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10월, 2024의 게시물 표시

'델포이 신전의 작은 옴파로스'는 옴파로스가 아니다?┃델포이 신전의 E 심볼의 비밀(2)

※이 글은 얼룩소 글(23.5.15)을 옮겨온 것입니다. ━━━━━━ ♠ ━━━━━━ 지난 번 글( 델포이에서 아폴로는 테미스를 쫓아냈나? )에 이어서 이야기를 해 보겠습니다.  옴파로스에서 나온 E Γã(E Ga[Ge])를 근거로 아폴로 신앙이 들어오기 전 그리스 전역에 퍼져있던 대지모신(가이아 혹은 테미스)에 대한 신앙이 존재했고, 아폴로가 이를 대체했지만, 대지모신의 심볼은 재활용되면서 델포이 신전의 상징으로 남겨지게 되었다는 베이츠의 가설을 살펴 보았습니다.  그 출발점이 된 옴파로스가 과연 기원전 7세기에 만들어진 것인지, 새겨진 문자를 과연 E Ga로 볼 수 있는지 등에 대해서 20세기 중반에 새로운 가설이 제시되었습니다. 그 주장이 맞다면 베이츠의 가설은 기초가 무너지면서 E의 비밀은 다시 미궁 속으로 빠져들 수밖에 없게 됩니다. 델포이의 여러 옴파로스 베이츠 가설의 토대가 된 쿠르비(Courby)의 주장[돌은 기원전 7세기 이전 것이고, 새겨진 문자는 E Ga이다]을 강력하게 부정한 장 부스케(Jean Bousquet)는 작은 옴파로스의 재질, 덧붙여진 성분, 부속 물건(칼) 등에 주목해서 이 돌에 대한 새로운 가설을 제시했습니다. 이 문제를 살피기에 앞서서 델포이 신전의 옴파로스를 알아볼 필요가 있을 것 같습니다. '옴파로스'로 불리는 게 한 두 개가 아니거든요. '옴파로스'는 그리스말로 '배꼽'을 말합니다. 고대 그리스인들이 생각한 세상의 중심을 나타내기 위해서 이 옴파로스를 만들었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델포이가 세상의 중심이라는 생각은 신화적 이야기로 이렇게 표현되었다고 하지요. 어느 날 제우스가 세계의 중심을 알아보기 위해 세상의 양 끝에서 각각 독수리를 날렸고, 독수리는 똑같은 속도로 서로를 마주 보고 날아 왔고, 델포이 상공에서 서로 교차했다고 합니다. 그리고 제우스가 지구의 중심을 표시하기 위해서 이곳에 돌덩어리를 놓았고, 그것이 우리가 옴파로스라고 여기는 것이라고 합니다. 

델포이에서 아폴로는 테미스를 쫓아냈나?┃델포이 신전의 E 심볼의 비밀(1)

※이 글은 얼룩소 글(23.5.12)을 옮겨온 것입니다. ━━━━━━ ♠ ━━━━━━ '너 자신을 알라'(ΓΝΩΘΙ ΣEΑΥΤΟΝ, gnothi seauton*)라는 경구가 델포이 아폴로 신전의 어느 위치에 새겨져 있다고 볼 수 있는지를 다루면서 '델포이 신전의 심볼'로 여겨지는 'E'를 언급한 바 있습니다( 지난 글 ). 이 심볼의 수수께끼에 대해서 제법 다양한 학술적 논의가 전개되었더군요. 오늘은 그 이야기를 전해드릴까 합니다. *ΣEΑΥΤΟΝ(seauton) 말고 ΣΑΥΤΟΝ(sauton)으로 쓴 경우도 많은데, 주로 책에 쓰인 경우였다고 합니다. 델포이 신전의 E가 가진 비밀 델포이 신전의 심볼 E는 우리에게는 낯선 것이긴 합니다만, '너 자신을 알라'라는 격언이 새겨졌던 곳 근처에 함께 있었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나무, 청동, 황금 버전이 있었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아래 이미지의 가운데 빨간 원 안의 기호가 '델포이의 E(delphic E)'로 불리는 것입니다. 다만 해당 기호는 최근에 유행하는 버전인 것으로 보이고, 과거에는 E의 모습에 가까웠던 것 같습니다. 그림1. 델포이 신전의 심볼 E, delphic E라는 문자를 보여준다. 이 이미지의 심볼의 모양은 고대 신전에 새겨진 것과는 다른 것으로 보인다. (출처: https://realgreekexperiences.com/delphic-maxims) 지난 번 글에서 봤던 2세기의 로마 주화에는 명확하게 'E'라고 기록되어 있었습니다. 그림2. 파우스티나 황후 기념 주화와 하드리아누스 황제 기념 주화 속 델포이 신전의 'E', 이미지 출처: https://www.facebook.com/photo.php?fbid=3576039089095158&

'너 자신을 알라'는 델포이 신전의 어디에 새겨져 있었을까?

※이 글은 얼룩소 글(23.5.7)을 옮겨온 것입니다. ━━━━━━ ♠ ━━━━━━ 'ΓΝΩΘΙ ΣEΑΥΤΟΝ'[gnōthi seauton/그노시 세아우톤]이란 글귀는 델포이의 아폴론 신전에서 정확이 어디에 새겨져 있었을까요? 델포이 신전 입구의 기둥에 새겨져 있었다고 하거나 그냥 입구에 새겨졌다고 하는데, 정확히 어느 위치를 말하는지는 알려져 있지 않은 것 같습니다. 현재 해당 유적이 거의 무너져 있으니 확인할 수가 없어서 그렇겠지요. https://www.tripsavvy.com/temple-of-apollo-delphi-complete-guide-4172549 신전 전면의 페디먼트(pediment)나 프리즈(frieze)에 쓰여 있다고 보기도 합니다만, 옛 사람들은 다른 곳을 말했습니다. 디오도로스 시켈로스(기원전 1세기)는 신전 입구 쪽의 기둥(column)이라고 하고, 또 파우사니아스(110-180)는 프로나오스(pronaos)에 쓰였다고 했으며, 마크로비우스는 입구문의 문설주에 쓰였다고 봤습니다. 플라톤의 『파이드로스』의 고대 주석자는 신전의 입구(propylaea)에 새겨져 있다고 기록했습니다. 기둥(column)은 유적으로도 많이 봤기 때문에 무엇인지 알 수 있고 문설주도 알 수 있습니다만, 나머지는 그리스 신전 건축 양식을 알아야 확인할 수 있습니다. 도리아, 이오니아, 코린트 건축 양식 (출처: https://www.khanacademy.org/humanities/ancient-art-civilizations/greek-art/beginners-guide-greece/a/greek-architectural-orders) 페디먼트 는 전면의 지붕을 지탱하는 삼각면 박공(gable)을 말합니다. 위 그림에서 이오니아식(Ionic order)의 맨 위에 표시되어 있습니

'너 자신을 알라', 소크라테스가 한 말이 아니다

※이 글은 얼룩소 글(23.5.4)을 옮겨온 것입니다. ━━━━━━ ♠ ━━━━━━ '너 자신을 알라'Know thyselfγνῶθι σεαυτόν [gnōthi seauton] https://exploringyourmind.com/the-origin-of-the-famous-saying-know-thyself/ 이 말은 여전히 소크라테스가 한 말로 여겨지기도 합니다만, 소코라테스가 한 말이 아니라는 것도 제법 알려져 있습니다. http://maincontents.com/bbs/board.php?bo_table=card_news&wr_id=22, https://www.youtube.com/watch?v=XgL8hpCvyyM '델포이의 아폴론 신전 앞 기둥'에 새겨진 글귀가 그 출처라고 하죠. 그 이상의 출처 찾기는 낯선 문제이긴 하지만, ' Know thyself '(영어 위키)만 보더라도 델포이 신전에 새겨지기 전에 '어떤 발화자'가 있을 것이라는 추정이 제법 오랫동안 이어져 왔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여기에서는 소크라테스 외에 이 격언의 지은이로 여겨진 사람들에 대한 이야기를 살펴볼까 합니다. 본래의 출처 '너 자신을 알라'라는 격언을 말한 것으로 여겨진 고대 그리스의 현자들에는 프리에네의 비아스(Bias of Priene), 스파르타의 킬론(Chilon of Sparta), 린도스의 클레오불로스(Cleoboulos), 헤라클레이토스(Heraclitus), 케나이의 미손(Myson of Chenae), 미틸레네의 피타코스(Pittacos), 피타고라스(Pythagoras), 아테네의 솔론(Solon), 밀레토스의 탈레스(Thales) 등이 있습니다. "삶에서 가장 어려운 일은 자신을 아는 것이다

데몬(Demon)과 귀신┃데몬이 '악마'가 된 사정은?

※이 글은 얼룩소 글(23.4.27)을 옮겨온 것입니다. ━━━━━━ ♠ ━━━━━━ 데몬은 '악마'나 '악령'으로 이해됩니다. https://villains.fandom.com/wiki/Demon 이러한 이해가 상식화되어 있기는 하지만, 데몬이 본래부터 이런 '순수 악'의 존재는 아니었습니다. 'demon', 네이버 영한사전 사전을 찾아보면, demon은 악마라는 의미와 귀신이란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악마라고 한다면 devil이나 Satan을 떠올리게 됩니다. 이 말은 심지어 악마와 어울릴 것 같지 않은 의미도 담고 있습니다. '귀재, 명인, 비범한 사람'이라고 말이죠. 부정어도 특정한 맥락에서 강한 긍정의 의미로 사용될 수 있으니 뭐 놀라운 것은 아닙니다. 그러나 이 상충되는 의미들이 '데몬'이라는 말이 기독교화되어 '악마'가 되었던 역사의 흔적을 보여주는 것 같습니다. 우리의 '귀신'이라는 말에는 '악마'나 '악령'이란 의미는 없습니다(기독교인들이 그렇게 사용하는 경향이 있지만요). '귀신', 네이버 국어사전 기본적인 의미는 '죽은 사람의 영혼'입니다. 그리고 귀신은 인간에게 재앙(禍)만 주는 존재가 아니라 복도 줄 수 있는 존재입니다. '데몬'처럼 비상한 능력을 가진 사람을 '귀신'이란 말을 써서 나타내기도 합니다. '데몬'이라는 말과는 '악령'이나 '악마'를 제외하고는 확실히 비슷한 말로 보입니다. 데몬, 죽은 자의 영혼 실제로 '데몬'은 기독교화

신과 사후 세계는 존재하는 게 아니다. 다만 필요할 뿐이다.

※이 글은 얼룩소 글(23.4.23)을 옮겨온 것입니다. ━━━━━━ ♠ ━━━━━━ 귀신, 유령, 언데드, 그리고 신은 존재할까? 천국과 지옥은 존재할까? 현대에도 여전히 회자되는 종교와 관련된 대표적인 질문 중 하나 입니다. 이런 질문이 제기되면 종교인과 비종교인 사이의 갑론을박이 벌어집니다. 그런데 뭔가 시대착오적인 질문 같은 느낌입니다. 믿음의 문제가 사실의 문제로 오인되는 것으로 볼 수 있으니 말입니다. 〈안될과학〉에서 '귀신 존재에 대한 과학적 증명' 문제를 다룬 바 있습니다. https://www.youtube.com/watch?v=EHgA0Xlzdko 당연한 결과를 확인하는 것들이었습니다. '과학적으로 귀신(죽은 자의 영혼)이 존재한다고 볼 근거가 없다.'는 것입니다. 물론 그런 실험의 가정이 '존재한다는 것은 물질이라는 것이고, 물질이라면 질량이 있다'는 것이기 때문에 신이나 영혼의 존재를 믿는 사람들에게 어떤 '충격'도 주지 못할 것 같습니다. 그들은 분명, '그 가정이 틀렸다'고 하지 않을까요? 우리 마음 속 상상으로 떠올리는 존재가 있다는 것을 과학적으로 증명하려는 것은 어딘가 어색합니다. 페가수스를 상상할 수 있다고 해서, 페가수스가 존재했는지를 과학적으로 증명해 보려고 하지는 않을 테니 말입니다. '페가수스는 존재하는가'라는 질문은 던져지지 않는다, https://www.techm.kr/news/articleView.html?idxno=86781 그러나 신이나 귀신, 유령, 그리고 사후 세계에 대해서는 늘 '존재한다, 아니다'라는 논란이 이어지는 것 같습니다. 그런 것들에 대한 우리의 인식이 너무 확신에 찬 것이기 때문에 그런 것 같습니다. 분명 영적 존재나 사후 세계를 '믿는다'고 말하는 사람들은 그것이 인간의 마음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