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파이썬으로 로또 번호를 만들어 볼까?

파이썬으로 로또 번호를 뽑을 수 있는 방법이 여러 가지 있겠지만, 나 같은 초보자가 짤 수 있는 것은 기껏해야 두 가지 정도다.

random 라이브러리를 이용해서

1~45까지의 임의의 정수를 추출하는 randrange(1, 46), randint(1, 45)를 써서 숫자를 뽑는 방법이다.

from random import *

print(randrange(1, 46))
print(randrange(1, 46))
print(randrange(1, 46))
print(randrange(1, 46))
print(randrange(1, 46))
print(randrange(1, 46))

이런 식으로 하면 1~45 사이의 6개의 숫자를 무작위로 뽑을 수 있다. 다만 이 경우는 중복을 막을 수 없다. 그렇게 중복이 자주 일어나는 것 같지는 않지만.

역시 random 라이브러리를 이용하지만, 리스트에서 원소를 뽑는 방식을 사용하면 훨씬 그럴 듯하게 '로또 번호'를 파이썬으로 만들어 볼 수 있다.

1~n까지 숫자로 이루어진 리스트를 만드는 방법을 알고,

해당 리스트에서 중복 없이 m개의 원소를 뽑는 함수를 알면 된다.

파이썬에서 1에서 N까지의 숫자 목록

위의 글에서 1~45까지 숫자 리스트 만드는 법을 참고할 수 있었다.

함수를 정의하는 방식으로 작성되어 있다.

def createList(n):
lst = []
for i in range(n+1):
lst.append(i)
return(lst)

print(createList(10))

0~10까지의 수로 이루어진 리스트를 이렇게 정의했는데, 원하는 것은 1~45이므로

range(1, n+1)로 해주면 1~n까지의 리스트 생성 함수를 정의할 수 있다.

def createList(n):
lst = []
for i in range(1, n+1):
lst.append(i)
return(lst)

이렇게 하고 createList(45)를 해 주면 1~45의 수를 갖는 리스트가 생성된다.

리스트에서 중복없이 원소를 뽑아내는 것은 sample()을 이용하면 된다.

sample(a, b)는 a 리스트에서 b 갯수만큼 중복 없이 원소를 꺼낸다는 의미이다.

createList(45)에 lst란 변수를 할당해서, sample(lst, 6)을 하면 1~45 중에서 6개의 숫자를 중복없이 뽑아준다. 이걸 프린트 해주면 결과를 볼 수 있다. 

완성된 코드는 다음과 같다. (print를 5번 반복하지 않고 코드를 줄이는 방법이 있겠지만 아직 파악하지는 못했다)

from random import *

def createlist(n):
lst = []
for i in range(1, n+1):
lst.append(i)
return(lst)

lst = createlist(45)

print(sample(lst, 6))
print(sample(lst, 6))
print(sample(lst, 6))
print(sample(lst, 6))
print(sample(lst, 6))

구글링을 해 보니 훨씬 간단하게 짠 로또 번호 생성기들이 많이 있는 것 같다. 

━━━━━━

추가1

아래 print문 5개는 다음과 같이 줄일 수 있다. for문을 배웠지만 자유롭게 쓰지는 못하니 앞에서 적용을 못했었다. 제대로 짠 것인지는 모르지만 결과는 제대로 나오니까...

for i in range(1, 6):
print(sample(lst, 6))

이렇게 하면 print(sample(lst, 6))을 5회 반복할 수 있다. (보통 로또는 5회분을 구매하니까)

추가2

createlist()를 정의하지 않고 간단하게 [1~45] 리스트를 만드는 방법을 알았다.

range(1, 46)을 list() 함수로 처리하면 간단하게 [1, 2, ..., 45] 리스트를 만들 수 있다. 이렇게 하면 4행짜리 코드로 로또 번호를 n개 생성할 수 있다. 

정리하면 아래와 같다.

from random import *

lottonumset = list(range(1, 46))

for i in range(1, n+1):
print(sample(lottonumset, 6))

위의 코드에서 변수를 제거하면 1행을 더 줄일 수 있다.

from random import *

for i in range(1, n+1):
print(sample(list(range(1, 46)), 6))

여기에서 for문 1줄 쓰기를 하면 또 1행을 줄일 수 있다.


from random import *
[print(sample(list(range(1, 46)), 6)) for i in range(1, n+1)]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ChatGPT에 '크리스마스와 동지'의 관계를 물어 보았다.

요즘 핫하다는 '챗GPT'에 크리스마스와 동지의 관계를 물어보았다. https://openai.com/ 나: 크리스마스가 동지와 관계가 있다고 생각하니? 챗봇: 크리스마스는 세계 여러 지역에서 전통적으로 12월 25일에 기념하는 축제일이며 종종 북반구에서 1년 중 낮이 가장 짧은 동지와 관련이 있다. 동지는 보통 12월 21일 또는 22일 경에 발생하며 태양이 하늘에서 가장 낮은 지점에 도달하는 것, 즉 일 년 중 밤이 가장 긴 날을 표시한다. 크리스마스 축제는 원래 기독교 이전의 동지 축제의 영향을 받았을 것으로 생각되며, 이는 종종 태양의 재생과 낮이 더 길어지는 시기의 복귀와 관련이 있다. 고대 로마인과 고대 켈트족을 포함한 많은 고대 문화에는 동지와 태양의 귀환을 중심으로 한 전통과 축제가 있었다. 그러나 크리스마스는 복잡한 역사를 가지고 있으며 다양한 문화 및 종교적 영향에 의해 형성되었다는 점에 유의하는 것도 중요하다. 동지가 축제일의 기원에 역할을 했을 수도 있지만, 크리스마스는 광범위한 종교적, 문화적 전통과 연관되어 현재 전 세계의 다양한 신앙을 가진 사람들이 기념하고 있다. 크리스마스와 동지의 관계에 대해서 비교적 유의미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으로 보인다.  동지 축제와 관련성을 '논증'하지는 않지만, 중요한 정보(동지 축제와 관련되지만 현재는 역사/문화/종교적 설명이 복잡하게 얽혀있다거나 복잡하게 변화했다)는 대체로 잘 이야기하고 있다. 인지진화적 설명은 관련 문서가 부족하기 때문에 활용하지 못하는 것으로 보인다. 디테일이 부족한 것도 한계라 할 수 있겠지만, 간단한 답변으로서는 상당한 수준이라는 것도 부인할 수 없는 것 같다. 챗GPT가 3문단으로 설명하는 것을 나는 A4 몇 페이지로 설명했던가. 대학 등에서 학생들에게 과제나 시험문제를 내줄 때 이제 안일하게 내면 AI가 답을 써주는 시대가 되어버린 듯하다. ─── ∞∞∞

'정신병', 스캡틱, 박한선

※ 이 글은 ' 얼룩소 '에 2023년 1월 28일에 게재했던 글입니다. 본래 제목을 약간 수정하였습니다. 이 글은 Skeptic Korea의 " 정신의학의 오래된 과제, 과학적 치료와 처방 "에 관한 얼룩소글의 출처를 체크하고, 정신질환 치료의 현실에 대해 박한선 선생님께 들었던 이야기를 정래해 본 글입니다. ─── ∞∞∞ ─── 최근에 나온 글인 줄 알고 찾아봤더니 전에 나온 글이군요. 마침 어제(1/27) 정신과 의사 출신 인류학자 박한선 선생님을 통해서 관련 이야기를 듣고, 글쓴이부터 찾아 봤습니다. 다른 저자인 걸 보고, 정신의학계에서 상당히 유명한 이야기라는 걸 짐작할 수 있었습니다. 박선생님께서 정신병 진단과 치료에 '정신분석학'이 사용되고 있다고 하셔서 좀 어리둥절 했었습니다. 심리학계(실험심리가 중심이 된)에서는 배우지 않게 된 분야로 알고 있어서 의학 분야에서도 당연히 퇴출되었다고 지레짐작하고 있었습니다. '왜 인지 모르지만, 효과가 있다'는 면에서 정신과 치료가 이루어지는 현실을 생각해 보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아, '정신분석학'도 프로이트, 융 시절의 버전이 아니라 많이 업데이트가 되었다고 하더군요. 자세한 부분은 과문해서 잘 모르겠습니다만. 어제 박선생님이 들려주신 이야기도 떠올라 흥미롭게 이 스켑틱의 글을 읽다가 문득 출처가 궁금해서 찾아 보니, '한국 스켑틱'에는 14권(2018년)에 "정신의학은 과학이 될 수 있을까"라는 제목의 글로 실려있었습니다. (스켑틱에서 얼룩소에 올리는 글이 최근호에 실린 글이 아니라는 걸 이제사 깨달은 거죠) https://www.badabooks.co.kr/SKEPTIC_magazine/?idx=54 글은 14권의 68~83쪽에 실렸습니다. 이 글을 일부 발췌해서 재편집한 것이 위의 얼룩소에 실린 글이더군요.

미신과 종교라는 개념에 담긴 '너는 틀렸고, 내가 맞다'

※ 이 글은 ' 얼룩소 '에 2023년 1월 21일에 게재했던 글입니다. ─── ∞∞∞ ─── 미신이란 말을 많이 씁니다. 그게 무엇이냐 물어 본다면 우리는 어떤 행위들이나 관념을 이야기합니다. 뇌과학자 정재승 선생님도 미신 이야기를 하면서 '빨간색으로 이름 쓰는 행위가 불길하다는 미신'을 이야기했습니다. 차이나는 클라스, 정재승 편 미신이 어떤 것인가를 말할 때, 이렇게 미신에 속한 것들을 이야기하게 됩니다. '시험 볼 때 미역국을 먹지 않는다' '시험 볼 때 포크를 선물한다' '손 없는 날 이사해야 한다' '밤에 손톱을 깎으면 안 된다' '귀신을 쫓기 위해서 팥죽을 먹는다' 그럼 '미신'은 어떤 것이냐 설명해 보라면, 아마 이런 말들을 늘어 놓게 될 겁니다. https://engoo.co.kr/blog/먼나라이웃나라-세계-각국의-다양한-미신들/ 표준국어대사전에 바로 그와 같이 설명이 되어 있습니다. 표준국어대사전 '미신' 항목 그런데 이런 개념은 일상에서는 그런대로 사용할 수 있지만, 엄밀하게 따지면 쓸 수 없는 설명입니다. '비합리적이고 비과학적'인 게 너무 광범위하기 때문입니다. 도덕적, 경제적 판단과 믿음에도 그런 사례를 많이 찾아 볼 수 있습니다. 가령 '관상은 과학이다', 'ABO 혈액형 성격론', '과시적 소비' 등등. 어떤 종교적 맥락에서 '이상한 것'을 이야기하기 위해서 '미신'이란 말을 많이 사용합니다. 종교와는 다른 것으로 이야기합니다. 그런데 위 국어사전의 개념 정의는 종교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