신분석학'도 프로이트, 융 시절의 버전이 아니라 많이 업데이트가 되었다고 하더군요. 자세한 부분은 과문해서 잘 모르겠습니다만. 어제 박선생님이 들려주신 이야기도 떠올라 흥미롭게 이 스켑틱의 글을 읽다가 문득 출처가 궁금해서 찾아 보니, '한국 스켑틱'에는 14권(2018년)에 "정신의학은 과학이 될 수 있을까"라는 제목의 글로 실려있었습니다. (스켑틱에서 얼룩소에 올리는 글이 최근호에 실린 글이 아니라는 걸 이제사 깨달은 거죠) https://www.badabooks.co.kr/SKEPTIC_magazine/?idx=54 글은 14권의 68~83쪽에 실렸습니다. 이 글을 일부 발췌해서 재편집한 것이 위의 얼룩소에 실린 글이더군요.

미신과 종교라는 개념에 담긴 '너는 틀렸고, 내가 맞다'

※ 이 글은 ' 얼룩소 '에 2023년 1월 21일에 게재했던 글입니다. ─── ∞∞∞ ─── 미신이란 말을 많이 씁니다. 그게 무엇이냐 물어 본다면 우리는 어떤 행위들이나 관념을 이야기합니다. 뇌과학자 정재승 선생님도 미신 이야기를 하면서 '빨간색으로 이름 쓰는 행위가 불길하다는 미신'을 이야기했습니다. 차이나는 클라스, 정재승 편 미신이 어떤 것인가를 말할 때, 이렇게 미신에 속한 것들을 이야기하게 됩니다. '시험 볼 때 미역국을 먹지 않는다' '시험 볼 때 포크를 선물한다' '손 없는 날 이사해야 한다' '밤에 손톱을 깎으면 안 된다' '귀신을 쫓기 위해서 팥죽을 먹는다' 그럼 '미신'은 어떤 것이냐 설명해 보라면, 아마 이런 말들을 늘어 놓게 될 겁니다. https://engoo.co.kr/blog/먼나라이웃나라-세계-각국의-다양한-미신들/ 표준국어대사전에 바로 그와 같이 설명이 되어 있습니다. 표준국어대사전 '미신' 항목 그런데 이런 개념은 일상에서는 그런대로 사용할 수 있지만, 엄밀하게 따지면 쓸 수 없는 설명입니다. '비합리적이고 비과학적'인 게 너무 광범위하기 때문입니다. 도덕적, 경제적 판단과 믿음에도 그런 사례를 많이 찾아 볼 수 있습니다. 가령 '관상은 과학이다', 'ABO 혈액형 성격론', '과시적 소비' 등등. 어떤 종교적 맥락에서 '이상한 것'을 이야기하기 위해서 '미신'이란 말을 많이 사용합니다. 종교와는 다른 것으로 이야기합니다. 그런데 위 국어사전의 개념 정의는 종교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