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위로가 없는 '차가운 종교학', Science of Religion을 생각하며

※이 글은 얼룩소 글(23.7.13)을 옮겨온 것입니다. ━━━━━━ ♠ ━━━━━━ 종교라는 주제를 다루려면 '위로'가 필요하다? 이 말을 저는 곳곳에서 확인하게 됩니다. 그 이야기를 좀 해 보겠습니다. 정재승 박사가 총괄자문 및 프리젠터로 참여한 다큐 시리즈 '뇌로 보는 인간'의 마지막 '종교' 편에 제가 자문으로 참여하여 아주 짧은 시간 출연한 경험이 있었습니다. 시청률이 높았던 편이 아니라서 사람들로부터 별다른 반응을 듣지는 못했습니다. 우연히 EBS 다큐를 보던 친구가 '야, 너 나왔더라...잠깐 ㅎㅎ', 이런 반응을 보인 예가 있었을 뿐입니다. 함께 자문에 참여한 구형찬 박사(인지종교학)가 종교학자로서는 메인이었기 때문에 당연한 일이었습니다. '뇌로 보는 인간' - 종교 편의 한 장면┃저는 입을 다물고 있습니다^^ 몇 년이 지나서 그때 나왔던 미디어 비평 기사를 볼 수 있었습니다. 미디어스 기사 캡쳐 해당 다큐에 대한 내용을 정리한 다음에 이런 논평을 내 놓았습니다. 미디어스 관련 기사 '위로가 없다'는 비판 을 볼 수 있었습니다. 예 그렇습니다. 종교라는 주제를 다룰 때 사람들은 그런 것을 기대하곤 합니다. '종교의 본질', '참된 의미' 같은 것을 발견하고, 뭔가 진리의 말씀이나 인생을 통찰할 수 있는 지혜를 얻기를 기대합니다. 그런 이야기를 하는 종교학도 존재합니다. '현대인의 종교는 병들었다'는 진단을 내리며 '고대인의 지혜'를 회복해야 한다는 메시지를 내거나 모든 종교에 담겨있는 가장 고귀한 가르침(가령 황금률 같은)은 모두 상통하고 그것이 인간이 향유해야 할 소박하지만 분명한 진리라고 이야기하는 예도 있습니다. 프리드리히 막스 뮐러┃출처: Wikimedia Commons 종교학의 아버지라고 불리는 막스 뮐러는 '종교학으로의 초대(Introduction to the Science ...

영혼은 '존재'하는가? 실재성과 존재 감각은 다르다.

※이 글은 얼룩소 글(23.7.9)을 옮겨온 것입니다. ━━━━━━ ♠ ━━━━━━ 세 줄 요약 영혼의 존재에 대한 과학적 접근은 그 물리적 실재성을 검증하는 게 아니다(ex. '21그램 실험'). 영혼이 있다고 느끼게 되는 인지적 메커니즘을 규명하는 것이 영혼의 존재에 대한 과학적 접근 방법이다. 현대의 과학적 임사체험 연구는 죽음에 임박한 상태 혹은 친밀감이 높은 대상의 죽음을 경험할 때 사람들에게 폭발적인 뇌 활동이 나타나면서 죽은 자나 죽은 자들의 세계를 현실감 있게 느끼게 된다는 것을 시사한다. 귀신, 유령, 더 나아가 신적 존재가 사람들에게 '현실감' 있게 느껴질 수 있는 이유가 무엇일까요? 그런 영적 존재가 정말 있기 때문일까요? 아니면 다른 이유가 있을까요? 이 테마는 유물론자이자 무신론자인 과학자들의 '훌륭한 먹이감'이 되어 왔습니다. 과학적으로 그런 건 존재하지 않아. 초자연적 존재에 대한 믿음은 거짓이야. 그런 걸 믿는 사람들은 허약한 사람들이거나 무지한 사람들이다. 그런데 과학적인 설명에 이런 것만 존재하는 것은 아닙니다. 실패한 예이지만 '영혼의 무게가 21g이다'라는 이야기를 들어보신 적이 있을 겁니다. '21g 실험'으로 불리는 이 실험은 고작 6명의 사람으로 이루어졌고, 이런저런 이유로 측정한 사람 1명의 무게만을 사용했습니다. 그리고 대조군으로 15마리의 개(독살로 추정)를 측정해서 무게 변화가 없었다고 보고했습니다(1907). 이미지 출처: Wikipedia & News Text Area 이 실험이 나오자마자 큰 비판을 받았습니다. 1907년 의사 오거스터스 클라크(Augustus P. Clarke)는 사망 시 폐가 더 이상 혈액을 식히지 않기 때문에 체온이 갑자기 상승하여 땀을 흘리게 된다. 이 수분 손실이 21g을 설명할 수 있으며, 개는 땀샘이 없기 때문에 인간과 같은 사후 체중 감소가 없었을 것이라고 지적했습니다. 클라크의...

신님과 스마트폰으로 통화하는 상상, 어떻게 봐야 할까?

※이 글은 얼룩소 글(23.7.5)을 옮겨온 것입니다. ━━━━━━ ♠ ━━━━━━ 디지털 시대의 종교(문화)는 어떻게 바뀔까? 스마트폰이 없이 커뮤니케이션하는 것을 상상하기 어려운 시대가 되었습니다. 스마트폰이 커뮤니케이션의 주요 수단이 되면서 우리 삶의 많은 모습이 과거와는 크게 달라졌습니다. 종교(문화)에서도 큰 변화가 있을 것으로 예상되었습니다. 그 변화의 방향을 많은 학자들은 이렇게 예상했습니다.  가상 체험이 현실 체험을 압도하여 종교 활동도 디지털 기반으로 크게 변모할 것이다. 그런 시각에서 '디지털 종교' 혹은 '가상공간 속 종교'에 대해서 이야기를 했습니다. 종교 활동도 온라인으로 하게 되면서 가상의 공간에서 종교적 체험을 하는 시대가 펼쳐질 것이고, 현실 세계의 경험과는 전혀 다른 차원의 '하이퍼리얼리즘'을 구현하여 새로운 종교 소비 시장이 등장할 것이라는 예측이 있었습니다. 그런 변화에 발 맞추어 가상 세계에 종교의 성지를 구축하여 사람들이 사이버 순례를 경험하게 한다든지, 사이버 종교 공간에서 사람들이 종교적 의식을 경험하게 한다든지 하는 서비스들이 등장했습니다. 그렇게 종교계에서 가상 세계의 종교적 공간이라고 몇몇 사이트를 만들었던 것 같습니다. 그런데 사람들이 그러한 디지털 콘텐츠를 통해서 성지 순례를 한다거나 특별한 종교적 체험을 하는 경우는 들어보지 못했습니다. 그런 예측은 인터넷 가상공간에 현실의 종교를 옮겨와 상상한 것에 불과했다고 볼 수 있습니다. 일종의 관념론이었던 것이죠. 메타버스도 망해가는 판국인데 사람들이 온라인 상에서 종교 콘텐츠를 적극적으로 소비할 리가 없지요. 애플의 '비전 프로', 출처: 디일렉(The elec) https://www.thelec.kr/news/articleView.html?idxno=21443 가상현실이나 증강현실을 경험하게 해 주는 기기를 쓰고서 사람들이 게임과 재밌는 영상, 혹은 자극적인 어떤 활동을 포기하고 종교적 체험을...

《홍길동전》은 '최초의 한글 소설'이 아니나..

※이 글은 얼룩소 글(23.7.2)을 옮겨온 것입니다. ━━━━━━ ♠ ━━━━━━ 《홍길동전》이 '최초의 한글 소설'이라거나 우리가 알고 있는 그 '홍길동전 이야기'(아버지를 아버지라 부르지 못하고...)를 허균이 지었다는 이야기는 한국 사회에서는 문화적 상식에 가깝습니다. TV 방송에서 그런 정보를 접하기도 쉽습니다. 2018년 '어쩌다 어른' 한글날 특집 방송의 한 장면 그런데 국문학계에서 이 문제는 꽤 오래전부터 다뤄져 왔고, 결론은 지금 우리가 아는 그 '홍길동 이야기'는 허균이 지은 것이 아니라는 것입니다(전혀 관계가 없다고 보는 것도 아닙니다만). 이는 꽤 명확하게 확인됩니다. 그런데도 한국 사회에서 이 문제는 좀처럼 고쳐지지 않습니다. 언론에 보도되어 누구나 알게 된다거나 다큐나 교육 예능에 그런 정보가 잘 소개되지는 않기 때문이겠지요. 그런 '확인 작업'은 사실 이야기로서 재밌지는 않을 테니까 말입니다. 이런 식으로 '잘못된 정보'가 사실적 정보가 되는 예는 인간사에서 상당히 많습니다. 그걸 '신화'와 연결짓기도 합니다만, 신화는 어떤 초자연적 현상을 담은 기이한 이야기이기 때문에 '잘못된 정보'라기보다는 '가상의 이야기'로 이해되기 쉬운 것이었습니다( '그리스 신화'를 그리스 사람들이 정말 믿었을까라는 의문을 다룬 책 도 있습니다). 근래 주목되는 '가짜 뉴스'가 그런 예로 더 적합해 보입니다. 가짜 뉴스는 통상 적대적 정치 세력에 치명적인 정보나 지지 정치 세력에 유리한 정보입니다. 훨씬 자극적인 정보이고, 확증 편향된 정보이기 때문에 드라이한 사실 정보보다도 훨씬 빨리 멀리까지 퍼지고, 고치기 어렵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기사1 , 기사2 ). '틀린 정보'를 확인하는 과정은 그렇게 자극적이지도 재밌지도 않고, 피곤한 일인 경우가 많으니까요(왜 '팩트 체크...

2023년 '종교의 기원'에 관한 과학적 논의를 다루는 학술 대회

※이 글은 얼룩소 글(23.6.29)을 옮겨온 것입니다. ━━━━━━ ♠ ━━━━━━ KAIST 인간의기원연구소 1회 학술대회의 주제로 '종교의 기원'이 다뤄지게 되었습니다. 저도 프로그램 기획과 발표자로 참여하게 되었습니다(2발표). 프로그램 정보는 아래와 같습니다. 출처: KAIST 인간의기원연구소 진화인류학자, 심리학자, 종교학자가 모여서 '종교의 기원', '과학적 종교 연구'에 대한 다양한 주제의 발표와 강연을 진행합니다. 저와 구형찬 박사는 '인지종교학'(Cognitive Science of Religion) 연구자로 참여하게 되었습니다. 인지종교학에서 이야기하는 인간의 종교 행동과 관념을 구형찬 박사가 소개해 주십니다. 발표 요지는 다음과 같습니다. 종교적 사고와 행동에 횡문화적 보편성과 다양성이 나타나는 것은 무엇 때문일까? 호모 사피엔스의 진화와 인지체계에 대한 과학적 지식은 이 질문에 답하는 중요한 단서를 제공한다. 저는 과학적으로 종교를 연구할 때 가장 문제가 되는 연구 대상의 문제(종교라는 개념)를 다룹니다. 과학vs종교의 흑백논리나 과학적 호교론(종교 정당화)을 넘어서 인간의 종교적 행동과 종교문화를 과학적으로 다루는 것의 의미와 의의에 대해서도 다룹니다. 발표 요지는 다음과 같습니다. 종교를 과학적으로 연구하기 어려운 이유는 '종교'라는 대상이 잘 정의되어 있지 않기 때문이다. 기존 연구들의 한계를 살펴보면서, 과학적 종교연구를 위해 종교 정의 측면에서 넘어야 할 장애물이 무엇인지 생각해 본다. 조셉 불불리아(Joseph Bulbulia)는 국내에는 잘 알려져 있지 않지만, 인지종교학, 종교심리학 분야에서 활발히 활동하는 세계적인 학자입니다. 불불리아는 종교적 행동과 감정이 인간의 친사회적 행동에 어떻게 기여하는지, 종교의 사회적 기능에 대한 다양한 심리실험적 연구를 해 오고 있습니다. 이번 강연에서도 그러한 자신의 연구를 소개해 줄 것입니다. 3부 1...

종교와 환각제(+마약), 그리고 마음의 비밀

※이 글은 얼룩소 글(23.6.27)을 옮겨온 것입니다. ━━━━━━ ♠ ━━━━━━ 종교와 환각제의 관계는 그 비유적 의미('종교는 민중의 아편')에서 '중독'과 해악에 초점을 맞추게 합니다. 종교인들이 맹목적인 신앙으로 사회적 물의를 일으킨다고 판단될 때, '종교의 중독적 성격'이 주목되곤 합니다(" 종교가 아편이 될 때 "). '종교 중독(religious addiction)'이라는 표현은 개신교계에서 많이 사용됩니다. 이 경우 '종교 중독'은 '해로운 신앙 생활'로 간주되며, 대체로 이단적인 신앙에 빠지는 것으로 이해됩니다(" 종교중독, 신앙의 열심으로 포장된 보이지 않는 질병 ", " 유사종교 중독과 영지주의 ", " 사이비 종교 세뇌, 마약중독 같아 "). 그런데 종교와 환각제는 실질적 차원에서도 밀접한 관계를 지녀왔습니다. 종교 의식에 환각제가 쓰이는 경우가 있었고, 환각제 경험을 통해서 종교적 체험을 떠올리기도 했습니다.      도박, 알콜, 컴퓨터, 약물 중독이 보통 중독의 대상으로 이야기된다. 출처: 헬스 경향, https://www.k-health.com/news/articleView.html?idxno=2453 종교 활동과 환각제의 밀접한 관계 '종교적 체험'은 보통 우리가 일상에서 겪는 체험과 분리된 것으로 이해됩니다. 미국의 심리학자 윌리엄 제임스는 이러한 특징을 다음과 같이 설명했습니다.    우리가 합리적인 의식 상태라고 부르는 정상적인 각성 상태의 의식은, 아주 얇은 막에 의해 의식으로부터 떨어져 나온 단지 하나의 특별한 의식 상태일 뿐이다. 반면에 거기에는 잠재적 형태의 의식상태가 전혀 다른 상태로 존재하고 있다. ... 그것들은 일상적 의식 상태와 단절되어 있기 때문이다.  - 《종교적 체험의 다양성》(한길사, 1999), 470쪽. 윌리엄 제임...

'종교는 민중의 아편'이란 말은 마르크스만 한 말일까?

※이 글은 얼룩소 글(23.6.22)을 옮겨온 것입니다. ━━━━━━ ♠ ━━━━━━ 저는 출처 오귀인에 많은 관심을 갖고 있습니다. 소문이나 가짜 뉴스를 사람들이 사실로 믿는 현상을 통해서 인간이 신화와 종교를 만들어 향유하는 방식을 짐작해 볼 수 있기 때문입니다. 지난 번 에 마르크스의 '종교는 민중의 아편이다'라는 말의 참 뜻을 살펴본 김에 이 표현이 과연 마르크스의 순수 창작물로 볼 수 있는지 살펴보겠습니다. https://famosos.culturamix.com/historicos/karl-marx 칼 마르크스의 반종교적 입장을 단적으로 보여 주었던 ‘종교는 대중의 아편’이라는 표현은 너무나도 성공적이었기 때문에 그 이전의 사용자들을 떠올리는 것이 낯설게 느껴집니다. 그렇지만 비슷한 표현이 사용된 이전 사례는 많았습니다. 하인리히 하이네와 모세 헤스, 출처: 위키피디아 하인리히 하이네(Heinrich Heine, 1797-1856)와 모세 헤스(Moses Hess, 1812-1875)라는 사람도 비슷한 말을 한 바 있습니다. (하이네는 괴테 시대에 활동한 시인으로 신랄한 풍자와 허무주의적인 작품을 많이 남겼다고 합니다. 헤스는 마르크스와 같이 《라인 신문 Die Rheinische Zeitung 》을 만든 바 있는 인물입니다.) 하이네는 “종교를 갖게 된 걸 환영한다. 종교는 고통 받는 인류의 쓰디쓴 잔에 영적 아편 의 달콤하고 최면적인 음료와 사랑과 희망 그리고 신앙의 음료를 붓는다”(1840)고 말했으며, 헤스는 “ 종교는 … 아편이 고통스러운 병에 도움을 줄 수 있는 것처럼 같은 방식으로 … 농노 신분의 불행한 의식을 견디도록 만들어 줄 수 있다”(1843)고 말한 바 있습니다. *  *  Löwy Micheal, The war of gods: religion and politics in Latin America , London; New York: Verso, 1996, p.5. 마이클은 “동일한 문구를 다양한 맥락...

델포이 신전, 종교문화의 지층을 보여주는 사례┃델포이 신전의 E 심볼의 비밀(3)

※이 글은 얼룩소 글(23.6.15)을 옮겨온 것입니다. ━━━━━━ ♠ ━━━━━━ https://www.john-uebersax.com/delphi/delphi1.htm 지금까지 '델포이 신전의 E 심볼'과 관련된 흥미로운 학계의 논의를 두 차례에 걸쳐 살펴봤습니다. 델포이에서 아폴로는 테미스를 쫓아냈을까?┃델포이 신전의 E 심볼의 비밀(1) - 베이츠의 가설 '델포이 신전의 작은 옴파로스'는 옴파로스가 아니다?┃델포이 신전의 E 심볼의 비밀(2) - 부스케의 가설 '너 자신을 알라'라는 유명한 격언의 출처를 탐색하다가( '너 자신을 알라', 소크라테스가 한 말이 아니라... ) 델포이 신전과 관련된 각종 흥미로운 이야기들(E 심볼, 옴파로스, 대지의 여신 등)을 보게 된 김에 관련 내용을 정리해 오고 있습니다.   오늘 이야기는 '부스케'의 가설에 비판적 입장을 보여준 '드 보어(Zeilinga de Boer, 1934-2016, 미국 지질학자)'의 논의를 중심으로 해서 'E 심볼의 비밀'은 어떻게 되고, 델포이의 본래 신앙이 대지의 여신에 기초했던 것인지에 대해서 다룹니다. 델피의 작은 '옴파로스'에 관한 수수께끼 옴파로스에 대한 드 보어의 논문과 드 보어(인물 이미지 출처: https://patch.com/connecticut/middletown-ct/obituary-jelle-zeilinga-de-boer-longtime-teacher-wesleyan-university) 부스케의 시나리오를 다시 말씀 드리면요. 기독교 역사 초기에 프로스퀴니타리(작은 성소)의 돔으로 사용 된 구조물이 나중에 카스트리 지역(델포이의 옛 이름)의 벽이나 건물 수리에 사용되어 그 일부가 되었다가 산사태 또는 마을 철거 중에 어떻게든 사원의 셀라(cella)로 들어갔다. 20세기 초 이 돔이 고고학자들에 의해서 '작은 옴파로스'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