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라벨이 인 게시물 표시

종교학 공부인의 '눈에 보이지 않는 지도책' 읽기

혼자 책을 읽을라 치면 이런저런 핑계를 대고 미루기 마련이다. '디지털 종교학' 관련 글을 쓰려고 샀다가 책장에 고이 모셔만 놨었는데, 같이 공부하는 세미나팀에서 이번에 읽기로 해서, 묵힌 숙제를 털었다. '눈에 보이지 않는 지도책'이란 제목에서 알 수 있듯이 지리적 정보만 보여주는 지도가 아니라 다양한 정보와 결합시킨 지도, 부제가 표시하듯이 '세상을 읽는 데이터'가 덧입혀진 지도를 보여주고 있다. 모든 데이터가 지리적 지도에 표시된 것은 아니었다. 그저 데이터 시각화 사례로 이야기할 수 있는 것들도 있었다. 이 책은 코로나19가 전지구적 전염병으로 떠오르던 시기에 마무리 작업이 이루어졌고, 그 분위기를 머리말에서 느낄 수 있다. 영국의 코로나19 사망자 시각화 지도로 시작한다. 머리말은 유니버시티 칼리지 런던 교수(지리정보학) 제임스 체셔(James Cheshire)에 의해서 쓰였다.  서문 은 이 책을 만들게 된 핵심적 아이디어를 참조가 된 메시지와 연구 사례를 통해서 제시한다. 게르하르트 리히터의 다음 말로 장이 시작된다. 보이지 않는 것 에 관하여 우리는 결론을 내릴 수 있고, 비교적 확실하게 그 존재를 상정할 수 있다. 하지만 그것을 표현하려면 유추하는 수밖에 없다. 보이지 않는 것을 의미하지만 눈에 보이는 방식으로만. -게르하르트 리히터 MIT 학생 케이티 보먼의 아이디어로 시작된 블랙홀 촬영, 로절린드 프랭클린이 DNA의 이중나선 구조를 밝힌 실험도 보이지 않는 것을 우리 눈으로 확인한 사례로 언급한다.  그렇지만 서문 내용 중에서 가장 중요한 참고 사례는 바로 자연철학자 훔볼트가 시도한 지도 시각화 사례였다. 실제로 그 작업을 구현한 것은 하인리히 베르크하우스였다. 훔볼트는 그에게 "전 세계 식물과 동물의 분포, 강과 바다, 활화산 분포, 자기 편각과 복각, 자기에너지 세기, 바다 조류, 기류, 산맥, 사막과 평원, 인종 분포, 산 고도와 강 길이 등을 표시한 지도"를 만들어 달라고

'인터넷 때문에' 말이 바뀌고 있다?!

'인터넷 신조어'는 '언어파괴'로 규정되곤 한다.  출처: 알바콜 신조어가 불편하다고 말하는 사람들이 제법 된다. '한글 파괴'와 '세대차이'가 문제라고 지적하고 있다. 이런 불편한 감정을 쏟아내는 것은 대체로 40대 이상의 기성세대라는 것을 알 수 있다. 청소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를 보면, 분위기가 다르다. 출처: 시민의 소리, 청소년 대상 조사 시간이 흐르면, 지금의 언어 습관이 정상이 될 날이 오리라는 걸 충분히 예상해 볼 수 있다. 새로운 환경에서 새로운 언어 사용 습관과 새로운 말이 어떻게 만들어지고 있는가의 관점에서 이런 문제를 살펴볼 필요가 있는 것 같다.  최근에 본 〈인터넷 때문에〉라는 책은 이런 시각으로 인터넷 환경에서 우리의 언어가 어떻게 바뀌었는지 살펴본다.   '스낵 지식서'는 아니니 쉽게 읽을 수 있을거라 기대는 말라 그레츤 맥컬릭(Gretchen McCulloch) * 의 〈인터넷 때문에〉의 원제도 놀랍게도 'Because Internet'이다. 제목을 직역한 경우는 흔하지 않은데 놀라운 시도다. 왜냐면 책 제목이 입에 착 달라붙지 않기 때문이다. 부제는 원래의 부제와 다르게 갔다. 원래는 'Understanding the New Rule of Language'(언어의 새로운 규칙에 대한 이해)이다. 상당히 학술적 느낌이 강한 부제다. * 자신의 홈피 에 발음기호를 /ɡɹɛtʃn̩ məkʌlɪk/이라고 적어 놓았다. 다만 부르는 사람이 익숙한 발음대로 불러도 자긴 상관없다고 밝히고 있다. 영어권에서도 그녀의 이름을 제대로 불러주는 경우가 흔치 않은 것 같다. 자신의 이름 발음과 표기에 오해가 얼마나 많은지 자기 성(last name) 발음에 대해서 설명을 길게 해 놓고 있다( 참고 ). 책에서도 관련 언급을 볼 수 있다(74쪽). 번역서에는 '그레천 맥컬러'로 옮겼는데 영어권에서 통용되는 발음으로 보인다. 한국어 부제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