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한 그루의 사과나무를 심겠다'는 누가 한 말일까? 스피노자인가 루터인가? │ 오귀인 사례 (5)

'비록 내일 지구의 종말이 온다 하여도, 나는 오늘 한 그루의 사과나무를 심겠다.'

'내일 세상이 멸망해도 나는 오늘 한 그루의 사과나무를 심겠다.'

이 명언을 모를 사람이 있을까? 나는 어렸을 때 이 말을 스피노자라는 철학자가 했다고 들었던 것 같다. 그래서 누구의 말인지 궁금하게 생각해 본 적도 없는데, 우연히 이 말의 최초 발화자에 대한 설왕설래가 있다는 걸 알게 되었다.

이 말도 오귀인(misattribution) 된 말인가,라는 호기심을 가지고 이것저것 찾아봤다. 그 결과를 정리해 본다.

─── ∞ ───

일반적으로 한국에서는 '스피노자'가 한 말로 여겨진다. 네이버 뉴스라이브러리를 통해서 찾아보면, 관련 언급을 1962년 4월 5일자 조선일보 기사에서 찾아볼 수 있다.

『비록 來日 世界의 終末이 오더라도 나는 오늘 사과나무를 심겠다』고 「스피노자」인가 누군가가 말했다지만..

기사를 통해서 그 출처를 확인할 수 있지만 과연 기자가 지어낸 것인지, 어느 출판물에 언급된 것을 인용한 것인지는 정확히 알 수 없다.

과거에 국내의 최초 언급 사례로 1966년 기사가 지목되었는데(참고: [팩트체크] 내일 지구가 … 한그루의 사과나무를?), 조선일보 자료가 최근에(2020년) 서비스되기 시작했기 때문에 그랬던 것으로 보인다. 그러니 최초 출처는 새로운 데이터가 나오면 향후에 충분히 업데이트 될 가능성이 있다.

'오늘 사과나무를 심겠다'의 발언자가 '스피노자가 아니다'라는 글들은 의외로 많이 보인다(구글검색 결과). 

여러 글들을 검토해 보면, '스피노자가 한 말이다'라는 건 한국에서만 유행한 듯 싶다.

구글 검색으로 'Even if I knew ... apple tree'를 찾아보면 대부분 마틴 루터를 언급하고 있고, 일부 게시물에서 루터도 아니고 1944년 독일에서 해당 발언을 루터에게 돌리는 한 목사의 발언을 볼 수 있다는 점이 지적된다("Which Martin Luther said "Even if I knew … apple tree.""). 

첫 번째 인용문은 Scott H. Hendrix의 Martin Luther: A Very Short Introduction(2010)의 90쪽 내용이다.


루터가 '내일 세상이 멸망할 것을 알았더라도, 나는 오늘 사과나무를 심을 것이다'라고 말한 것으로 널리 알려져 있다. 그러나 지금까지 이 말은 그의 저작에서 발견되지 않는다. 학자들은 그것이 나치 독재정권에 반대하는 동안 희망과 인내를 고취시키기 위해 사용했던 독일 고백교회에서 유래했다고 믿고 있다.

- Scott H. Hendrix, Martin Luther: A Very Short Introduction,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2010, p. 90.

Karl Lotz라는 목사가 쓴 서신에 언급되어 있다는 설명은 Heaven on Earth: The varieties of the millennial experience에서 찾아볼 수 있다(이 서지에 대해서는 Quotes of famous people에서 찾았다). 해당 책의 48쪽 주 35에 기록되어 있다.

35 루터를 그 발언의 출처로 삼는 것은, 늦긴했지만 제2차 세계 대전 끝 무렵에 독일 국민을 안심시키는 역할을 했다. "Und wenn morgen die Welt unterginge, so wollen wir heute unser Apfelbaeumchen flanzen*(그리고 만약 세상이 무너질지라도, 우리는 오늘 사과나무를 심을 것이다)"는 1944년 10월 5일 칼 로츠 목사로부터 그의 신자들(헤슨 주 발덱 마을 복음 교회)에게 보낸 내부 서한에 실려 있다. 이것이 그 표현을 루터가 말한 것이라고 하는 최초의 확실한 사례다. Martin Schloemann, Luthers Apfelbaeumchen? Ein Kapitel deutcher Mentalitatsgeschichte seit dem Zweiten Weltkrieg (Goettingen: Vandenhoeck Rupprecht, 1994)를 보라.

- Richard Allen Landes, Heaven on Earth: the Varieties of the Millennial Experience,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2011, p. 48, n. 35.

*보통 해당 표현은 이렇게 통용되고 있다. "Und wenn ich wüßte, daß morgen die Welt unterginge, so würde ich doch heute mein Apfelbäumchen pflanzen."

**(추가) 이 책의 48쪽에 서기 70년 경에 '사과나무를 심어라'는 말의 선례가 있다고 이야기한 글(스피노자 내일 … 한국 오해)이 있어서 덧붙여 놓는다. 해당 글에서 1세기경 랍비의 말을 "만약 그대가 사과묘목 한 그루를 가졌다면, 그리고 누군가 '여기에 메시아(Messiah: 구세주; 구주)께서 계신다'고 그대에게 말해주면, 그대는 사과묘목을 땅에 심고 메시아를 영접하라"라고 옮겨 놓고 있다. Heaven on Earth 48쪽의 해당 표현을 보면, "If you have a tree shoot in your hand and someone says to you, ‘Here is the Messiah’—go and plant the tree, and afterwards go and greet him."(여러분의 손에 나무 한 그루가 들려있는데, 누군가가 여러분에게 '메시아가 여기 있다'고 말하면, 가서 나무를 심고, 그런 후에 가서 그를 맞이하십시오)이라고 되어 있다. tree를 '사과나무'로 옮긴 것은 루터하고 연결(주35)되어 있기 때문일까?

검색을 해 보다 보니 Luthers Apfelbaeumchen?보다 이전에 이 문제를 다룬 책이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Volkmar Joestel의 Legenden um Martin Luther und andere Geschichten aus Wittenberg(1992)가 그것이다.

루터를 둘러싼 전설이 책 한권이 될 정도로 상당하다는 걸 알 수 있다. 그 일단을 아래 글에서 확인해 볼 수 있다(Legenden um Martin Luther: Vom Blitzschlag bis zum Tintenfass). 

독일어지만 우리에겐 구글번역이 있다! 5개의 사례를 담고 있다. 1. 악마에게 잉크병을 던진 일, 2. 벼락 맞을 뻔 하고 수도사가 되기로 결심했다는 일, 3. 루터의 지지자가 지팡이를 나무로 만든 일, 4. 루터가 사과나무를 심겠다는 말을 했다는 것, 5. 종교개혁의 아이디어를 뒷간에서 얻었다는 것.

"Und wenn ich wüßte, daß morgen die Welt unterginge, so würde ich doch heute mein Apfelbäumchen pflanzen"이 돌에 새겨져 기념되고 이 말이 루터의 일기장에 쓰였다고 회자되고 있다고 한다(아래 사진). 

다만 독일에서도 이게 근거 없는 일이라는 건 여러 지면을 통해 알려지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Luther und das Apfelbäumchen; Mit Luther hat der Spruch nichts zu tun). 

확실히 '팩트 체크' 정도로는 전설의 생명력이 사라지는 게 아닌 것 같다. 

튀링겐 주 아이제나흐 소재의 '루터의 집' 기념명판

위 로드뷰의 좌측 하단 나무 아래의 돌판에 문제의 그 말("...mein Apfelbäumchen pflanzen")이 쓰여있다.

'오늘 사과나무를 심겠다'는 말을 누가 말했는가에 대한 한국인들의 상투적 답변은 '스피노자'였고(지금은 많은 지면에서 스피노자가 아니고 루터 혹은 익명의 저자로 정정), 독일을 비롯한 외국 사람들은 루터를 꼽았다. 원출처가 누구였는가는 지금으로서는 '밝힐 수 없는 문제'다.

오귀인은 '유명한 사람'에게 향한다. '그럴 듯한 개연성'만 갖추어진다면, 그렇게 집단 기억(전설)은 탄생하게 되는 것 같다. 그것이 계속 사람들 사이에서 확산되게 되면 그만큼 힘을 얻게 되는 듯하다. 그럴 듯한 근사한 이야기와 유명인의 결합이 만들어 내는 인지적 환기 효과는 '팩트의 힘'을 능가하는 잠재력이 있다.

 

cf. 그동안 내가 주목했던 오귀인 사례

1. 넬슨 만델라와 'Our deepest fear' speech

2. 네팔 지진 고아로 알려진 사진 속 주인공이 베트남 아이들이었던 반전

3. '모든 초고는 쓰레기다', 헤밍웨이가 한 말이라고 알려져 있는데, 정말 그런가?

4. '인생은 속도가 아니라 방향이다'는 누가 한 말인가?

 

──────

참고한 글들

"진짜 스피노자가 사과나무를 심겠다고 말했나?"(2008)

"스피노자의 사과나무"(2009)

"지구 종말의 날에 사과나무를 심겠다는 말의 뜻은?"(2014)

"[팩트체크] 내일 지구가 멸망하더라도 나는 오늘 한그루의 사과나무를?"(2018)


──────

이 글은 과거 블로그에 2022년 3월 18일 작성된 "'그래도 사과나무를 심겠다', 누가 한 말? 스피노자? 루터?"를 수정하여 다시 게재한 것이다.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ChatGPT에 '크리스마스와 동지'의 관계를 물어 보았다.

요즘 핫하다는 '챗GPT'에 크리스마스와 동지의 관계를 물어보았다. https://openai.com/ 나: 크리스마스가 동지와 관계가 있다고 생각하니? 챗봇: 크리스마스는 세계 여러 지역에서 전통적으로 12월 25일에 기념하는 축제일이며 종종 북반구에서 1년 중 낮이 가장 짧은 동지와 관련이 있다. 동지는 보통 12월 21일 또는 22일 경에 발생하며 태양이 하늘에서 가장 낮은 지점에 도달하는 것, 즉 일 년 중 밤이 가장 긴 날을 표시한다. 크리스마스 축제는 원래 기독교 이전의 동지 축제의 영향을 받았을 것으로 생각되며, 이는 종종 태양의 재생과 낮이 더 길어지는 시기의 복귀와 관련이 있다. 고대 로마인과 고대 켈트족을 포함한 많은 고대 문화에는 동지와 태양의 귀환을 중심으로 한 전통과 축제가 있었다. 그러나 크리스마스는 복잡한 역사를 가지고 있으며 다양한 문화 및 종교적 영향에 의해 형성되었다는 점에 유의하는 것도 중요하다. 동지가 축제일의 기원에 역할을 했을 수도 있지만, 크리스마스는 광범위한 종교적, 문화적 전통과 연관되어 현재 전 세계의 다양한 신앙을 가진 사람들이 기념하고 있다. 크리스마스와 동지의 관계에 대해서 비교적 유의미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으로 보인다.  동지 축제와 관련성을 '논증'하지는 않지만, 중요한 정보(동지 축제와 관련되지만 현재는 역사/문화/종교적 설명이 복잡하게 얽혀있다거나 복잡하게 변화했다)는 대체로 잘 이야기하고 있다. 인지진화적 설명은 관련 문서가 부족하기 때문에 활용하지 못하는 것으로 보인다. 디테일이 부족한 것도 한계라 할 수 있겠지만, 간단한 답변으로서는 상당한 수준이라는 것도 부인할 수 없는 것 같다. 챗GPT가 3문단으로 설명하는 것을 나는 A4 몇 페이지로 설명했던가. 대학 등에서 학생들에게 과제나 시험문제를 내줄 때 이제 안일하게 내면 AI가 답을 써주는 시대가 되어버린 듯하다. ─── ∞∞∞

'정신병', 스캡틱, 박한선

※ 이 글은 ' 얼룩소 '에 2023년 1월 28일에 게재했던 글입니다. 본래 제목을 약간 수정하였습니다. 이 글은 Skeptic Korea의 " 정신의학의 오래된 과제, 과학적 치료와 처방 "에 관한 얼룩소글의 출처를 체크하고, 정신질환 치료의 현실에 대해 박한선 선생님께 들었던 이야기를 정래해 본 글입니다. ─── ∞∞∞ ─── 최근에 나온 글인 줄 알고 찾아봤더니 전에 나온 글이군요. 마침 어제(1/27) 정신과 의사 출신 인류학자 박한선 선생님을 통해서 관련 이야기를 듣고, 글쓴이부터 찾아 봤습니다. 다른 저자인 걸 보고, 정신의학계에서 상당히 유명한 이야기라는 걸 짐작할 수 있었습니다. 박선생님께서 정신병 진단과 치료에 '정신분석학'이 사용되고 있다고 하셔서 좀 어리둥절 했었습니다. 심리학계(실험심리가 중심이 된)에서는 배우지 않게 된 분야로 알고 있어서 의학 분야에서도 당연히 퇴출되었다고 지레짐작하고 있었습니다. '왜 인지 모르지만, 효과가 있다'는 면에서 정신과 치료가 이루어지는 현실을 생각해 보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아, '정신분석학'도 프로이트, 융 시절의 버전이 아니라 많이 업데이트가 되었다고 하더군요. 자세한 부분은 과문해서 잘 모르겠습니다만. 어제 박선생님이 들려주신 이야기도 떠올라 흥미롭게 이 스켑틱의 글을 읽다가 문득 출처가 궁금해서 찾아 보니, '한국 스켑틱'에는 14권(2018년)에 "정신의학은 과학이 될 수 있을까"라는 제목의 글로 실려있었습니다. (스켑틱에서 얼룩소에 올리는 글이 최근호에 실린 글이 아니라는 걸 이제사 깨달은 거죠) https://www.badabooks.co.kr/SKEPTIC_magazine/?idx=54 글은 14권의 68~83쪽에 실렸습니다. 이 글을 일부 발췌해서 재편집한 것이 위의 얼룩소에 실린 글이더군요.

미신과 종교라는 개념에 담긴 '너는 틀렸고, 내가 맞다'

※ 이 글은 ' 얼룩소 '에 2023년 1월 21일에 게재했던 글입니다. ─── ∞∞∞ ─── 미신이란 말을 많이 씁니다. 그게 무엇이냐 물어 본다면 우리는 어떤 행위들이나 관념을 이야기합니다. 뇌과학자 정재승 선생님도 미신 이야기를 하면서 '빨간색으로 이름 쓰는 행위가 불길하다는 미신'을 이야기했습니다. 차이나는 클라스, 정재승 편 미신이 어떤 것인가를 말할 때, 이렇게 미신에 속한 것들을 이야기하게 됩니다. '시험 볼 때 미역국을 먹지 않는다' '시험 볼 때 포크를 선물한다' '손 없는 날 이사해야 한다' '밤에 손톱을 깎으면 안 된다' '귀신을 쫓기 위해서 팥죽을 먹는다' 그럼 '미신'은 어떤 것이냐 설명해 보라면, 아마 이런 말들을 늘어 놓게 될 겁니다. https://engoo.co.kr/blog/먼나라이웃나라-세계-각국의-다양한-미신들/ 표준국어대사전에 바로 그와 같이 설명이 되어 있습니다. 표준국어대사전 '미신' 항목 그런데 이런 개념은 일상에서는 그런대로 사용할 수 있지만, 엄밀하게 따지면 쓸 수 없는 설명입니다. '비합리적이고 비과학적'인 게 너무 광범위하기 때문입니다. 도덕적, 경제적 판단과 믿음에도 그런 사례를 많이 찾아 볼 수 있습니다. 가령 '관상은 과학이다', 'ABO 혈액형 성격론', '과시적 소비' 등등. 어떤 종교적 맥락에서 '이상한 것'을 이야기하기 위해서 '미신'이란 말을 많이 사용합니다. 종교와는 다른 것으로 이야기합니다. 그런데 위 국어사전의 개념 정의는 종교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