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성희롱 문제 제기 실패기를 쓰다가 절반의 성공기로

이미지 출처: 연합뉴스   성희롱 문제 제기 실패기 (뒤에 절반의 성공기 덧붙임) 성희롱 발언이 있었던 뒤풀이 자리 주관 학술단체에 가해자의 공식 사과와 단체 내 징계조치 및 재발 방지 대책 마련과 그 결과의 공표를 재차 요청했지만, 돌아온 답변은 역시나였다. 1. 2차 술자리는 공식 행사 아님 2. 성희롱 발언은 개인 발언, 개인 간 해결할 문제, 당 학술단체와 무관한 사안 3. 성희롱 발언 명확히 확인되지 않은 상황에서 한쪽 말만 듣고 어떤 공식적 조치를 할 수 없음 4. 가해자는 당 학술단체에서 이익 얻는 자리에 있지 않음, 징계 무의미함 5. 가해자는 위계에 의한 압력 행사할 위치에 있지 않음 6. 당시에 문제 제기 했는지 안 했는지 궁금(안 했는데, 왜 이제사?) 골자는 해당 술자리는 본 학술단체의 공식 행사가 아니고 문제의 발언은 한 개인의 발언이고 본 학술단체와는 관련이 없다. 본 학술단체에 문제 해결을 요구하지 말고 당사자들끼리 해결하라는 것이다. 서울대 인권센터에서 '성희롱에 대한 오해와 진실'을 정리해 놓은 것이 있는데, 위의 문제 인식과 대처와 관계있는 내용을 옮겨 본다. Q : 성희롱을 당했을 때 거부의사를 명확하게 표현하지 못했다면, 성희롱으로 문제삼을 수 없다? A : 일단 성희롱이라고 여겨지면, 가급적 그 자리에서 행동의 중지를 요구하고 단호한 태도로 자신의 의사를 밝히는 것이 바람직하지요. 그러나 성희롱이 발생한 관계의 조건이나 상황 맥락에 따라서 피해자가 즉각적인 거부나 항의를 표시하기 곤란한 경우가 많습니다. 피해자가 저항하지 않았다고 해서 자발적인 동의로 해석하는 것은 잘못이며, 거부 의사를 표시하지 못한 경우에도 피해자는 성희롱의 문제를 제기할 수 있습니다. Q: 공식적인 일과 관련된 장소에서 업무 시간에 발생한 일만 성희롱이다? A : 그렇지 않습니다. 성희롱은 회식 자리, 실...

성희롱, 문제 제기를 했다

지난 여름 학술대회 이후 뒤풀이 자리에서 성희롱이 있었는데(이에 대해서는 이 글 을 참고), 이에 대한 공식적 사과와 해당 학술단체의 조치를 요구했다. 답변은 상당히 빨리 받을 수 있었다. 1. 개인 발언 문제이므로 해당 개인에게 사과를 요구하는 게 맞겠다. 2. 추후 공식 석상에서 그와 같은 일이 생긴다면 본 학술단체 차원에서 적극적으로 대처하겠다. 이 답변은 '비공식적 행사에서 벌어진 개인 간의 문제이므로 본 학술단체와 무관한 일이다'라는 판단이 깔려 있다. 그래서 추가 문제제기를 해 놓은 상태이다. 1. 해당 술자리는 당 학술단체의 학술행사의 부대행사인데, 당 학술단체와 무관한 개인 간의 일로 어떻게 볼 수 있는 것인지 납득 가능한 설명을 부탁한다. 2. 재차 성희롱 가해자의 공식 사과(당 학술단체의 공식 행사에서의 사과)와 당 학술단체의 징계 조치와 재발 방지 대책을 공표해 주길 부탁한다. 결론은 이미 나 있는 것 같지만, 할 수 있는 한 문제 제기를 해 볼 생각이다. 이러한 우리 사회의 일반적인 해결방식을 따를 것인지, 어떤 자정능력을 보여줄 것인지... 어쨌든 가만히 있으면 바뀌는 게 없으리라 생각한다.

남자도 성희롱을 당할 수 있다 │ 내가 겪은 성희롱…'성희롱을 당했다(고 느꼈다)'

성희롱은 남 일이었지 주위 여자 동료들이 늘 겪는 문제겠지만, 주변에서 '문제화'된 경우를 듣는 일은 그리 흔치 않았다. 결정적 사건으로 내가 기억하는 건 2건이다. 하나는 선배B가 겪은 일, 다른 하나는 후배C가 겪은 일이었다. 모두 사건이 발생하고 한참 후에 알았다. 후자의 건에는 나도 약간 불쾌한 방식으로 관련되어 있었다(나중에 안 일). 자세한 이야기는 할 수 없지만... 그 사건을 겪었던 분들의 상처를 다시 일깨울지도 모를 일이니까. 그 두 사건은 제대로 공론화되지 않고 묻혔다. 전자는 형식적인 조처로 모두에게 상처만을 남기고 마무리지어졌다. 후자는 내부에서 제한적인 공론화와 조치가 있었다. 그러나 그마저도 미흡한 것에 불과했다(오로지 내 느낌). 가해자가 학교를 떠난 것도 아니고 단지 마주치지 않도록 분리 조치가 되고 각자 공부는 계속하게 되었으니까. 결국 학계에서 마주칠 수밖에 없을 게다. 누군가가 떠나지 않는 이상. 내가 존경하거나 아끼는 사람들 사이에서 벌어진 일들이었는데, 나는 '누군가를 편드는 문제'가 되지 않을까 멀찍이 바라만 봤다. 사실 내가 나설 수도 없었다. 피해자의 상처를 크게 만들 뿐일 오지랍이었을 테니. 그 사건들은 쉬쉬해야 할 '우리 공동체의 치부'로 여겨졌다. 나도 '에효, 어쩔 수 없지... 그동안 보아온 정이 있는데, 누군가 인생을 망칠 수 없지', '선배들 사이의 그 유대가 미온적 조처를 어쩔 수 없게 만드는 것 같구나' 정도로 이해했다. 나는 그 문제들에서 철저히 방관자로 남아 있었다. 제삼자의 모호함, 그 속에서 '우리끼리만 아는 이야기로 묻어두기'를 함께 받아들였다. 내 주위 사람에게 벌어진다고 해도 '남 일'로서의 한계를 가졌던 것 같다. 나는 '피해자'의 입장을 미루어짐작하고 상상할 수 있었을 뿐이지 완전히 공감하지는 못했다. '왜 그들은 그 이야기를 바로 이야기하고 공론화해서 해결하려 하지...

A Treatyse of the Newe India의 원출처를 찾아서

1553년 본 표지에서 '라틴어에서 영어로 번역, 리처드 이든(Translated out of Latin into Englishe. By Rycharde Eden)'에만 주목했었는데, 제목을 보면 이 책이 어떤 책을 저본으로 한 것인지 알 수 있다. A treatyse of the newe India with other new founde landes and islandes, aswell eastwarde as westwarde, as they are knowen and found in these oure dayes, after the description of Sebastian Munster in his boke of universall cosmographie 세바스티안 뮌스터가 우주지리 에 관한 그의 책에서 기술한 이후로 오늘날 알려지고 발견되는, 동쪽으로나 서쪽으로도, 다른 새로이 발견된 땅과 섬과 함께 새로운 인도에 관한 논의 뮌스터의 대표작이 Cosmographia (1544)이다. 지금으로 치면 '세계지리백과사전'쯤 될 것 같은 책이다. 1544년에 독어본이 출판되었고, 1550년 독어본 5판과 함께 라틴어 본이 출판되었다( 참고 ). 이든이 참고한 책은 라틴어판이니까 바로 1550년 라틴어본이 저본이라고 할 수 있다(이든의 번역판이 1553년판이니까). 확인한 책은 1552년 바젤에서 출판된 버전이다(Basileae : apud Henrichum Petri, 1552) 이 책의 1099쪽을 보면, "De Novis Insvlis, quomodo, quando & per quem"(새로운 섬들에 대해, 어떻게, 언제 그리고 누구에 의해)라는 제목을 볼 수 있다. 그림 아래에 콜럼버스의 1차 항해의 출발 과정과 출발 후 첫 기착지에 대한 그의 인상을 적고 있다. '온화한 기후로 하늘의 축복을 받은 곳에서 원주민들이 religio도 부끄러움도 없이 벌거벗고 있다'는 내용이다. 영역자인 ...

카나리아 제도 사람들은 종교도 없이 벌거벗고 있었다…출처를 찾아보니?

조너선 스미스의 이 글은 '종교개념사' 연구에서 가장 많이 읽히는 글 중 하나인데, 원출처를 확인해 보는 경우가 흔치는 않다. 발심을 하여 해당 내용의 원출처를 찾아보다가 이상한 것을 발견했다. 처음부터 나오는 저 말, 리처드 이든(Richard Eden, 1521?-1576)이라는 인물이 썼다는 저 글귀는, 서구의 religion 개념이 확장되어 나갈 때 초창기의 전형적인 형태를 보여주는 사례였다. '그들은 종교가 없다'. 카나리아 제도에 콜럼버스가 도착해서 경험한 바를 표현한 것이다. 이 제도를 지나간 것은 그의 모든 서인도 제도 탐험에서 서인도로 향할 때였다(1차: 1492–1493, 2차: 1493–1496, 3차: 1498–1500, 4차: 1502–1504). 그러니까 위 기록은 1492년의 경험을 기록한 것이다. 이미지 출처: "Voyages of Christopher Columbus", wikipedia 콜럼버스가 그곳에 처음 갔을 때, 그곳의 주민들은 부끄러움이나 religion 혹은 하느님에 대한 지식도 없이 벌거벗고 있었다. 이 내용이 실린 책  A Treatyse of the Newe India (1553)를 시대가 좋아져서 찾아 볼 수 있었다. 그런데 이 책의 저자가 세바스티안 뮌스터(Sebastian Münster, 1489-1552)라고 나오고 리처드 이든은 영역자로 나오는 것이었다! Internet Archive에서 1553년 본을 찾아 보면, 길게 부제와 설명이 적힌 다음에 이렇게 적은 것을 볼 수 있다. Translated out of Latin into English. By Rycharde Eden 이걸 확인하고 조너선 스미스도 원문을 제대로 확인하지 않았던 것인가 하는 의구심을 갖게 되었다. 앞에서 인용한 문장을 보면, 1553년판에는 'religiō'로 적혀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좀 더 알아보기 용이한 1885년판의 표지는 다음과 같이 나온다. 책 타이틀은...

CT 스캔으로 밝혀진 천 년 된 불상 속 미라

불상 속에 미라가 있다? 이런 일이 세상에 있다는 이야기를 과문해서 들어보질 못했는데, 최근에 우연히 알게 되었다. 2015년에 불교계에서는 떠들썩 했던 뉴스였던 것 같다. 이미지 출처: 드렌츠 박물관 2014년에 네덜란드의 아메르스포르트(Amersfoort)시의 미앤더 메디컬 센터(Meander Medical Centre)에서 이 불상에 대한 의학적 조사를 진행했다고 한다. 의뢰자는 네덜란드의 드렌츠 박물관(Drents Museum)이었다. 불상은 오스카 판 오버헤임(Oscar Van Overeem)이라는 네덜란드 미술품 수집가가 구입해서 드렌츠 박물관에 전시했던 것 같다. CT를 찍고, DNA 검사를 위해 뼈 샘플을 채취하고, 내시경을 이용해 내부 조사와 샘플 채취를 했다고 한다. 그 결과 해당 불상의 내부에 승려의 미라가 있다는 것이 밝혀졌다. 장기는 제거되어 있었고 속에는 한자가 인쇄된 종이와 확인되지 않은 썩은 물질이 있었다고 한다. 이미지 출처: 드렌츠 박물관 불상 내부의 인물은 서기 1100년에 사망한 불교 승려 류콴(Liuquan)으로 추정되고 있다.  중국 쪽 자료를 찾아보니 章六全(Zhang Liuquan)이 한자명인 듯하다. 중국에서는 통상 章公祖師(Zhanggong Zushi, 장공조사)라고 부르는 것 같다. 2015년 헝가리 국립 자연사박물관의 미라 전시회를 통해 중국 쪽에서도 그 존재를 알게 되었고, 반환 소송이 진행되었다고 한다.  그러나 네덜란드에서 진행된 소송에서는 중국의 소송 당사자인 푸젠 지역의 양춘과 동푸 촌민위원회 쪽 소유가 명확히 확인되지 않아 반환을 인정하지 않았다(아무래도 소송 당사자성이 문제된 듯하다). 반면 중국 국내 재판에서는 당연히 해당 마을의 소유로 인정하고 반환하도록 판결이 이루어지고 있다(22년에 2심 판결이 있었다).  이런 송사 이슈도 관심을 끌지만(법적으로 시신으로 봐야 할지 물건으로 봐야 할지 논란이 있다고 한다), 종교학 공부인에게는 '사자 숭배'의 한 ...

핼러윈 축제의 기원은 무엇일까? 역사 속에 감추어진 본능을 찾아서

만성절(All Saints' Day)로 알려진 핼러윈 * 이 머지않았다. 누가 귀신과 유령이 출몰하는 날로 믿을까만 21세기 유흥 소비 시장에서 여전히 각광을 받는 축제일이다. * 핼러윈(Halloween)의 한국어 표기에 대한 논란이 있다. 통상 '할로윈'을 많이 쓰나 '핼로윈'을 쓰기도 한다. 로마자 표기 규칙에 따르면 핼러윈이라고 한다. 참고1 , 참고2 . 한국 사람들에게 핼러윈은 그리 친숙한 축일은 아니지만 젊은 세대를 중심으로 향유하는 문화가 자리 잡아가는 것 같다. 핼러윈으로 떠들썩한 곳이 서울 등 몇몇 대도시의 주요 유흥가인 것으로 보면 말이다. 이 날의 기원이 무엇인가가 핼러윈을 기념하는 사람들의 관심사는 아니겠지만 호사가의 관심사는 될 수 있을 것이다. ─── ∞ ─── 핼러윈 축제는 고대 켈트족의 사우인(Samhain) * 축제에서 유래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기록에 따라서 '모닥불을 피우고 유령을 쫓기 위한 의상을 입는' 축제로 여겨지기도 하고, '무덤이 열린다고 여겨지는 날 모여서 축제하는 날'로 여겨지기도 한다. * 한국에서 이 발음을 '삼하인'으로 적는 경우가 많지만 본래 발음대로 적으면 '사우인'이다. 날짜로는 11월 1일(현대 달력 기준)을 말하는데, 통상 그 전날 밤부터 시작된다. 고대 켈트족 시간관은 해가 질 때 날짜가 바뀐다고 여겨졌기 때문이다. * 11월 1일은 '겨울의 시작' 혹은 '새해 첫 날'로 간주된다고 한다. 하루의 시작도 일몰 이후로 보니, 한 해의 시작도 겨울부터 꼽는 듯하다. ** * Ó hÓgáin, Dáithí. Myth Legend and Romance: An Encyclopaedia of the Irish Folk Tradition . Prentice Hall Press, 1991. p. 402.  ** 켈트족은 한 해를 빛의 반년과 어둠의 반년으로 나누었다고 한다. 어둠의 반년...

'모든 초고는 쓰레기다', 헤밍웨이가 한 말이라고 알려져 있는데, 정말 그런가?│오귀인 사례 (3)

이 글은 2017년 6월 19일에 작성된 글을 수정하여 올린 것이다. ━━━ ∞∞∞∞∞∞ ━━━ 이미지 출처: theunivisted.in "모든 초고는 쓰레기다" - 헤밍웨이. 과연 그런가? 나는 왜 이런 생각을 했던가? 영화 '코치 카터'의 경험 , 네팔 지진 고아 사진 (실제로는 베트남 아이들)에 대한 경험이 그런 생각을 자연스럽게 하게 만들었다.  사람들에게 유행하는 기억은 '전형화'라고 불릴 수 있는 어떤 수렴적 특성을 가지고 있다. 이 인용구도 그런 특성에 따라 출처가 구성된 것은 아닌가 하는 생각을.  세상에 이런 생각을 하는 사람이 나만은 아니었다. 구글에서 검색해 보니 대번에 이런 게시물을 볼 수 있었다. 들어가 보면 이렇다. 옆에 붙어있는 광고에는 '헤밍웨이는 그것을 말하지 않았다'는 책이 소개되고 있다.  문제의 '모든 초고는 쓰레기다'라는 글을 보면, 인용 조사자에게 이 말을 누가 한 것인지 묻는 질문이 나온다.' '모든 초고는 쓰레기다'(순화한 번역임), 이 말을 어니스트 헤밍웨이가 했는지, 아놀드 새뮤얼슨이 했는지, 버나드 맬러머드가 했는지, 아니면 출처가 불분명한지 묻는다.  이런 물음은 이 사이트의 전형적인 '형식'이 아닌가 싶다. 저렇게 사람들을 나열하면서 하는 질문자라면 이미 답을 알고 있을 사람이 아닌가 싶다. 어쨌든 헤밍웨이 산문의 문체, 여백과 직설이 여러 번 초고를 고쳐 써서 얻었기에 '모든 초고는 쓰레기'라는 말이 그에게 돌려지고 있다고 한다. 인용조사자는 답변을 한다(이하 거의 번역에 가까움). 헤밍웨이는 1964년 사망했다. 아놀드 새뮤얼슨은 헤밍웨이 사후에 헤밍웨이에 대한 회고록(1984), '헤밍웨이와 함께: 키웨스트와 쿠바에서의 한 해(With Hemingway: A Year in Key West and Cuba)'라는 글을 출간했다.  해당 글에서 헤밍웨이가 ...

네팔 지진 고아로 알려진 사진 속 주인공이 베트남 아이들이었던 반전│오귀인 사례 (2)

이 글은 2015년 5월 8일에 작성된 글을 약간 수정한 것이다. ―― ∞∞∞∞∞∞ ―― 얼마전 BBC기사에서 봤던 사진, 처음에 봤을 때 네팔 지진 피해로 부모를 잃은 아이들이 겁에 질려 있는 모습이라는 생각이 들었는데, 해당 기사("Haunting 'Nepal quake victims' photo from Vietnam")를 보면, 이 아이들 사진은 Na-Son이라는 베트남의 프리랜서 사진작가가 한 마을에서 찍은 것이라고 한다. Na-Son은 그의 트위터에 이렇게 밝혔다. 이것은 Ha Giang 지방에서 2007년에 촬영된 베트남의 Hmong족 아이 둘에 관한 내 사진이지, 네팔에 관한 게 아닙니다. 오해, 유언비어, 사람들의 몰상식? 사람들의 '오해'로 해괴한 헤프닝이 벌어졌다고 생각해 볼 수도 있다. 그렇지만 위 BBC기사를 보면 이 사진이 2011년에 발생한 '시리아 내전' 때도 '시리아 전쟁으로 부모를 잃은 아이들'로 유행했던 전력이 있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 사진의 아이들은 고아들이 아니었다. 사진작가의 설명에 따르면, 먼 곳으로 부모는 일을 나가 있었고, 아이들은 집 앞에서 놀고 있었다고 한다. 낯선 사람(사진작가)이 다가오니 여자 아이가 무서워하며 오빠에게 안긴 것이고, 큰 아이도 약간의 불안을 보이면서 동생을 안고 있는 모습이 만들어진 것이다. 그러나 사람들은 이미 말했다시피 이 사진을 시리아 내전의 전쟁고아, 네팔 지진 고아의 모습으로 유통시켰다. 악의적으로 이 사진을 이용하는 몇몇 사람들에 의해 여러 사람들이 부화뇌동해서 벌어진 일이라고 설명해 버릴 수도 있을 것이다. 그러나 뭔가 인간 본성적 차원의 기제가 영향을 끼친 것이 아닐까라는 의구심을 갖게 한다. 왜? 비슷한 사건이 반복되었기에.   이거 어디서 본적 있어 예전에 영화 <코치 카터>의 명대사, "Our deepest fear"에 대한 글을 쓴 적이 있다("Coa...

python 자료의 유형

파이썬을 공부할 때, 기본 중의 기본이지만 대충 넘어간 부분이 자료형(type)에 관한 것이다. 어떤 함수는 type이 숫자만, 어떤 건 문자열만 받는다고 하는데, 머리 속에서 확실히 정리되지는 않는다. 그냥 그때그때 처리하기 바쁜데.. 사실 error 코드 보고 대처하는 수준밖에 안 된다. 공부 겸으로 한 번 정리해 본다. 근데 솔찍히 이런 그림 처음 본다. 자료형에 integer(정수), float, string(문자열), list(리스트) 정도가 익숙할 뿐이다. 파이썬 데이터 타입의 상위 분류가 '가변형', '불변형' 인 것도. 강사들이 그런 이야기를 하는 경우를 듣긴 했던 것 같은데... 수업을 건성으로 들은 사람의 한계다. 그 다음으로 숫자 타입, 시퀀스 타입, 리스트 타입, 사전 타입, 세트 타입 으로 나뉘고, 숫자 타입의 경우에 정수형, 소수형 (실수?), 불 형 (0, 1: 참, 거짓) * , 위 그림에는 없지만 복소수 형 이 있다. * 위 그림에서는 숫자 타입으로 분류하지만, 통상 불 형을 더 상위 수준 분류로 말하는 경우가 많다. 시퀀스 타입에 문자열 형, 튜플 형 으로 분류되는 것도 처음 알았다(분류를 어떻게 묶느냐에 따라 다르긴 하지만). 데이터의 유형을 확인할 때 사용하는 함수 type( )은 익숙하다. 자주 사용하는 함수다. jupyter를 이용해서 숫자 타입들을 찍어보면 다음과 같은 결과를 알 수 있다. 그동안 ' 복소수 '는 어떻게 다루는지 몰랐는데 'a+bj' 스타일로 쓴다. 'i'는 for문에서 주로 변수로 사용해서 못 쓰게 해 놓았는지는 모르지만 'a+bi' 형태로 쓰면 type( ) 함수에서 error가 발생한다. π 값을 어떻게 입력하는지 몰랐는데, 무한소수를 컴으로 다루는 건 한계가 있을 테니 일정 소수점에서 자른 수를 사용하고 있었다. π 값을 불러 오려면 math 라이브러리를 import해야 했다. 역시 소수니 'floa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