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Our deepest fear' speech와 넬슨 만델라│오귀인 사례 (1)

'Our deepest fear'는 영화 〈코치 카터〉(2005)에서 티모 크루즈가 한 대사로 처음 접했다. 뭐 이래 멋있는 말이 다 있어?

영화 〈코치 카터〉의 한 장면

대사는 무척 길다.

Timo Cruz: 'Our deepest fear is not that we are inadequate. Our deepest fear is that we are powerful beyond measure. It is our light, not our dark that most frightens us. Your playing small does not serve the world. There is nothing enlightened about shrinking so that other people don't feel insecure around you. We are all meant to shine as children do. It's not just in some of us; it's in everyone. And as we let our own lights shine, we unconsiously give other people to do the same. As we are liberated from our own fear, our presence automatically liberates others.' so I just wanna say thank you. You save my life.

우리의 가장 깊은 두려움은 우리가 무능하다는 것이 아닙니다. 우리의 가장 깊은 두려움은 우리 자신이 측정할 수 없을 만큼 강하다는 것입니다. 우리를 정말로 두렵게 하는 것은 우리의 어둠이 아니라 우리의 빛입니다. 당신의 소심한 행동은 세상에 도움이 되지 않습니다. 당신이 주위의 다른 사람들이 불안감을 느끼지 않도록 움츠리는 데에 깨달을 만한 것은 없습니다. 아이들이 그러듯이 우리 모두는 고유한 빛을 발하게 되어 있습니다. 우리 중 일부에게 있는 게 아니라 우리 모두에게 있습니다. 그리고 우리 자신의 빛을 발하게 하면 우리는 무의식적으로 다른 사람들도 같은 것을 하게 만듭니다. 우리가 우리 자신의 두려움에서 해방 될 때, 우리가 여기 존재한다는 것 만으로도 다른 이들을 해방시킵니다. 그래서 저는 감사하다고 말하고 싶습니다. 당신은 나를 구해주셨습니다.

이 메시지가 전해주는 감동은 우리 내면의 더 좋은 것을 드러내는 데 주저하지 말라고 주문하는 데에서, 그러한 태도가 우리의 삶을 바꾸어서 심지어 우리를 구원하게 될 것이라고 말하고 있다는 데에서 만들어진다. 이것은 두려움에 대한 새로운 정의이다. 그렇지만 낯설지 않은 것은 이러한 분위기를 예수의 이야기에서 느낄 수 있었기 때문이고, 우리에게 더 낯설지 않은 것은 붓다의 이야기에서 이 메시지를 만나기 때문이다.

다만 이러한 이야기의 비극은 이 메시지가 상대화되는 자리이다. 자신의 빛을 끄집어 내서 우리 가 본 영화에서 다른 팀과의 경쟁에 승리하기를 바라듯이, 우리의 빛이 자유롭게 하는 '우리'의 실체가 인류를 뒤덮을 수는 없기 때문이다. 피아, 적과 동지의 구분이 던져지는 자리에서 이러한 감동적인 인간 내면의 위대함의 빛은 '힘의 논리'를 구성하는 하나의 동력이 되어 사라져 버린다.

인간이 맛보는 내면적 위대성은 특정 상황의 위기를 돌파하게 만드는 역할을 한다. 마치 큰 고통에 빠진 환자에게 주어지는 몰핀처럼. 

인간은 이러한 고양과 현실적 추락 사이에서 진동하고 있다. 물론 이러한 진술은 "우리의 가장 큰 두려움"으로도 넘어서기 어려운 "두려움"을 불러 내긴 한다. 그래도 '실존'의 인간에게는 'Our deepest fear' 수준의 감동이 큰 힘이 된다.

이런 감동적인 메시지를 듣게 된다면, 이 말의 출처를 찾고 싶어진다. 과연 누가 한 말일까? 어디에서나 '넬슨 만델라의 연설'이 그 출처라고 이야기한다.

유명인의 명언이라면 좀 더 구체적인 출처를 확인하고 싶어지기 마련이다. 찾고 또 찾아보니 '넬슨 만델라' 재단 홈페이지에서 이런 걸 볼 수 있었다.

만델라 재단의 'deepest fear'에 관한 설명

친절하게 'our deepest fear'의 출처가 어디인지 알려주고 있다. 마리안느 윌리엄슨(Marianne Williamson)의 책 『사랑으로의 회귀: 기적 강좌의 원리에 대한 고찰(A return to love: Reflections on the principles of a course in miracles)』(1992)에 실린 내용이라고 한다. 기적이 등장하고, 목차를 보면 '신(하느님)', '지옥' 등이 나온다. 기독교적 색채가 강한 수필집이다. 이 책은 1976년에 나온 헬렌 슈크만(Helen Schucman)A Course in Miracle을 윌리엄스의 시각으로 재해석하며 사랑을 통해 내면의 평화를 이룰 수 있다는 견해를 피력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1993년 Paperback 표지(좌), 1996년 Paperback 표지(중), 목차(우)

영화에 나온 버전은 'God' 운운하는 구절을 제거한 것이다. 

Our deepest fear is not that we are inadequate. Our deepest fear is that we are powerful beyond measure. It is our light, not our darkness that most frightens us. We ask ourselves, Who am I to be brilliant, gorgeous, talented, fabulous? Actually, who are you not to be? You are a child of God. Your playing small does not serve the world. There is nothing enlightened about shrinking so that other people won't feel insecure around you. We are all meant to shine, as children do. We were born to make manifest the glory of God that is within us. It's not just in some of us; it's in everyone. And as we let our own light shine, we unconsciously give other people permission to do the same. As we are liberated from our own fear, our presence automatically liberates others.

신 운운하는 이야기를 뺀 버전이 왜 만델라의 연설에서 나온 말이라고 여겨졌을까? 어떤 계기에 그러한 오귀인(misattribution)이 일어났는지는 명확히 알려진 바는 없다. 그럴 듯한 추측이 가능할 뿐이다.

이러 저러한 탐색을 통해서 내가 감지한 것은 오귀인이 (서구의) 기독교도에게서 두드러진다는 점이다. 참고가 되는 글이 있다. "Nelson Mandela's Speech"(2003)이다. 글이 실린 사이트는 존 마크 목사'John Mark Ministries'의 블로그이다. 부제를 '기독교 신앙에 관해 성숙하게 생각하기(thinking maturely about the christian faith)'로 적고 있다.

제목이 '넬슨 만델라의 연설'인데 인용된 내용은 'our deepest fear'였다. 이에 대한 반응들도 적어 놓고 있다. 윌리엄슨의 책에서 나온 내용이라는 지적과 만델라가 원출처는 아니지만 그가 연설에 사용한 내용이라는 설명이 공존하고 있다. 만델라의 연설에 해당 표현은 전혀 등장하지 않는다.

글의 메시지와 만델라의 삶과 정치가 너무 찰떡 궁합이기 때문에 이러한 오귀인이 발생한 것으로 보인다. 내면의 성취, 평화, 화합의 정치, 그리고 해방의 서사를 가지고 있는 넬슨 만델라와 윌리엄슨의 글은 정말 딱 떨어지는 느낌, 인식의 산뜻함을 불러온다.

그러니 이 오귀인은 해당 글귀를 가장 '파급력 있게' 만들어 준다. 메시지의 감동을 더욱 강력하게 만들어 준다. 만델라의 삶과, 그 이야기, 그리고 신앙은 모두 일치하면서 '극적 효과'를 빚어내기 때문이다. 

마리안느는 그저 책을 썼지만, 만델라는 그러한 삶을 살았고, 그러한 삶을 남아공 사람들에게 요구하고 이끌어 나갔으며 위대한 정치를 보여주었다. 

이 오귀인 사례는 사람들 사이에서 인기를 얻어 유통되는 이야기가 지닌 독특한 정보의 취사선택, 그리고 재구성의 논리를 보여주는 것 같다. 그의 연설문에 해당 글귀가 없다고 하더라도, 만델라가 그러한 이야기를 했다고 하면, 그림이 근사해지는 느낌이 들지 않는가? '우리의 깊은 두려움'에 느꼈던 감동이 더욱 신뢰할 만한 것으로 자리매김한다.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정신병', 스캡틱, 박한선

※ 이 글은 ' 얼룩소 '에 2023년 1월 28일에 게재했던 글입니다. 본래 제목을 약간 수정하였습니다. 이 글은 Skeptic Korea의 " 정신의학의 오래된 과제, 과학적 치료와 처방 "에 관한 얼룩소글의 출처를 체크하고, 정신질환 치료의 현실에 대해 박한선 선생님께 들었던 이야기를 정래해 본 글입니다. ─── ∞∞∞ ─── 최근에 나온 글인 줄 알고 찾아봤더니 전에 나온 글이군요. 마침 어제(1/27) 정신과 의사 출신 인류학자 박한선 선생님을 통해서 관련 이야기를 듣고, 글쓴이부터 찾아 봤습니다. 다른 저자인 걸 보고, 정신의학계에서 상당히 유명한 이야기라는 걸 짐작할 수 있었습니다. 박선생님께서 정신병 진단과 치료에 '정신분석학'이 사용되고 있다고 하셔서 좀 어리둥절 했었습니다. 심리학계(실험심리가 중심이 된)에서는 배우지 않게 된 분야로 알고 있어서 의학 분야에서도 당연히 퇴출되었다고 지레짐작하고 있었습니다. '왜 인지 모르지만, 효과가 있다'는 면에서 정신과 치료가 이루어지는 현실을 생각해 보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아, '정신분석학'도 프로이트, 융 시절의 버전이 아니라 많이 업데이트가 되었다고 하더군요. 자세한 부분은 과문해서 잘 모르겠습니다만. 어제 박선생님이 들려주신 이야기도 떠올라 흥미롭게 이 스켑틱의 글을 읽다가 문득 출처가 궁금해서 찾아 보니, '한국 스켑틱'에는 14권(2018년)에 "정신의학은 과학이 될 수 있을까"라는 제목의 글로 실려있었습니다. (스켑틱에서 얼룩소에 올리는 글이 최근호에 실린 글이 아니라는 걸 이제사 깨달은 거죠) https://www.badabooks.co.kr/SKEPTIC_magazine/?idx=54 글은 14권의 68~83쪽에 실렸습니다. 이 글을 일부 발췌해서 재편집한 것이 위의 얼룩소에 실린 글이더군요....

한 해를 시작하는 날은 많다?│시간과 종교적 본능

※ 이 글은 ' 얼룩소 '에 2023년 1월 2일에 게재했던 글입니다. (부제를 약간 수정) ─── ∞∞∞ ─── 1년의 시작점은 많습니다. 우리에게 익숙한 시간은 동지, 설, 정월대보름, 입춘 등입니다. 전에 이야기한 16세기 후반 프랑스의 신년 기념일들처럼( 참고 ) 같은 나라 안에서도 여러 신년 기념일이 있는 경우는 특이한 현상이 아닙니다. 왜 이렇게 되었을까요? 원래 지역적인 단일성은 있었을 겁니다. 특정 지역에서는 1월 1일이다, 이 동네는 음력 설이다, 이 동네는 입춘이다, 이렇게 말입니다. 이게 어떤 계기에 통합되는 과정을 거칩니다. 지역적으로 통일성을 가진 집단들이 묶여서 더 큰 집단으로 통합되면서 시간, 의례 등을 통합하는 과정이 뒤따르게 됩니다. 종교단체 수준에서도 진행이 되지만 국가 수준에서도 진행이 됩니다. 이 과정은 국가의 흥망성쇠, 종교단체의 흥망성쇠 등 집단 구속력의 변화에 따라서 부침을 겪으며 반복·중첩되었을 것으로 보입니다.  앞서 언급한 프랑스에서는 16세기에 신년 기념일을 단일화하려 했습니다. 한국에서는 그러한 노력이 19세기말 20세기에 시도되었습니다. 공식적인 수준에서 한 해의 시작일은 그렇게 하루 아침에 바꿀 수 있지만, 의례적으로 기념하는 첫 날은 쉽게 변화하지 않습니다. 이를 문화적 관성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선조들이 해왔던 대로 해야 한다는 의식으로 나타남). 여러 신년 기념일은 그런 통합의 힘에도 어떤 현실적 필요에 의해서 과거의 전승이 살아남아 그 흔적을 남긴 덕분입니다. 다만 해당 기념일을 현재에 활용하는 의미는 달라질 수 있습니다.  현재적 가치를 상실하게 된다면 사라질 운명을 일 겁니다. 그럴 경우 '고유한 문화를 지키자'는 운동이 표출될 수도 있습니다. 집단 정체성과 관련된 전통으로 선택되지 못하면 잊혀지는 것이고요. 동지 우리에게는 팥죽 먹는 날 정도의 의미만 남았습니다. 그러나 이 날도 과거에는 새해가 시작되는 날로 기념되었습니다. 그런 동지 축제가 신년 축제인 사...

ChatGPT에 '크리스마스와 동지'의 관계를 물어 보았다.

요즘 핫하다는 '챗GPT'에 크리스마스와 동지의 관계를 물어보았다. https://openai.com/ 나: 크리스마스가 동지와 관계가 있다고 생각하니? 챗봇: 크리스마스는 세계 여러 지역에서 전통적으로 12월 25일에 기념하는 축제일이며 종종 북반구에서 1년 중 낮이 가장 짧은 동지와 관련이 있다. 동지는 보통 12월 21일 또는 22일 경에 발생하며 태양이 하늘에서 가장 낮은 지점에 도달하는 것, 즉 일 년 중 밤이 가장 긴 날을 표시한다. 크리스마스 축제는 원래 기독교 이전의 동지 축제의 영향을 받았을 것으로 생각되며, 이는 종종 태양의 재생과 낮이 더 길어지는 시기의 복귀와 관련이 있다. 고대 로마인과 고대 켈트족을 포함한 많은 고대 문화에는 동지와 태양의 귀환을 중심으로 한 전통과 축제가 있었다. 그러나 크리스마스는 복잡한 역사를 가지고 있으며 다양한 문화 및 종교적 영향에 의해 형성되었다는 점에 유의하는 것도 중요하다. 동지가 축제일의 기원에 역할을 했을 수도 있지만, 크리스마스는 광범위한 종교적, 문화적 전통과 연관되어 현재 전 세계의 다양한 신앙을 가진 사람들이 기념하고 있다. 크리스마스와 동지의 관계에 대해서 비교적 유의미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으로 보인다.  동지 축제와 관련성을 '논증'하지는 않지만, 중요한 정보(동지 축제와 관련되지만 현재는 역사/문화/종교적 설명이 복잡하게 얽혀있다거나 복잡하게 변화했다)는 대체로 잘 이야기하고 있다. 인지진화적 설명은 관련 문서가 부족하기 때문에 활용하지 못하는 것으로 보인다. 디테일이 부족한 것도 한계라 할 수 있겠지만, 간단한 답변으로서는 상당한 수준이라는 것도 부인할 수 없는 것 같다. 챗GPT가 3문단으로 설명하는 것을 나는 A4 몇 페이지로 설명했던가. 대학 등에서 학생들에게 과제나 시험문제를 내줄 때 이제 안일하게 내면 AI가 답을 써주는 시대가 되어버린 듯하다.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