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글은 2015년 5월 8일에 작성된 글을 약간 수정한 것이다.
―― ∞∞∞∞∞∞ ――
얼마전 BBC기사에서 봤던 사진, 처음에 봤을 때 네팔 지진 피해로 부모를 잃은 아이들이 겁에 질려 있는 모습이라는 생각이 들었는데, 해당 기사("Haunting 'Nepal quake victims' photo from Vietnam")를 보면, 이 아이들 사진은 Na-Son이라는 베트남의 프리랜서 사진작가가 한 마을에서 찍은 것이라고 한다.
Na-Son은 그의 트위터에 이렇게 밝혔다.
이것은 Ha Giang 지방에서 2007년에 촬영된 베트남의 Hmong족 아이 둘에 관한 내 사진이지, 네팔에 관한 게 아닙니다.
오해, 유언비어, 사람들의 몰상식?
사람들의 '오해'로 해괴한 헤프닝이 벌어졌다고 생각해 볼 수도 있다. 그렇지만 위 BBC기사를 보면 이 사진이 2011년에 발생한 '시리아 내전' 때도 '시리아 전쟁으로 부모를 잃은 아이들'로 유행했던 전력이 있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 사진의 아이들은 고아들이 아니었다. 사진작가의 설명에 따르면, 먼 곳으로 부모는 일을 나가 있었고, 아이들은 집 앞에서 놀고 있었다고 한다. 낯선 사람(사진작가)이 다가오니 여자 아이가 무서워하며 오빠에게 안긴 것이고, 큰 아이도 약간의 불안을 보이면서 동생을 안고 있는 모습이 만들어진 것이다.
그러나 사람들은 이미 말했다시피 이 사진을 시리아 내전의 전쟁고아, 네팔 지진 고아의 모습으로 유통시켰다. 악의적으로 이 사진을 이용하는 몇몇 사람들에 의해 여러 사람들이 부화뇌동해서 벌어진 일이라고 설명해 버릴 수도 있을 것이다. 그러나 뭔가 인간 본성적 차원의 기제가 영향을 끼친 것이 아닐까라는 의구심을 갖게 한다. 왜? 비슷한 사건이 반복되었기에.
이거 어디서 본적 있어
예전에 영화 <코치 카터>의 명대사, "Our deepest fear"에 대한 글을 쓴 적이 있다("Coach Carter(2005) - 명대사, "Our deepest fear"와 그에 얽힌 이야기"*). 저 대사의 출처를 사람들이 넬슨 만델라의 연설이라고 여기고 있는 '현상'을 그 글에서 언급한 적이 있다. 적절한 해답을 제시하지 않았고, 그게 '그림'이 참 잘 만들어지기 때문에 사람들이 그러지 않았을까 하는 추정 정도를 제시했었다.
* 이 블로그에 'Our deepest fear' speech와 넬슨 만델라│오귀인 사례 (1)'라는 제목으로 수정 후 게재했다.
그런데 의외로 이러한 기억의 출처 오류(source confusion)는 인간사에서 빈번하게 발생하는 일이다. 개인의 기억 차원에서도 우리는 어떤 사건을 전혀 다른 사건과 연결지어 기억했던 적이 있었음을 종종 경험하게 된다. 집단의 수준에서도 이러한 경향은 마찬가지로 일어난다.
무언가 기억되기 위해서는 단순화의 과정이 필연적으로 나타난다. 그것은 일종의 '기억의 최적화'라고 할 수 있다. 좀 더 잘 기억될 수 있는 형태로의 변형이 일어나기 마련이다.
그럼 이번 "베트남에서 찍힌 네팔 지지 고아" 사진도 이러한 '변형'의 결과물일까? 결과물이라고 말하기에는 어폐가 있지만 그 변형의 지향성은 명확하게 보여주고 있다고 생각된다. 지진 피해로 부모를 잃은 아이, 이런 관념에 잘 부합하는 이미지라는 면에서 저 사진의 "재활용"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보이기 때문이다.
어떤 작품(시, 그림 등)이 다른 작가의 이미지에 잘 부합한다고 해서 그 작품과 작가를 연결시킨 그런 예도 존재한다.
최근에 내가 확인한 것에는 사육신에게 돌려진 그들의 시가 중에 일부 저작자가 다른 사람인 경우가 존재한다고 한다(신성환, 〈사육신(死六臣) 담론의 전변(轉變)과 조선후기 시가(詩歌)의 수용 양상〉).
그런 식으로 의심되는 것 중의 하나가 <하여가>와 <단심가>이기도 하다(이건 설왕설래가 있어, 아직 확신을 못하겠다. 참고: "정몽주는 선죽교에서 죽지 않았다?"*). 아마 이러한 예는 이런 경우 외에도 무궁무진하게 많을 것이다.
* 추후 이 블로그에 업데이트 예정.
이러한 관념 혹은 기억 이미지는 그 내적인 기본 논리 메커니즘에 맞게 재편될 때, 잘 기억될 뿐 아니라 잘 확산될 수 있는 것 같다(가령 '늠름하고 용감한 남자'/'가녀린 아리따운 남자' 중 우리의 연상에 자연스러운 것은?*). 연상작용을 통해서 그 관념/기억 이미지가 담고 있는 메시지를 '쉽게 떠올릴 수 있다'는 것은 기억과 기억의 확산에서 유리할 수밖에 없어 보인다.
* 꼭 친숙한 것이 잘 기억된다고 보기는 어렵다. 너무 익숙한 것은 지루하고 그래서 외면받기 쉬운 측면도 있기 때문이다. 물론 위 내용에서 주목한 것은 '익숙한 것이 기억하기 쉽다'는 게 아니라 '기억되는 것은 기억하기 쉬운 형태로 변형되어 간다'는 것이라 약간 차이가 있지만, 전자의 것으로 생각할지 몰라 덧붙여 본다.
모두 익숙한 데 한 두 가지 이상한 점이 있는 경우가 더 잘 기억될 수 있다고 한다(반직관성counter-intuitiveness). 너무 낯선 것은 무시되고 잊혀지기에. 딱 적당한 '차이'의 정보를 가지고 있는 것이 잘 기억된다는 이야기.이 기억의 특성을 가장 극명하게 보여주는 게 '소문'의 영역이다. 유언비어, '그럴듯한 풍문'일 때라야 그 확산성이 높은 법이다. '아니 땐 굴뚝에 연기나랴'라는 말에 어떤 이들이 '아니 땠어도 연기가 나더라'는 우스개 소리를 하는 경우가 있다.
사람들이 쉽게 이야기를 만들어 내게 되는 경우를 보면, 어떤 사태나 사람에 대해서 사람들이 잘 투사하게 되는 감정이나 이미지, 그것으로 자연스럽게 연상될 수 있는 이야기들이 들러 붙은 경우라는 것을 알 수 있다.
인간의 인지구조 탓 아닐까?
기억, 소문 등에서 사건, 이미지, 이야기 등이 만들어지는 과정에서 이러한 변형이 쉽게 목격되고 있는 이러한 현상은 결국 인간의 기본적 인지 구조 혹은 인지 작용의 '부산물'일 개연성이 높음을 보여준다.
왜 베트남 아이들이 시리아 내전의 전쟁고아, 네팔의 지진 고아로 회자되었는가에 대해 위 설명이 자못 설득력이 있다고 생각하는데, 다른 사람들은 어떻게 생각할지 모르겠다.
━━━━━━
[사족1 - 이 사건에 대해서는 며칠 전에 트윗을 한 바가 있었고, 그것을 글로 만든 것이다.]
[사족2 - 최근 어떤 종편에서 '세월호 폭력 시위' 사진이라고 내 놓은 것이 2003년과 2008년 '시위대 전경 폭행 사진'이었다. 이것으로 '폭력시위' 규정하려고 한 일이었다.
위의 '설명'이 이런 행위를 '정당화'하는 것은 아니다. 이건 거의 범죄적 공작이자 선동이다. 이런 데이터들이 훗날 일부 사람들의 시위에 대한 기억을 전형화시킬 수 있고, 그런 과정에서 인지적 메커니즘이 어떠 어떠하게 작동한다는 것은 위의 논의와 관련해서 '설명'해 볼 수 있는 사안일 것이다. 그러나 그런 악의적 행위와는 아무런 관련이 없다.]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