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한국교회 트렌드 2023』 읽기┃종교문화 트렌드 읽기에 참고, 그러나 영어 남발은...

사회조사 데이터와 디지털 데이터(+소셜 데이터)를 활용해 종교문화의 변동을 설명하는 데에 요즘 관심을 가지고 있다. 그런 관심사 때문에 눈이 갔던 책이 바로 『한국교회 트렌드 2023』이었다. 데이터를 통해서 무엇을 이야기해 주고 있는가가 궁금했다. 

물론 어느 정도 한계가 있을 것으로 예상하기도 했다. 지향 자체가 종교 시장에서 무언가 실행 가능하고 효과적인 선교나 목회 방법을 모색하는 것이기에 이 책은 일종의 교회 목회 실용서라고 볼 수 있으니 말이다. 데이터를 활용해 종교문화 변동을 알아본다는 데에 어느 정도는 충실할 수 없는 조건이라고 하겠다.

목차
서문 1  박재범(희망친구 기아대책 미션파트너십부문 부문장)
서문 2  지용근(목회데이터연구소 대표)
01  Floating Christian  플로팅 크리스천 │ 지용근(목회데이터연구소 대표)
02  Spiritual but Not Religious  SBNR │ 김영수(목회데이터연구소 연구위원)
03  Hybrid Church  하이브리드 처치 │ 조성실(소망교회 부목사)
04  Molecule Life   몰라큘 라이프 │ 정재영(실천신학대원대학교 교수)
05  Active Senior   액티브 시니어 │ 손의성(배제대 기독교사회복지학과 교수)
06  MZ   쫓아가면 도망가는 세대, MZ │ 전병철(아신대학교 교수)
07  All-Line Education   올라인 교육 │ 이기룡(장로회[고신] 총회교육원 원장)
08  Public Church   퍼블릭 처치 │ 백광훈(문화선교연구원 원장)
09  Polarization of Church, Survival Ministry   격차 교회 서바이벌 목회 │ 김영수(목회데이터연구소 연구위원)(?)
10  Climate Church   기후 교회 │ 유미호(기독교환경교육센터 살림의 센터장)
11  Current Trends in American Christianity   미국 기독교 트렌드 │ 김신권(아주대 의대 인문사회의학교실 교수)
미주
부록 (저자 소개 및 출처)

각 챕터별로 저자들이 별도로 있는 것으로 보이지만, 챕터에 저자명을 밝히지 않고 있다. 저자 리스트와 챕터 내용을 고려할 때, 각 챕터의 저자로 보이는 분들의 이름을 병기했다. 저자 리스트 순서가 대체로 챕터 순서에 맞춰진 것으로 보인다. 9장의 경우는 내용으로 보아 목회데이터연구소 인물의 저술로 보인다. 지용근 혹은 김영수가 작성했을 걸로 보이는데, 김영수로 추정했다. 이유는 직급과 자료 인용 방식을 고려했을 때 연구위원이 작성했을 가능성이 높아 보였기 때문이다.


각 챕터의 내용에 대해

1장 'Floating Christian'은 온라인 예배의 편리함 때문에 코로나19 방역 조치 해제 이후에도 교회 활성 신도수(평소에 교회를 출석하는 신도수)가 줄었고, 이들을 가나안 성도와는 구분되는 '플로팅 크리스천'으로 규정하고 그 안에서도 닻형과 부평초형을 구분하고 있다. 각각의 특성에 맞는 목회 전략이 요청된다는 이야기를 담고 있다.

2장 'Spirital But Not Religious'는 최근 많은 사람들의 탈종교적 영성 추구 경향을 다룬다. SBNR의 특성을 가진 사람들을 '교회에 나가지 않는 개신교인'에 초점을 맞추어 이야기하다 보니 약간 어색함이 있긴 하지만(SBNR은 다른 종교도 가능하기에), 이들에 대한 별도의 선교/목회 전략을 고민해야 한다는 '타겟팅' 측면에서는 어느 정도 기능을 하는 이야기로 보인다. 다만 종교 → 영성으로의 경향이 개신교 시장으로 보면 탈교회 경향인데, 이에 대한 대처가 어떻게 가능할지는 의문이다. 권위적이고 무지성적 혹은 이익집단적 특성에 염증을 느끼고 비개신교적 영성을 추구하려는 사람들의 마음을 돌리는 것이 그렇게 쉽지는 않아 보이기 때문이다.

3장 'Hybrid Church'는 온/오프 교회를 유기적으로 잘 통합시킨 교회를 말한다. 그것을 표현하기 위해서 '하이브리드 처치'라는 표현을 쓴다는 게 잘 이해되지는 않는다. '잡종 교회?' 어쨌든 이런 교회의 특성으로 '온감'/실재감/소속감/장소감을 말한다. '온감'은 온라인에서의 휴먼 터치로 말할 수 있는데, 그냥 랜선을 통해서도 사람의 온기를 느낄 수 있어야 한다는 것을 말한다. 온라인으로 만나도 오프라인에서 만나는 느낌을 줄 수 있어야 한다는 것으로 요약된다.

4장 'Molecule Life'는 교회 내 소그룹 활동의 중요성을 말하고 있다. 큰 공동체가 친밀한 관계를 만들기 어려운데 이를 보완할 수 있는 게 소그룹 활동이고 부유하는 개신교인을 교회에 뿌리 내리게 할 수 있는 실질적 방법일 것이라고 이야기한다. 근데 '몰라큘 라이프'라는 타이틀이 그런 걸 잘 보여주는 건가 하는 생각이 들긴 한다.

5장 'Active Senior'는 교회에 이제 노인 밖에 남지 않은 시대니까 노인들이 적극적으로 활동할 수 있도록 환경을 조성해야 한다는 이야기를 한다. 뭔가 슬픈 이야기다. 남은 노인들로 교회를 잘 꾸려나가 보자는 이야기로 들리기 때문이다.

6장 'MZ'는 '요즘 젊은 세대가 교회에 나가지 않는다'는 문제를 다룬다. MZ 세대를 잡기 위해 어떤 문제를 고민해야 하는지를 다룬다. 이 챕터에서 이 책을 통틀어 가장 인상적인 구절을 볼 수 있었다.

MZ세대들이 교회를 떠나는 이유를 다시 정리해보면 크게 관계(Relationship), 정서적인 문제(Emotional), 영적인 문제(Spiritual), 그리고 변화를 경험하지 못해서(Transformational) 등으로 요약할 수 있다. 각각의 영어 이니셜을 합치면 R.E.S.T. 즉 '안식'이라는 영어 단어가 된다. 청년들은 교회에서 진정한 안식을 누리지 못해 떠나는 것이다.

흠...

7장 'All-Line Education'은 온/오프의 유기적 교육, 교회 중심이 아니라 가정 중심의 교육을 말하고 있다. 달라진 커뮤니케이션 환경에서 교회 교육 전략을 어떻게 가져가야 할 지를 다루고 있다.

8장 'Public Church'는 개신교가 한국 사회에서 져야 할 공적 책임 문제를 다룬다. 특히 마을 목회가 강조되고 있다.

9장 'Polarization of Church, Survival Ministry'(격차 교회 서바이벌 목회)는 대형vs소형 교회의 양극화와 작은 교회가 살아남기 위한 선교 전략에 대해서 다루고 있다.

10장 'Climate Church'는 기후 위기 문제에 행동하는 교회를 만들 필요가 있다는 이야기를 담고 있다. 전체 책 구성 상에서 이 장이 가장 이질적인 모습을 보여준다. 미디어 변화에 따른 문제가 아니라 한국 교회가 역할을 해야하는 현대 사회의 문제를 말하고 있기 때문이다. 굳이 넣자면 8장의 하위 절 내용이 되면 맞았을 것 같다.

11장 'Current Trends in American Christianity'는 코로나19 이후 미국 교회에 대한 사회 인식의 긍정적 변화와 그 배경, 그럼에도 활성 신도수가 감소하고 있는 상황 등을 다루고 있다.


전체적 느낌

개념어를 영어로 맞추려는 경향이 강했는데, 불필요하거나 과해 보이는 경우가 많았다. 영어 개념어를 써야 뭔가 더 있어 보인다는 생각에서 그런 것인지, 다른 의도가 있어서인지는 잘 모르겠으나 일단 쉽게 전달되지 않는 문제가 있다.

'플로팅 크리스천'은 야심차게 내놓은 온라인 친화적이면서 고정된 교회에 출석하지 않는 개신교인을 가리키는 개념인데, 콩글리쉬 개념어인 것 같다. 미국에서 이런 개념의 개신교인을 가리키기 위해 사용하지는 않는 말로 보인다. floating christian이란 용례가 있는 것들은 '해상에 있는'이란 의미가 두드러진다(cf. Floating Christian Endeavor). 

플로팅 크리스천의 하위형을 '닻형'과 '부평초형'으로 나누는데, 애초 부유한다는 의미를 썼는데, 닻/부평초로 구분해서 개념이 모순되거나 중복되는 문제가 나타난다. 물론 이러한 문제는 사태를 객관적으로 투명하게 규정하는 데에 적절한 개념인가를 생각할 때나 주목될 뿐이다. 목회 전략 개선의 실용적 목적이라면 큰 흠이 되지는 않을 것 같다.

각 챕터 제목은 모두 영어가 쓰였는데, 쉽게 파악이 어려운 경우가 많다. SBNR, 하이브리드 처치, 몰라큘 라이프, 액티브 시니어, 올라인 교육, 격차 교회 서바이벌 목회 같은 것이 그러한 대표적인 예이다. '몰라큘 라이프'라는 건 교회 내 소그룹 활동의 중요성을 살피는 것이었는데, 이런 명명은 고개를 갸우뚱 하게 만드는 것이었다. 해당 챕터 제목은 '소그룹 활동이 중요하다' 정도면 적절했을 것 같다.

9장은 'Polarization of Church, Survival Ministry'로 교회의 양극화(대형vs소형), 소형 교회의 생존 전략을 살피는 것이었다. '교회 양극화 시대, 소형 교회의 생존 전략', 이 정도면 장의 내용을 투명하게 전달할 수 있지 않았을까라는 생각이 들었다.

데이터, 트렌드 활용 방법 상에서도 아쉬움이 느껴졌다. 온라인 목회 환경에서 '위험 신호'를 이야기하는 데에만 데이터와 트렌드가 활용될 뿐, 문제에 대한 심층 분석이나 인과성 추론에 해당 자료가 사용되는 경우는 거의 없었던 것 같다. 아무래도 책이 지향하는 바가 목회 실용서 성격이 강하다보니 가설/검증 등을 통해서 데이터를 효과적으로 사용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고려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이 책은 사회조사 및 온라인 데이터를 활용한 종교문화 트렌드 및 그 변동에 대한 연구를 하고자 할 때 좋은 반면교사가 되는 것 같다. 그리고 실제 종교계 현장에 적용할 수 있는 정보에 대해서도 관심을 기울일 필요가 있겠다는 생각을 하게 해 주었다.

댓글

  1. '플로팅 크리스천'이란 말은 저도 들어본 적이 없네요. Internet church, digital church, virtual church 등의 용어가 있고, 이런 인터넷 상의 교회 활동을 virtual worship등이라고 하기는 하죠. 그리고 '하이브리드 처치'는 영어에서 실제로 online church와 onsite church를 혼합한 경우를 지칭하는 말이 맞긴 합니다.

    '몰라큘 라이프'란 말은 처음 들어보고요...제가 아는 한 교회 내의 소그룹 활동을 위하여 만든 것을 'cell group'이라고 하긴 합니다. 또, 'all-line education'이란 말은 없는 것 같고요, 대신 hybrid education이라고 하면 학생 중 일부는 온라인으로, 또 일부는 직접 교실에 참여해서 수업을 하는 방식을 말합니다.

    'climate church'라는 표현이 있긴 한데, 일반적으로 쓰이는지는 모르겠고요, "The Church of Climate Change"라는 일종의 고유명사가 된 것이 있습니다. 이런 영어 표현들의 남발은 사실 역효과가 날 것 같다는 생각이 듭니다. 좋은 글 감사했습니다.^^

    답글삭제
  2. 네, 콩글리시를 검토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하이브리드 처치', 하나가 살아남는군요.

    답글삭제

댓글 쓰기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정신병', 스캡틱, 박한선

※ 이 글은 ' 얼룩소 '에 2023년 1월 28일에 게재했던 글입니다. 본래 제목을 약간 수정하였습니다. 이 글은 Skeptic Korea의 " 정신의학의 오래된 과제, 과학적 치료와 처방 "에 관한 얼룩소글의 출처를 체크하고, 정신질환 치료의 현실에 대해 박한선 선생님께 들었던 이야기를 정래해 본 글입니다. ─── ∞∞∞ ─── 최근에 나온 글인 줄 알고 찾아봤더니 전에 나온 글이군요. 마침 어제(1/27) 정신과 의사 출신 인류학자 박한선 선생님을 통해서 관련 이야기를 듣고, 글쓴이부터 찾아 봤습니다. 다른 저자인 걸 보고, 정신의학계에서 상당히 유명한 이야기라는 걸 짐작할 수 있었습니다. 박선생님께서 정신병 진단과 치료에 '정신분석학'이 사용되고 있다고 하셔서 좀 어리둥절 했었습니다. 심리학계(실험심리가 중심이 된)에서는 배우지 않게 된 분야로 알고 있어서 의학 분야에서도 당연히 퇴출되었다고 지레짐작하고 있었습니다. '왜 인지 모르지만, 효과가 있다'는 면에서 정신과 치료가 이루어지는 현실을 생각해 보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아, '정신분석학'도 프로이트, 융 시절의 버전이 아니라 많이 업데이트가 되었다고 하더군요. 자세한 부분은 과문해서 잘 모르겠습니다만. 어제 박선생님이 들려주신 이야기도 떠올라 흥미롭게 이 스켑틱의 글을 읽다가 문득 출처가 궁금해서 찾아 보니, '한국 스켑틱'에는 14권(2018년)에 "정신의학은 과학이 될 수 있을까"라는 제목의 글로 실려있었습니다. (스켑틱에서 얼룩소에 올리는 글이 최근호에 실린 글이 아니라는 걸 이제사 깨달은 거죠) https://www.badabooks.co.kr/SKEPTIC_magazine/?idx=54 글은 14권의 68~83쪽에 실렸습니다. 이 글을 일부 발췌해서 재편집한 것이 위의 얼룩소에 실린 글이더군요.

ChatGPT에 '크리스마스와 동지'의 관계를 물어 보았다.

요즘 핫하다는 '챗GPT'에 크리스마스와 동지의 관계를 물어보았다. https://openai.com/ 나: 크리스마스가 동지와 관계가 있다고 생각하니? 챗봇: 크리스마스는 세계 여러 지역에서 전통적으로 12월 25일에 기념하는 축제일이며 종종 북반구에서 1년 중 낮이 가장 짧은 동지와 관련이 있다. 동지는 보통 12월 21일 또는 22일 경에 발생하며 태양이 하늘에서 가장 낮은 지점에 도달하는 것, 즉 일 년 중 밤이 가장 긴 날을 표시한다. 크리스마스 축제는 원래 기독교 이전의 동지 축제의 영향을 받았을 것으로 생각되며, 이는 종종 태양의 재생과 낮이 더 길어지는 시기의 복귀와 관련이 있다. 고대 로마인과 고대 켈트족을 포함한 많은 고대 문화에는 동지와 태양의 귀환을 중심으로 한 전통과 축제가 있었다. 그러나 크리스마스는 복잡한 역사를 가지고 있으며 다양한 문화 및 종교적 영향에 의해 형성되었다는 점에 유의하는 것도 중요하다. 동지가 축제일의 기원에 역할을 했을 수도 있지만, 크리스마스는 광범위한 종교적, 문화적 전통과 연관되어 현재 전 세계의 다양한 신앙을 가진 사람들이 기념하고 있다. 크리스마스와 동지의 관계에 대해서 비교적 유의미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으로 보인다.  동지 축제와 관련성을 '논증'하지는 않지만, 중요한 정보(동지 축제와 관련되지만 현재는 역사/문화/종교적 설명이 복잡하게 얽혀있다거나 복잡하게 변화했다)는 대체로 잘 이야기하고 있다. 인지진화적 설명은 관련 문서가 부족하기 때문에 활용하지 못하는 것으로 보인다. 디테일이 부족한 것도 한계라 할 수 있겠지만, 간단한 답변으로서는 상당한 수준이라는 것도 부인할 수 없는 것 같다. 챗GPT가 3문단으로 설명하는 것을 나는 A4 몇 페이지로 설명했던가. 대학 등에서 학생들에게 과제나 시험문제를 내줄 때 이제 안일하게 내면 AI가 답을 써주는 시대가 되어버린 듯하다. ─── ∞∞∞

절기, 시간의 마디와 의례 본능

‘크리스마스와 동지 축제’라는 타이틀의 시리즈물의 마지막 글이다. 이전 글까지 확인하려고 했던 것은 ‘크리스마스’가 동지라는 ‘시간의 마디’에 이루어지는 의례였고, 지금도 그 특성이 유지되고 있다는 것이다. 그 다음에 물을 수 있는 것은 '이런 시간의 마디에서 인간은 왜 의례 행동을 하는가'가 될 것이다. 동지 축제의 주요 요소라고 할 만한 것들이 ‘주술-종교적 목적의 행동’이라는 점을 지난 글( 핼러윈, 크리스마스, 만우절의 공통점 )에서 언급했다. 팥죽과 주술-종교적 위험 회피 우리의 동지 축제 때 관습으로 ‘팥죽 먹기’가 있는데, 그것도 동지 축제에서 많이 보는 주술-종교적 행동이다. 동지에 팥죽을 먹는 풍습에 대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의 설명을 보자. 동짓날에는 동지팥죽 또는 동지두죽(冬至豆粥)·동지시식(冬至時食)이라는 오랜 관습이 있는데, ... 팥죽에는 축귀(逐鬼)하는 기능이 있다고 보았으니, 집안의 여러 곳에 놓는 것은 집안에 있는 악귀를 모조리 쫓아내기 위한 것이고, 사당에 놓는 것은 천신(薦新)의 뜻이 있다. ... 동짓날에 팥죽을 쑤어 사람이 드나드는 대문이나 문 근처의 벽에 뿌리는 것 역시 악귀를 쫓는 축귀 주술행위의 일종이다. ‘악귀를 쫓는 축귀 주술행위’로 팥죽을 쑤어 먹는다는 것이다. 이런 동기는 이 풍습이 관습화되면서 많이 약화되고 새해에 떡국을 먹는 것처럼 ‘한 살을 먹는다’는 의미 정도로 축소되었다. 세계 도처의 ‘동지 축제 풍습’, 또 신년 의례를 보면 시간이 변하는 시점에 귀신이나 악령이 출몰하고 이들로부터 인간이 액, 살과 같은 좋지 않은 영향을 받을 수 있다는 관념이 폭넓게 퍼져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리고 그것을 막기 위한 모종의 행동(의례)을 수행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참고로 시간의 ‘경계’만큼이나 공간의 ‘경계’에서도 인간의 종교적 상상력은 활발히 작동한다. 그 대표적인 예가 누석단이다. 영어권에서는 cairn이라고 말하는 것이다. 새로운 공간으로 진입할 때 사람들은 민감하게 초자연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