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The E of the Temple at Delphi(1925)의 요약

'너 자신을 알라'(ΓΝΩΘΙ ΣEΑΥΤΟΝ, gnothi seauton)에 대한 호기심으로 이것저것 찾아보다가 델포이 신전과 관련된 종교문화의 흥미로운 이슈를 여럿 발견했다. 그 중의 하나가 '델포이 신전의 E' 문제다.

베이츠(1925)는 E가 아폴로 신앙 이전의 대지모신과 관련이 되며, 델포이 성소의 신이 대지모신 gaia 혹은 Themis에서 아폴로로 대체되었다는 주장을 하였다.

Bates, William Nickerson, 1925, "The E of the Temple at Delphi," American Journal of Archaeology, 29(3), pp. 239–246.

-. 1세기에 델포이의 아폴로 신전 입구에 '너 자신을 알라'와 함께 문자 E가 쓰인 3개의 모델이 있었다(나무, 청동, 황금 버전).

-. 플루타르코스가 한 대화편에서 이 E에 대한 7가지 설명을 제시했다.

-. 그 내용은 E와 관련된 그럴 듯한 상상일 뿐이다. 플루타르코스는 그 비밀을 알지 못했다.

-. 새로운 각도(고고학적 발굴 유물)에서 이 문제에 접근할 수 있다.

-. 페르낭 쿠르비(Fernand Courby)가 발견한 델포이 신전의 옴팔로스에 새겨진 문자를 E Γã(e ge)로 볼 수 있다.

-. 이 옴팔로스는 기원전 7세기에 만들어진 것이다[이 부분은 논란이 있다. cf "'델포이 신전의 작은 옴파로스'는 옴파로스가 아니다?"].

-. 델포이의 신전은 아주 오래된 것으로 아폴로 신이 숭배되기 전에도 신성한 곳이었다.

-. 파우사니아스(약110-약180)가 반복적으로 (아폴로 신탁이) 본래 대지의 신탁(an oracle of Earth)에서 유래했다고 했다.

-. 파우사니아스가 인용한 옛 시에 대지[가이아]와 포세이돈이 일반적으로 신탁을 관장하는 것으로 나온다.

-. 대지(Earth)는 신탁을 테미스(Themis, 정의가 신격화된 신, 티탄 12신 중 하나, 제우스의 두 번째 아내)에게 공유했고, 테미스는 델포이의 신탁과 관련된다. (테미스에서 아폴로로 신의 교체?)

-. 에우리피데스(Euripides, c. 480–c. 406 BC)는 자신이 대지의 딸로 부른 테미스를 어린 아폴로가 쫓아내어 성소를 차지하는 것으로 이야기를 지었다.

-. 아이스킬로스(Aeschylus, c. 525–c. 456 BC)는 대지와 테미스를 동일시했다.

-. 이런 이야기들은 델피의 아폴로 숭배가 대지, ge, gaia 등으로 불린 대지의 신으로 불린 더 오래된 신격의 숭배를 계승했다는 역사를 배경으로 한다.

-. 호메로스풍의 찬가에 크레타 섬 사람들(미노아의 크노소스)이 이곳에 와서 아폴로 신전을 짓는 이야기가 나온다. 델포이와 크노소스의 관계를 생각할 수 있음.

-. 미노스 문명(기원전 약2,700-약1,500년경)기 때에 크레타인의 도래라는 역사적 사건이 배경으로 보임.

-. 그 시기 이전에도 델포이 지역에 사람들이 살고 있었고, 성소를 갖고 있었다.

-. 기원전 2,000년 이후 델포이 지역에서 미노스와 미케네 문명의 흔적이 나옴(델포이 신전 안쪽에서 발굴된 뿔 모양 술잔이 크레타 섬의 크노소스 궁전에서 발견된 것과 아주 유사했다).

-. 아폴로신의 성역에서 발굴된 도기 파편 등으로 델포이에 대한 미노스와 미케네 문명의 영향을 확인할 수 있다.

-. 또 델포이의 캘린더, 크레터 섬 캘린더의 영향을 받았다.

-. 기원전 2,000년경 최고 신격은 어머니신으로 남성 배우자와 짝을 이루어 크레타섬 뿐 아니라 소아시아(터키) 등지에서 숭배되었다.

-. 지역에 따라 그 짝은 다르게 불렸는데, 크레타에서는 제우스(황소 및 양날 도끼의 신).

-. 양날 도끼는 여신의 상징이기도 했음.

-. 고대 그리스에서 그 여신은 레아(Rhea, 크로노스의 아내, 제우스의 엄마)였고, ge/gaia와는 구별되었다.

-. 델포이의 대지 여신이 가이아와 동일시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 크레타의 크노소스의 여신이 그랬던 것처럼 델포이의 가이아는 뱀과 관련되었다.

-. 크레타의 파이스토스(Phaestus)의 여신처럼 델포이의 가이아는 신탁과 미래를 예언했다.

-. 제우스는 가이아의 아들로 여겨지지만 동시에 테미스의 배우자이기도 하다. 테미스는 가이아와 동일시된다. 크레타의 여신도 아들이자 배우자인 신격과 짝을 이룬다.

-. 포세이돈과 가이아가 한 때 델포이의 신탁을 함께 공유했다는 전통은 신성한 짝의 또 다른 예일 가능성이 있다.

-. 헤시오도스의 이야기에서도 위대한 여신과 델포이의 접촉을 추정할 수 있는 단서를 볼 수 있다.

-. 레아가 크로노스에게 제우스를 대신해서 삼키게 하는 돌이 델피에 남아있다고 한다. 파우사니아스는 자기 시대에 그 돌이 그곳에 있었다고 말했다.

-. 옴팔로스가 크레타 섬에서 유래한 것이라고 볼 수 있는 근거가 있다. 미노스 궁전에서 발견된 인장석(seal stone)에 새겨진 그림을 보면, 작은 신전과 뱀이 나온다. 지붕 아래에 길다랗게 둥근 물체가 옴팔로스로 보인다.

-. 초기 작품에서 위대한 여신은 두 마리 사자나 두 마리 물새와 함께 그려졌는데, 크레타 섬 뿐 아니라 그리스 본토에서도 그랬다.

-. 미케네에서 발견된 보옥(gem)에서 위대한 여신이 두 마리 사자로 둘러싸인 그림을 볼 수 있다. 다른 보옥에는 여신, 사자 두 마리, 그리고 여신의 머리 위에 양날 도끼가 가운데에 있는 뱀 모양의 의례 도구가 그려져 있다.

-. 미케네에서 발견된 테라코타 장식판에는 위대한 여신이 물 새 두 마리와 함께 그려져 있다.

-. 보이오티아(델포이 동쪽 지역)의 티스베(Thisbe)에서 나온 구슬 인장(bead seal)에 위대한 여신은 백조 두 마리를 끼고 있는 모습으로 그려져 있다.

-. 델포이에서 그런 사례는 없지만, (플루타르코스나 에우리피데스 기록에 따르면) 옴팔로스의 양 옆에 그려진 두 마리 새를 독수리가 아니라 백조로 보는 몇몇 당국자들이 있다.

-. 이러한 사실로부터 아폴로가 출현하기 전에 델포이의 성소에서 숭배된 원시 여신이 미케네, 크노소스에서 보이는 위대한 여신이고, 크레타 섬에서 델포이로 이 여신 신앙이 전해졌을 개연성이 있다.

-. 뉴욕의 메트로폴리탄 박물관에 소장된 미노스 시대의 보옥에 새겨진 그림을 보면, 황소가 아래 위로 대칭으로 그려져 있고, 뿔 위에 양날 도끼가 그려져 있으며, 이것들 사이에 E 모양의 기호가 쓰여져 있다.

-. 크레타의 미노스에서 제우스 숭배와 양날 도끼가 밀접하게 관련된다.

-. 황소는 신적인 존재를 나타내는 것으로 크레타의 제우스다.

-. 양날 도끼는 크레타의 제우스의 상징일 뿐 아니라 제우스와 짝을 이루는 위대한 여신과도 관련된다.

-. 미노스의 E는 양날 도끼의 신격에 사용될 수 있고, 그 짝인 여신에게도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그 여신은 델포이의 가이아 혹은 ge와 동일하다.

-. 그러므로 델포이의 E는 대지의 여신을 나타내는 것이다.

"델포이 신전의 E는 선사 시대의 유산으로 모든 시대에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종교와 관련된 문제에서의 보수주의의 또 다른 예라고 할 수 있다."

(이 말은 종교문화에서 이전의 종교적 유산을 재활용하여 새로운 종교문화를 만들어 낸다는 의미다. 고대 근동의 홍수신화를 재활용한 성서의 노아의 방주 이야기라든지, 이슬람의 카바의 검은 돌 숭배라든지, 이런 예들은 너무나 많다. 종교의 영역에서도 '하늘 아래 새로운 것은 없다'고 할 수 있다.)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ChatGPT에 '크리스마스와 동지'의 관계를 물어 보았다.

요즘 핫하다는 '챗GPT'에 크리스마스와 동지의 관계를 물어보았다. https://openai.com/ 나: 크리스마스가 동지와 관계가 있다고 생각하니? 챗봇: 크리스마스는 세계 여러 지역에서 전통적으로 12월 25일에 기념하는 축제일이며 종종 북반구에서 1년 중 낮이 가장 짧은 동지와 관련이 있다. 동지는 보통 12월 21일 또는 22일 경에 발생하며 태양이 하늘에서 가장 낮은 지점에 도달하는 것, 즉 일 년 중 밤이 가장 긴 날을 표시한다. 크리스마스 축제는 원래 기독교 이전의 동지 축제의 영향을 받았을 것으로 생각되며, 이는 종종 태양의 재생과 낮이 더 길어지는 시기의 복귀와 관련이 있다. 고대 로마인과 고대 켈트족을 포함한 많은 고대 문화에는 동지와 태양의 귀환을 중심으로 한 전통과 축제가 있었다. 그러나 크리스마스는 복잡한 역사를 가지고 있으며 다양한 문화 및 종교적 영향에 의해 형성되었다는 점에 유의하는 것도 중요하다. 동지가 축제일의 기원에 역할을 했을 수도 있지만, 크리스마스는 광범위한 종교적, 문화적 전통과 연관되어 현재 전 세계의 다양한 신앙을 가진 사람들이 기념하고 있다. 크리스마스와 동지의 관계에 대해서 비교적 유의미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으로 보인다.  동지 축제와 관련성을 '논증'하지는 않지만, 중요한 정보(동지 축제와 관련되지만 현재는 역사/문화/종교적 설명이 복잡하게 얽혀있다거나 복잡하게 변화했다)는 대체로 잘 이야기하고 있다. 인지진화적 설명은 관련 문서가 부족하기 때문에 활용하지 못하는 것으로 보인다. 디테일이 부족한 것도 한계라 할 수 있겠지만, 간단한 답변으로서는 상당한 수준이라는 것도 부인할 수 없는 것 같다. 챗GPT가 3문단으로 설명하는 것을 나는 A4 몇 페이지로 설명했던가. 대학 등에서 학생들에게 과제나 시험문제를 내줄 때 이제 안일하게 내면 AI가 답을 써주는 시대가 되어버린 듯하다. ─── ∞∞∞

'정신병', 스캡틱, 박한선

※ 이 글은 ' 얼룩소 '에 2023년 1월 28일에 게재했던 글입니다. 본래 제목을 약간 수정하였습니다. 이 글은 Skeptic Korea의 " 정신의학의 오래된 과제, 과학적 치료와 처방 "에 관한 얼룩소글의 출처를 체크하고, 정신질환 치료의 현실에 대해 박한선 선생님께 들었던 이야기를 정래해 본 글입니다. ─── ∞∞∞ ─── 최근에 나온 글인 줄 알고 찾아봤더니 전에 나온 글이군요. 마침 어제(1/27) 정신과 의사 출신 인류학자 박한선 선생님을 통해서 관련 이야기를 듣고, 글쓴이부터 찾아 봤습니다. 다른 저자인 걸 보고, 정신의학계에서 상당히 유명한 이야기라는 걸 짐작할 수 있었습니다. 박선생님께서 정신병 진단과 치료에 '정신분석학'이 사용되고 있다고 하셔서 좀 어리둥절 했었습니다. 심리학계(실험심리가 중심이 된)에서는 배우지 않게 된 분야로 알고 있어서 의학 분야에서도 당연히 퇴출되었다고 지레짐작하고 있었습니다. '왜 인지 모르지만, 효과가 있다'는 면에서 정신과 치료가 이루어지는 현실을 생각해 보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아, '정신분석학'도 프로이트, 융 시절의 버전이 아니라 많이 업데이트가 되었다고 하더군요. 자세한 부분은 과문해서 잘 모르겠습니다만. 어제 박선생님이 들려주신 이야기도 떠올라 흥미롭게 이 스켑틱의 글을 읽다가 문득 출처가 궁금해서 찾아 보니, '한국 스켑틱'에는 14권(2018년)에 "정신의학은 과학이 될 수 있을까"라는 제목의 글로 실려있었습니다. (스켑틱에서 얼룩소에 올리는 글이 최근호에 실린 글이 아니라는 걸 이제사 깨달은 거죠) https://www.badabooks.co.kr/SKEPTIC_magazine/?idx=54 글은 14권의 68~83쪽에 실렸습니다. 이 글을 일부 발췌해서 재편집한 것이 위의 얼룩소에 실린 글이더군요.

미신과 종교라는 개념에 담긴 '너는 틀렸고, 내가 맞다'

※ 이 글은 ' 얼룩소 '에 2023년 1월 21일에 게재했던 글입니다. ─── ∞∞∞ ─── 미신이란 말을 많이 씁니다. 그게 무엇이냐 물어 본다면 우리는 어떤 행위들이나 관념을 이야기합니다. 뇌과학자 정재승 선생님도 미신 이야기를 하면서 '빨간색으로 이름 쓰는 행위가 불길하다는 미신'을 이야기했습니다. 차이나는 클라스, 정재승 편 미신이 어떤 것인가를 말할 때, 이렇게 미신에 속한 것들을 이야기하게 됩니다. '시험 볼 때 미역국을 먹지 않는다' '시험 볼 때 포크를 선물한다' '손 없는 날 이사해야 한다' '밤에 손톱을 깎으면 안 된다' '귀신을 쫓기 위해서 팥죽을 먹는다' 그럼 '미신'은 어떤 것이냐 설명해 보라면, 아마 이런 말들을 늘어 놓게 될 겁니다. https://engoo.co.kr/blog/먼나라이웃나라-세계-각국의-다양한-미신들/ 표준국어대사전에 바로 그와 같이 설명이 되어 있습니다. 표준국어대사전 '미신' 항목 그런데 이런 개념은 일상에서는 그런대로 사용할 수 있지만, 엄밀하게 따지면 쓸 수 없는 설명입니다. '비합리적이고 비과학적'인 게 너무 광범위하기 때문입니다. 도덕적, 경제적 판단과 믿음에도 그런 사례를 많이 찾아 볼 수 있습니다. 가령 '관상은 과학이다', 'ABO 혈액형 성격론', '과시적 소비' 등등. 어떤 종교적 맥락에서 '이상한 것'을 이야기하기 위해서 '미신'이란 말을 많이 사용합니다. 종교와는 다른 것으로 이야기합니다. 그런데 위 국어사전의 개념 정의는 종교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