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Our deepest fear' speech와 넬슨 만델라│오귀인 사례 (1)

'Our deepest fear'는 영화 〈코치 카터〉(2005)에서 티모 크루즈가 한 대사로 처음 접했다. 뭐 이래 멋있는 말이 다 있어?

영화 〈코치 카터〉의 한 장면

대사는 무척 길다.

Timo Cruz: 'Our deepest fear is not that we are inadequate. Our deepest fear is that we are powerful beyond measure. It is our light, not our dark that most frightens us. Your playing small does not serve the world. There is nothing enlightened about shrinking so that other people don't feel insecure around you. We are all meant to shine as children do. It's not just in some of us; it's in everyone. And as we let our own lights shine, we unconsiously give other people to do the same. As we are liberated from our own fear, our presence automatically liberates others.' so I just wanna say thank you. You save my life.

우리의 가장 깊은 두려움은 우리가 무능하다는 것이 아닙니다. 우리의 가장 깊은 두려움은 우리 자신이 측정할 수 없을 만큼 강하다는 것입니다. 우리를 정말로 두렵게 하는 것은 우리의 어둠이 아니라 우리의 빛입니다. 당신의 소심한 행동은 세상에 도움이 되지 않습니다. 당신이 주위의 다른 사람들이 불안감을 느끼지 않도록 움츠리는 데에 깨달을 만한 것은 없습니다. 아이들이 그러듯이 우리 모두는 고유한 빛을 발하게 되어 있습니다. 우리 중 일부에게 있는 게 아니라 우리 모두에게 있습니다. 그리고 우리 자신의 빛을 발하게 하면 우리는 무의식적으로 다른 사람들도 같은 것을 하게 만듭니다. 우리가 우리 자신의 두려움에서 해방 될 때, 우리가 여기 존재한다는 것 만으로도 다른 이들을 해방시킵니다. 그래서 저는 감사하다고 말하고 싶습니다. 당신은 나를 구해주셨습니다.

이 메시지가 전해주는 감동은 우리 내면의 더 좋은 것을 드러내는 데 주저하지 말라고 주문하는 데에서, 그러한 태도가 우리의 삶을 바꾸어서 심지어 우리를 구원하게 될 것이라고 말하고 있다는 데에서 만들어진다. 이것은 두려움에 대한 새로운 정의이다. 그렇지만 낯설지 않은 것은 이러한 분위기를 예수의 이야기에서 느낄 수 있었기 때문이고, 우리에게 더 낯설지 않은 것은 붓다의 이야기에서 이 메시지를 만나기 때문이다.

다만 이러한 이야기의 비극은 이 메시지가 상대화되는 자리이다. 자신의 빛을 끄집어 내서 우리 가 본 영화에서 다른 팀과의 경쟁에 승리하기를 바라듯이, 우리의 빛이 자유롭게 하는 '우리'의 실체가 인류를 뒤덮을 수는 없기 때문이다. 피아, 적과 동지의 구분이 던져지는 자리에서 이러한 감동적인 인간 내면의 위대함의 빛은 '힘의 논리'를 구성하는 하나의 동력이 되어 사라져 버린다.

인간이 맛보는 내면적 위대성은 특정 상황의 위기를 돌파하게 만드는 역할을 한다. 마치 큰 고통에 빠진 환자에게 주어지는 몰핀처럼. 

인간은 이러한 고양과 현실적 추락 사이에서 진동하고 있다. 물론 이러한 진술은 "우리의 가장 큰 두려움"으로도 넘어서기 어려운 "두려움"을 불러 내긴 한다. 그래도 '실존'의 인간에게는 'Our deepest fear' 수준의 감동이 큰 힘이 된다.

이런 감동적인 메시지를 듣게 된다면, 이 말의 출처를 찾고 싶어진다. 과연 누가 한 말일까? 어디에서나 '넬슨 만델라의 연설'이 그 출처라고 이야기한다.

유명인의 명언이라면 좀 더 구체적인 출처를 확인하고 싶어지기 마련이다. 찾고 또 찾아보니 '넬슨 만델라' 재단 홈페이지에서 이런 걸 볼 수 있었다.

만델라 재단의 'deepest fear'에 관한 설명

친절하게 'our deepest fear'의 출처가 어디인지 알려주고 있다. 마리안느 윌리엄슨(Marianne Williamson)의 책 『사랑으로의 회귀: 기적 강좌의 원리에 대한 고찰(A return to love: Reflections on the principles of a course in miracles)』(1992)에 실린 내용이라고 한다. 기적이 등장하고, 목차를 보면 '신(하느님)', '지옥' 등이 나온다. 기독교적 색채가 강한 수필집이다. 이 책은 1976년에 나온 헬렌 슈크만(Helen Schucman)A Course in Miracle을 윌리엄스의 시각으로 재해석하며 사랑을 통해 내면의 평화를 이룰 수 있다는 견해를 피력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1993년 Paperback 표지(좌), 1996년 Paperback 표지(중), 목차(우)

영화에 나온 버전은 'God' 운운하는 구절을 제거한 것이다. 

Our deepest fear is not that we are inadequate. Our deepest fear is that we are powerful beyond measure. It is our light, not our darkness that most frightens us. We ask ourselves, Who am I to be brilliant, gorgeous, talented, fabulous? Actually, who are you not to be? You are a child of God. Your playing small does not serve the world. There is nothing enlightened about shrinking so that other people won't feel insecure around you. We are all meant to shine, as children do. We were born to make manifest the glory of God that is within us. It's not just in some of us; it's in everyone. And as we let our own light shine, we unconsciously give other people permission to do the same. As we are liberated from our own fear, our presence automatically liberates others.

신 운운하는 이야기를 뺀 버전이 왜 만델라의 연설에서 나온 말이라고 여겨졌을까? 어떤 계기에 그러한 오귀인(misattribution)이 일어났는지는 명확히 알려진 바는 없다. 그럴 듯한 추측이 가능할 뿐이다.

이러 저러한 탐색을 통해서 내가 감지한 것은 오귀인이 (서구의) 기독교도에게서 두드러진다는 점이다. 참고가 되는 글이 있다. "Nelson Mandela's Speech"(2003)이다. 글이 실린 사이트는 존 마크 목사'John Mark Ministries'의 블로그이다. 부제를 '기독교 신앙에 관해 성숙하게 생각하기(thinking maturely about the christian faith)'로 적고 있다.

제목이 '넬슨 만델라의 연설'인데 인용된 내용은 'our deepest fear'였다. 이에 대한 반응들도 적어 놓고 있다. 윌리엄슨의 책에서 나온 내용이라는 지적과 만델라가 원출처는 아니지만 그가 연설에 사용한 내용이라는 설명이 공존하고 있다. 만델라의 연설에 해당 표현은 전혀 등장하지 않는다.

글의 메시지와 만델라의 삶과 정치가 너무 찰떡 궁합이기 때문에 이러한 오귀인이 발생한 것으로 보인다. 내면의 성취, 평화, 화합의 정치, 그리고 해방의 서사를 가지고 있는 넬슨 만델라와 윌리엄슨의 글은 정말 딱 떨어지는 느낌, 인식의 산뜻함을 불러온다.

그러니 이 오귀인은 해당 글귀를 가장 '파급력 있게' 만들어 준다. 메시지의 감동을 더욱 강력하게 만들어 준다. 만델라의 삶과, 그 이야기, 그리고 신앙은 모두 일치하면서 '극적 효과'를 빚어내기 때문이다. 

마리안느는 그저 책을 썼지만, 만델라는 그러한 삶을 살았고, 그러한 삶을 남아공 사람들에게 요구하고 이끌어 나갔으며 위대한 정치를 보여주었다. 

이 오귀인 사례는 사람들 사이에서 인기를 얻어 유통되는 이야기가 지닌 독특한 정보의 취사선택, 그리고 재구성의 논리를 보여주는 것 같다. 그의 연설문에 해당 글귀가 없다고 하더라도, 만델라가 그러한 이야기를 했다고 하면, 그림이 근사해지는 느낌이 들지 않는가? '우리의 깊은 두려움'에 느꼈던 감동이 더욱 신뢰할 만한 것으로 자리매김한다.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위로가 없는 '차가운 종교학', Science of Religion을 생각하며

※이 글은 얼룩소 글(23.7.13)을 옮겨온 것입니다. ━━━━━━ ♠ ━━━━━━ 종교라는 주제를 다루려면 '위로'가 필요하다? 이 말을 저는 곳곳에서 확인하게 됩니다. 그 이야기를 좀 해 보겠습니다. 정재승 박사가 총괄자문 및 프리젠터로 참여한 다큐 시리즈 '뇌로 보는 인간'의 마지막 '종교' 편에 제가 자문으로 참여하여 아주 짧은 시간 출연한 경험이 있었습니다. 시청률이 높았던 편이 아니라서 사람들로부터 별다른 반응을 듣지는 못했습니다. 우연히 EBS 다큐를 보던 친구가 '야, 너 나왔더라...잠깐 ㅎㅎ', 이런 반응을 보인 예가 있었을 뿐입니다. 함께 자문에 참여한 구형찬 박사(인지종교학)가 종교학자로서는 메인이었기 때문에 당연한 일이었습니다. '뇌로 보는 인간' - 종교 편의 한 장면┃저는 입을 다물고 있습니다^^ 몇 년이 지나서 그때 나왔던 미디어 비평 기사를 볼 수 있었습니다. 미디어스 기사 캡쳐 해당 다큐에 대한 내용을 정리한 다음에 이런 논평을 내 놓았습니다. 미디어스 관련 기사 '위로가 없다'는 비판 을 볼 수 있었습니다. 예 그렇습니다. 종교라는 주제를 다룰 때 사람들은 그런 것을 기대하곤 합니다. '종교의 본질', '참된 의미' 같은 것을 발견하고, 뭔가 진리의 말씀이나 인생을 통찰할 수 있는 지혜를 얻기를 기대합니다. 그런 이야기를 하는 종교학도 존재합니다. '현대인의 종교는 병들었다'는 진단을 내리며 '고대인의 지혜'를 회복해야 한다는 메시지를 내거나 모든 종교에 담겨있는 가장 고귀한 가르침(가령 황금률 같은)은 모두 상통하고 그것이 인간이 향유해야 할 소박하지만 분명한 진리라고 이야기하는 예도 있습니다. 프리드리히 막스 뮐러┃출처: Wikimedia Commons 종교학의 아버지라고 불리는 막스 뮐러는 '종교학으로의 초대(Introduction to the Science ...

"뇌 회로는 친숙한 것, 중요한 것과 단순한 배경을 식별합니다."(논문 정리)

흥미로운 신경과학 연구 소개를 봤습니다. 친숙한 것과 중요한 것을 먼저 식별하는 뇌 경로에 관한 연구입니다. '신경종교학'에 참고가 되는 논문일 것으로 판단되어, 내용을 정리해 봅니다.  *  *  * Brain Circuit Identifies What’s Familiar, Important, or Just Background┃Neuroscience News.com 요약 : 과학자들은 기억과 감정을 통합하여 감각 정보를 빠르게 평가하는 이전에 알려지지 않은 뇌 회로를 발견했습니다. 내측후각피질(entorhinal cortex)과 해마(hippocampus) 사이의 이 직접 피드백 루프를 통해 뇌는 중요한 광경과 소리를 거의 즉시 우선순위를 정할 수 있습니다. 이전에 알려진 더 느린 경로와 달리, 이 회로는 관련 자극과 배경 소음을 구별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으며, PTSD와 자폐증과 같은 상태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이 발견은 뇌가 정보를 걸러내는 방식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감각 및 기억 관련 장애를 치료하기 위한 새로운 전략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 ∞∞∞ ───  익숙한 것을 한눈에 알아보는 뇌 회로, 해마의 비밀 우리는 왜 친숙한 얼굴이나 물건을 한눈에 알아볼 수 있을까요? 반대로 처음 보는 것은 어딘가 낯설게 느껴지곤 합니다. 이런 능력 뒤에는 우리의 기억 이 큰 역할을 합니다. 뇌의 해마(hippocampus)라는 부분이 과거의 기억을 보관하고 있다가, 현재 들어오는 감각 정보와 비교하여 이것이 익숙한지 새로운지 판단하도록 돕는 것이죠. 예를 들어, 해마는 “이건 예전에 봤던 거야” 혹은 “처음 보는 거네”라는 신호를 뇌의 다른 부분에 보내 우리의 인식을 조절합니다. 이 덕분에 우리는 중요한 새로운 정보 에 주의를 기울이고, 이미 아는 것은 배경 소음처럼 무시할 수도 있습니다. 해마는 특히 대뇌피질의 한 부분인 내후각 피질 (entorhinal cortex)과 긴밀히 소통합니다. 내후각 피질은 오감에...

한 해를 시작하는 날은 많다?│시간과 종교적 본능

※ 이 글은 '얼룩소'에 2023년 1월 2일에 게재했던 글입니다. (부제를 약간 수정) ─── ∞∞∞ ─── 1년의 시작점은 많습니다. 우리에게 익숙한 시간은 동지, 설, 정월대보름, 입춘 등입니다. 전에 이야기한 16세기 후반 프랑스의 신년 기념일들처럼( 참고 ) 같은 나라 안에서도 여러 신년 기념일이 있는 경우는 특이한 현상이 아닙니다. 왜 이렇게 되었을까요? 원래 지역적인 단일성은 있었을 겁니다. 특정 지역에서는 1월 1일이다, 이 동네는 음력 설이다, 이 동네는 입춘이다, 이렇게 말입니다. 이게 어떤 계기에 통합되는 과정을 거칩니다. 지역적으로 통일성을 가진 집단들이 묶여서 더 큰 집단으로 통합되면서 시간, 의례 등을 통합하는 과정이 뒤따르게 됩니다. 종교단체 수준에서도 진행이 되지만 국가 수준에서도 진행이 됩니다. 이 과정은 국가의 흥망성쇠, 종교단체의 흥망성쇠 등 집단 구속력의 변화에 따라서 부침을 겪으며 반복·중첩되었을 것으로 보입니다.  앞서 언급한 프랑스에서는 16세기에 신년 기념일을 단일화하려 했습니다. 한국에서는 그러한 노력이 19세기말 20세기에 시도되었습니다. 공식적인 수준에서 한 해의 시작일은 그렇게 하루 아침에 바꿀 수 있지만, 의례적으로 기념하는 첫 날은 쉽게 변화하지 않습니다. 이를 문화적 관성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선조들이 해왔던 대로 해야 한다는 의식으로 나타남). 여러 신년 기념일은 그런 통합의 힘에도 어떤 현실적 필요에 의해서 과거의 전승이 살아남아 그 흔적을 남긴 덕분입니다. 다만 해당 기념일을 현재에 활용하는 의미는 달라질 수 있습니다.  현재적 가치를 상실하게 된다면 사라질 운명을 일 겁니다. 그럴 경우 '고유한 문화를 지키자'는 운동이 표출될 수도 있습니다. 집단 정체성과 관련된 전통으로 선택되지 못하면 잊혀지는 것이고요. 동지 우리에게는 팥죽 먹는 날 정도의 의미만 남았습니다. 그러나 이 날도 과거에는 새해가 시작되는 날로 기념되었습니다. 그런 동지 축제가 신년 축제인 사례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