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나는 옳은 일을 능히 하고 그른 일은 하고자 하지 않는다'는 세상 사람들의 말

예전에 고전번역원 메일링 서비스로 우연히 보게 된 내용이다. 허목의 문집 《기언(記言)》에 실린 '어시재기(於是齋記)'라는 제목의 글이다.

'於是齋記' 원문(클릭하면 고전DB로)

허목이 척주(陟州, 지금의 삼척 지역)의 부사로 재직할 때 전임 부사 임후에게 편지가 와 자신이 집을 하나 지어 '어시재(於是齋)'라 이름하였는데 허목이 기문과 편액을 적어 보내주면 좋겠다고 편지를 써 보냈다. 이에 허목이 임후에게 '어시재'라는 이름 내력을 알려달라 편지를 보냈다. 임후의 답장에는 아버지 묘 근처에 지은 집으로 여생을 보낼 곳이라 하며 이름의 내력이 되는 말을 이렇게 적었다.

아! 세상 사람들이 그른 것을 옳다고 하고 옳은 것을 그르다고 하는 것은 문란한 일입니다. 누구나 다 ‘나는 옳은 일을 능히 하고 그른 일을 하고자 하지 않는다.’ 하지만, 그의 행동을 꼼꼼히 살펴보면 옳은 것은 적고 그른 것은 많으니, 저는 이것을 두렵게 생각합니다.

噫, 世之是非非是, 亂矣。人之言莫不曰吾能於是, 而不願於非。然考之行事, 則於是者寡, 於非者蓋衆也。僕乃大懼也。

허목(許穆), 〈어시재기(於是齋記)〉, 《기언(記言)》
(고전DB 디렉토리: 기언 > 기언 별집 제9권 > 기(記) > 어시재기(於是齋記))

'나는 옳은 일에 능하다(吾能於是)', '옳은 것이 적다(於是者寡)'에서 '옳은 일에'(於是)라는 말을 따서 집의 이름을 지었던 것이다. 허목이 이 말을 보고 감탄하며 '기록할 만하다'하고 '기(記)'를 지었다.

경계할지어다 / 戒之哉
옳고 그름이여 / 有是非
옳은 것과 그른 것은 / 有是非
명철한 사람이면 가려낼 수 있다네 / 明者擇之
옳은 데 처하기가 어려운 게 아니라 / 處是非難
확고하게 지키기가 어려운 법이라네 / 確於是爲難
강한 자라야 능히 할 수 있나니 / 剛者得之
경계하고 경계할진저 / 戒之哉

사실 이런 관찰은 흔하기는 하다. 그 말에 무릎을 칠 것이지만, 한 발 더 들어가긴 어렵다. 옳은 것은 '남들을 살펴 볼 때, 잘 분간할 수 있'는 성격을 가지고 있다. '그의 행동을 살펴 볼 때, 옳은 것은 적고 그른 것은 많'은 것은 당연한 일이다.

자신의 행동을 보며 '옳은 것은 적고, 그른 것이 많다'고 여기기가 어려운 일이다.

법의 정의가 실소를 머금게 하는 작금의 세태를 보면 '정의를 심판'하는 일을 하는 사람들이 '어시(於是)'를 자신을 보고 판단할 수 있었으면 한다. 

아니 그렇다면 그들이 더욱 정의의 화신이 될까? 아, 역사를 망각했구나. 선(善)과 정의를 결정할 수 있다고 믿었던 사람들이 해 왔던 일들은 대체로 그랬었지.

'이것(말)이 사슴이 아니라 여기는 자 손(들어)'(저승행 편도열차를 태워주겠어)

지마위록(指馬爲鹿) 혹은 위록지마(爲鹿指馬)라 불리더이다('지록위마'가 아님에 주의).

요네즈 켄시(米津玄師)의 '馬と鹿(우마토시카)' 앨범 커버 이미지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미신과 종교라는 개념에 담긴 '너는 틀렸고, 내가 맞다'

※ 이 글은 '얼룩소'에 2023년 1월 21일에 게재했던 글입니다. ─── ∞∞∞ ─── 미신이란 말을 많이 씁니다. 그게 무엇이냐 물어 본다면 우리는 어떤 행위들이나 관념을 이야기합니다. 뇌과학자 정재승 선생님도 미신 이야기를 하면서 '빨간색으로 이름 쓰는 행위가 불길하다는 미신'을 이야기했습니다. 차이나는 클라스, 정재승 편 미신이 어떤 것인가를 말할 때, 이렇게 미신에 속한 것들을 이야기하게 됩니다. '시험 볼 때 미역국을 먹지 않는다' '시험 볼 때 포크를 선물한다' '손 없는 날 이사해야 한다' '밤에 손톱을 깎으면 안 된다' '귀신을 쫓기 위해서 팥죽을 먹는다' 그럼 '미신'은 어떤 것이냐 설명해 보라면, 아마 이런 말들을 늘어 놓게 될 겁니다. https://engoo.co.kr/blog/먼나라이웃나라-세계-각국의-다양한-미신들/ 표준국어대사전에 바로 그와 같이 설명이 되어 있습니다. 표준국어대사전 '미신' 항목 그런데 이런 개념은 일상에서는 그런대로 사용할 수 있지만, 엄밀하게 따지면 쓸 수 없는 설명입니다. '비합리적이고 비과학적'인 게 너무 광범위하기 때문입니다. 도덕적, 경제적 판단과 믿음에도 그런 사례를 많이 찾아 볼 수 있습니다. 가령 '관상은 과학이다', 'ABO 혈액형 성격론', '과시적 소비' 등등. 어떤 종교적 맥락에서 '이상한 것'을 이야기하기 위해서 '미신'이란 말을 많이 사용합니다. 종교와는 다른 것으로 이야기합니다. 그런데 위 국어사전의 개념 정의는 종교도 포함된다고 볼 수 있습니다. 미신과 종교가 구분되지 않는다면, 어딘지 이상하게 느껴집니다. '미신'은 과학적 개념은 아니다 우리가 일상에서 당연시하는 많은 개념은 편견의 산물인 경우가 많습니다. 정상과 비정상의 구분에서 그런 게...

미신에 대한 중립적 개념은 무엇일까?

※ 이 글은 '얼룩소'에 2023년 1월 25일에 게재했던 글입니다. 본래 제목을 약간 수정하였습니다. ─── ∞∞∞ ─── 미신, 사이비, 이단 이 말들은 종교의 대척점에 있는 개념들입니다. 미신은 종교적 의식(儀式)이지만, 종교적 수준에 이르지 못한 것을 지칭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물론 모든 비과학적인 믿음을 통칭할 때 사용하기도 합니다. 사이비(似而非), 말뜻은 ‘비슷하지만 틀린 것’이죠. 영어의 ‘pseudo-’에 대응되는 말입니다. 사이비 종교를 ‘pseudo religion’이라고 하지요. ‘가짜’라는 의미가 두드러집니다. '사이비'란 말은 『맹자(孟子)』, 「진심장구하(盡心章句下)」 편에 수록된 말입니다.  孔子曰: 惡似而非者(공자왈: 오사이비자) 공자께서 말씀하시길, "나는 비슷해 보이지만 실제로는 아닌 것을 싫어한다." 출처: 다락원 페이스북(https://www.facebook.com/darakwonchild) 이 언급의 자세한 맥락은 다음의 글을 참고하세요( 사이비-나무위키 ). 겉만 그럴 듯하고 속은 빈 경우를 말합니다. 사이비란 말은 참된 종교와 거짓 종교를 말하는 맥락에서 많이 쓰이게 되면서 애초 의미에서 '거짓 가르침'으로 변하였습니다(사이비과학, 사이비종교 등등). 이단(異端), 말뜻은 ‘끝이 다르다’이고, 의미상으로 ‘사이비’와 큰 차이가 없습니다.  『맹자집주』의 주자주(朱子註) 중 '맹자는 양주와 묵적과 같은 이단에게서 유교를 지켰다'라는 표현이 나옵니다. 유교의 맥락에서 '이단'의 대표주자는 '양주와 묵적'입니다. 양주는 '위아설'(나만 위하면 돼), 묵적은 '겸애설'(모두 무차별적으로 사랑하라)로 이야기됩니다. 유가들이 곡해해서 '무부무군(無父無君)의 가르침'으로 평가되는 것이지, 그리 허무맹랑한 가르침은 아니라고 평가되고 있습니다(참고: 양주(전국시대)-나무위키 ...

한 해를 시작하는 날은 많다?│시간과 종교적 본능

※ 이 글은 '얼룩소'에 2023년 1월 2일에 게재했던 글입니다. (부제를 약간 수정) ─── ∞∞∞ ─── 1년의 시작점은 많습니다. 우리에게 익숙한 시간은 동지, 설, 정월대보름, 입춘 등입니다. 전에 이야기한 16세기 후반 프랑스의 신년 기념일들처럼( 참고 ) 같은 나라 안에서도 여러 신년 기념일이 있는 경우는 특이한 현상이 아닙니다. 왜 이렇게 되었을까요? 원래 지역적인 단일성은 있었을 겁니다. 특정 지역에서는 1월 1일이다, 이 동네는 음력 설이다, 이 동네는 입춘이다, 이렇게 말입니다. 이게 어떤 계기에 통합되는 과정을 거칩니다. 지역적으로 통일성을 가진 집단들이 묶여서 더 큰 집단으로 통합되면서 시간, 의례 등을 통합하는 과정이 뒤따르게 됩니다. 종교단체 수준에서도 진행이 되지만 국가 수준에서도 진행이 됩니다. 이 과정은 국가의 흥망성쇠, 종교단체의 흥망성쇠 등 집단 구속력의 변화에 따라서 부침을 겪으며 반복·중첩되었을 것으로 보입니다.  앞서 언급한 프랑스에서는 16세기에 신년 기념일을 단일화하려 했습니다. 한국에서는 그러한 노력이 19세기말 20세기에 시도되었습니다. 공식적인 수준에서 한 해의 시작일은 그렇게 하루 아침에 바꿀 수 있지만, 의례적으로 기념하는 첫 날은 쉽게 변화하지 않습니다. 이를 문화적 관성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선조들이 해왔던 대로 해야 한다는 의식으로 나타남). 여러 신년 기념일은 그런 통합의 힘에도 어떤 현실적 필요에 의해서 과거의 전승이 살아남아 그 흔적을 남긴 덕분입니다. 다만 해당 기념일을 현재에 활용하는 의미는 달라질 수 있습니다.  현재적 가치를 상실하게 된다면 사라질 운명을 일 겁니다. 그럴 경우 '고유한 문화를 지키자'는 운동이 표출될 수도 있습니다. 집단 정체성과 관련된 전통으로 선택되지 못하면 잊혀지는 것이고요. 동지 우리에게는 팥죽 먹는 날 정도의 의미만 남았습니다. 그러나 이 날도 과거에는 새해가 시작되는 날로 기념되었습니다. 그런 동지 축제가 신년 축제인 사례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