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복어가 아니라 북어가 행운의 부적이 된 사연은?

※이 글은 얼룩소 글(23.4.16)을 옮겨온 것입니다. ━━━━━━ ♠ ━━━━━━ 복어와 북어, 출처: https://www.kbmaeil.com/news/articleView.html?idxno=830688, http://news.cauon.net/news/articleView.html?idxno=24408 비슷한 명칭이라 참 헷갈리는 복어와 북어, 저만 북어를 '복어'라고 말하는 것은 아니더군요. 나무위키의 '북어' 설명 중에는 다음과 같은 설명이 있습니다. '북어', 나무위키 '복어' 나무위키 항목에는 이런 정보가 붙어 있기도 합니다. '복어', 나무위키 복어를 '북어'*라고 하는 경우는 많지 않은 것 같습니다. '북어' 발음이 더 어려워서일까요? 민속신앙과 관련해서 '복(福)'과 관련된 것은 북어입니다. 복(福)과 같은 발음을 사용하는 복어가 행운의 부적이 되지는 못했습니다. *북어는 일반적으로 '말린 명태'를 말합니다. 한자로는 '北魚'죠. '북쪽에서 온 물고기'라는 의미입니다. 황태와 구분하지만, 원래부터 구분된 것 같지는 않습니다(황태는 '더덕북어'라 불리는 북어 중의 최상품을 구분하는 명칭인 듯합니다). 이 명칭은 명태를 말린 형태로 유통하기 시작한 이후에 정착된 것으로 보입니다. 종교적 관습(특히 미신으로 불리는)에는 '소리'나 '형태'의 유사성 때문에 사람들의 주목을 받는 경우가 있습니다. 숫자 4와 죽을 사(死)가 발음이 같다는 이유로 숫자 4를 꺼림칙하게 여기는 경우가 바로 그런 경우입니다.

기독교 방언과 빙의는 유사하다

※이 글은 얼룩소 글(23.4.10)을 옮겨온 것입니다. ━━━━━━ ♠ ━━━━━━ 우리말 '방언(方言)'은 '사투리'(dialect)라는 의미와 '신적 존재의 영향에 의해 하게 되는 인간이 알아들을 수 없는 말'(glossolalia)이라는 의미를 모두 가지고 있습니다. 기독교에서 통상 '성령이 함께하는 상태에서 하게 되는 말'로 이해됩니다. 과거 그림에는 후광이나 머리 위의 하얀 불꽃처럼 표현하곤 했습니다. Gustave Doré(1832-1883)'s "The Descent of the Spirit", https://ayomideakinbode.medium.com/speaking-the-tongues-of-angels-and-men-a-conundrumsconundra-of-the-21st-century-church-696ecd22f930 우리말 '성령'으로 번역되는 'holy spirit'은 'spirit' 중에서 좀 '다른 것'이라는 의미입니다. 절대신과 관련된 영입니다. 기독교(가톨릭, 개신교, 정교회 등)의 교리에는 '성령'은 '성부'(하느님), '성자'(예수)와 동일하다고 규정합니다(삼위일체)만, spirit이라고 한 바로 보면 어떤 '영적 존재'를 떠올리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우리가 통상 '귀신'이라거나 '유령'이라고 부르는 것들도 다 spirit의 범주에 들어갑니다. 성령은 그 중에서도 절대신에 속한 것이라는 '예외적 감각'이 담겨있습니다. 그렇지만 반대로 우리가 귀신이나 유령을 떠올리는 감각(인식)을 성령이란 존재를 떠올릴 때도 활용하는 것을 보여주는 것이기도 합니다.  빙의의 징후 방언으로 말하는 사람은 사람

신화가 사회적 위로를 만들어 내는 방식┃〈스즈메의 문단속〉에 대한 종교학자의 감상

※이 글은 얼룩소 글(23.4.5)을 옮겨온 것입니다. ━━━━━━ ♠ ━━━━━━ '다녀 오겠습니다' 장면, 출처: https://images.app.goo.gl/9RJ83DqjU7A6h24h9 이 애니메이션에 본래 흥미는 없었습니다. 영화에 대한 사전 지식도 전무한 상태에서 ‘문단속’이라는 표현이 눈에 띄다 보니 영화에 대한 연상이 특정한 쪽으로 쏠렸습니다. 일상적 느낌이 강한 표현이다 보니 일상물이라 지레짐작했거든요. 주변 사람들이 너나 없이 본다기에 분위기에 휩쓸려 보게 되었습니다. 덕분에 백지상태로 극장에서 이 영화의 스토리와 온전히 만나게 되었습니다.  보면서 종교학 공부인으로서 무척 감동을 받았습니다. 위로의 언어는 일본인들에게 향하는 것이었습니다만, 그것이 일본 신화로 만들어져 있었기 때문이고, 그 이야기가 근사하게 오늘날의 일본인들에게 울림을 줄 것이라는 게 선명하게 그려졌기 때문입니다. 이를 통해서 종교나 신화의 기능을 새삼 느낄 수 있었기 때문이기도 합니다. 재난을 설명하던 신화와 전설 지진을 어떤 초자연적 존재의 의도적 행위의 결과로 상상할 수 있을까요? 지금에 와서는 그런 신화적 설명이 통하지 않습니다. 지구 내부 물질의 움직임과 지각의 이동으로 지진을 이해할 수 있는 시대니까 말이죠. 그런 지질학적 이론이 등장하기 전에 사람들은 왜 지진이 벌어지는지 과학적으로 설명할 수 없었습니다. 그러나 인간은 ‘이유를 모르는 자연 현상’을 겪으면서도 나름의 이유를 찾아냈습니다.  땅 속에는 커다란 메기가 사는데, 그것이 꿈틀 움직이면 땅 위에서 지진이 벌어진다.   에도 시대 일본인들이 지진을 다스리는 주술적 의례를 수행하면서 이러한 관념이 두드러지게 나타났다고 하죠(18세기 이전에 이런 메기 신화가 일본에 없었다고 합니다. 참고: Namazu ). 그 기록을 ‘나마즈에(鯰絵, なまずえ)’를 통해서 볼 수 있습니다.

만우절 장난과 빙의의 관계 │ 놀이와 주술적 사고의 관계

※이 글은 얼룩소 글(23.4.1)을 옮겨온 것입니다. ━━━━━━ ♠ ━━━━━━ https://www.bbc.co.uk/teach/school-radio/primary-school-assemblies-collective-worship-ks2-april-fools-day/z9ttxbk 전에 쓴 " 핼러윈, 크리스마스, 만우절의 공통점 "이라는 글에서 만우절이 신년 의례였다는 것을 설명드린 바 있습니다. 만우절과 관련된 내용만 간단하게 정리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만우절은 봄을 한 해의 시작으로 여기는 관습의 산물로 보인다. 서구의 ‘만우절’은 16세기 후반에 프랑스에서 신년 첫 날을 1월 1일로 정리하면서(Édit de Roussillon, 1564) 공식 신년 기념일과 지방의 관습이 어긋나게 된 데에서 유래했다는 설이 유명하다. 16세기 후반 프랑스의 각 지역 신년 기념일에 대한 기록을 보면, 어디는 크리스마스(12월 25일), 어디는 3월 25일, 어디는 부활절이었다. Édit de Roussillon이 반포될 때 프랑스 지역별 신년 기념일. 지도 구글맵, 자료 'Edict of Roussillon', Wikipedia.com 4월 1일은 3월 25일에 시작하는 춘분 축제와 관련된 날짜다. (캘린더의 1일은 시간의 시작일로 적합하다. 1주일의 축제가 끝나면 4월 1일이 된다. 동지 축제가 시작되는 12월 25일에서 일주일 쯤이 흘러 1일이 시작되는 날은 1월 1일이다. 참고: 천문학적으로 의미가 없는 1월 1일은 왜 새해 첫날이 되었을까? ) 1월 1일을 신년 첫 날로 정하면서, 4월 1일은 신년으로서의 의미가 퇴색되었다. 유럽의 다른 신년 축제 때, 장난 같은 일들이 벌어진다(중세 크리스마스 때 '바보들의 축제'. 참고: 기독교 시

행운을 비는 Crossed fingers는 효과가 있다고?!

 ※이 글은 얼룩소 글(23.3.29)을 옮겨온 것입니다. ━━━━━━ ♠ ━━━━━━ https://www.smithsonianmag.com/smart-news/crossing-your-fingers-could-reduce-pain-no-lie-180954800/ 현대 영어에서 crossed fingers는 '행운을 비는 몸짓'으로 이해됩니다. 관용적으로 fingers crossed는 '행운을 빈다'는 의미로 사용됩니다. 본래부터 이 제스처가 행운을 나타낸 건 아닙니다. https://www.dailymail.co.uk/femail/article-2230328/Britons-superstitions-Walking-ladders-breaking-mirrors-opening-umbrellas-indoors.html 서양에서는 사다리 아래를 지나는 것은 불운을 불러오니 피해야 한다고 여기는데, 'crossed fingers'는 그 불운을 '막는' 기능을 한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간혹 '사다리 밑에서 행운을 얻기 위해' 하는 행동으로 설명하는 경우도 있습니다만, 많은 경우에 '불운에 대한 회피'를 말하고 있습니다. 행운과 관련된 인간의 많은 행위들이 그 근원을 찾아보면, 방어적 동기의 행위인 경우가 많습니다. crossed fingers는 이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는 사례입니다. 이 손모양이 가진 또 다른 함의를 보아도 알 수 있습니다. 영화 〈트루먼 쇼〉(1998)의 한 장면에서 그 의미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https://www.ranker.com/list/lovers-who-betrayed-the-hero-movies/ale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