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수능 부적과 주술적 사고│미신은 살아있다

2021년 수능 모습. 사진출처: 대학저널(원출처: 대전교육청)

오늘 수능일이었다. 이 입시 시즌에 종교계도 바쁘다. 근래 들어와서 종교계의 대표적인 대목은 신년과 입시다. 종교 서비스의 수요가 폭발적으로 증가하는 시기다. 팬데믹 상황에서도 그런 분위기가 사라지진 않았다. 물론 예년에 비해서는 규모가 많이 작아졌지만 말이다. 엔데믹으로 넘어간 상황에서 예년 수준을 회복했는지 모르겠다.

여러 종교 영역에서 기도가 이루어진다. 부모들만이 종교 서비스의 필요를 느끼지 않는다. 수험생 당사자도 그렇다. 그걸 확인할 수 있는 대표적인 사례가 '수능 부적'이다.

아, 자칫 사람들이 그런 미신 믿는 게 아니라 그냥 재미로 하는 것다, 뭐 이렇게 넘어갈 수도 있으니 부적, 미신 운운하는 게 불편할 수도 있다. 옳고 그름, 정당성에 대한 판단은 잠시 미뤄두고, '특정한 행동 패턴'에만 주목해 보기로 하자. '수능 부적'으로 통칭되니, '부적'이란 말에 대한 거부감은 잠시 제쳐두고 생각해 보자.

 

수능 부적

요새 '수능 부적'으로 회자되는 게 '수능포카'라고 한다. '포카'는 포토카드의 준말이다. in서울 아이돌의 사진이 '부적'처럼 통용된다고 한다. 아이돌의 부적으로 '수능 합격 기원' 동영상도 만들어지는 것 같다. 각광을 받는 건지는 잘 모르겠지만.

이미지 출처: 이투데이

'라떼', 한 20년 전에는 휴지, 포크 같은 게 새로운 수능 부적이라고 이야기되었던 것이다. 특히 차 엠블럼의 's' 글자가 유행했다. 그때는 '쏘나타'라는 차를 보면 심심치 않게 '오나타'로 되어 있는 걸 볼 수 있었다.

이미지 출처: 한국일보, '황당한 수능 미신 총정리' 기사.

수능 이전 학력고사 시대 때는 엿이나 떡이 일반적이었다. 물론 엿이나 떡은 지금도 유효하다.

사진은 1972년 고입 시험 때 모습. 사진 출처: 한국일보, '척 붙어만 다오..예비고사부터 수능까지 대입시험 풍경'

2021년 한 수능 시험장 입구에 붙은 엿 모습. 사진 출처: SBS 뉴스


전통적 시험 부적

'붙는다'는 주술적 의미로 엿을 사용한 역사는 꽤 오래 되었다. 조선시대 기록에서도 찾아 볼 수 있으니 말이다.

지평 이한일(李漢一)이 아뢰기를,"이번 과장(科場)은 엄숙하지 못하여 떡·엿·술·담배 따위를 현장에서 터놓고 팔았으니, 그때의 금란관(禁亂官)에게는 삭파(削罷)의 형전(刑典)을 시행하여야 마땅합니다." - 영조실록 120권, 영조 49년 4월 9일 정유 4번째기사

참고: 조선시대 과거시험을 앞두고 ○○을 갈아먹었다?!

조선 시대 엽기적인 '시험 부적'은 '비석 글자 가루'가 될 것 같다. "조선시대 과거시험을 앞두고 ○○을 갈아먹었다?!"는 글에서 그 이야기를 다루고 있다.

심지어 비석에 새겨진 일부 글자(인(仁), 의(義), 예(禮), 지(智), 신(信))를 갈아서 그 가루를 엿과 함께 먹으면 시험에 철썩 붙는다는 믿지 못할 이야기도 전해지고 있다.

'오나타'를 만든 사고방식과 비슷한 것이었다. 과거 시험에 나오는 주요 개념들이 합격의 영험한 능력을 가졌을 것으로 기대된 것으로 보인다.

조선시대부터 이어져 오는 시험 부적으로 배내옷도 주목해 볼 만하다.

위 글에서는 이렇게 설명하고 있다.

아기 때 입었던 배내옷은 행운을 가져다주는 부적과 같은 역할을 하기도 했다. 이는 배내옷이 가지는 특별한 의미 때문이다. 

사람이 태어나서 처음 입는 옷이 배내옷인데 태어난 지 7일째 되는 날 삼신에게 감사하는 마음과 함께 아기의 장수를 빌게 된다. 아기는 14일째와 21일째에도 각각 배내옷을 입게 되는데, 세 번째 7일인 삼칠일에야 비로소 금줄을 걷고 산무와 아기 그리고 가족이 지켜야 했던 금기도 풀어진다. 

조선시대에는 영아 사망률이 대단히 높았기 때문에 삼칠일을 기념하는 것은 당연한 일일 것이다. 따라서 배내옷이 복을 가져다주리라는 믿음 역시 자연스러운 기복의 행위이며, 과거를 보기 위해 한양으로 떠나는 유생의 괴나리봇짐에는 배냇저고리가 들어 있었다. 

이러한 풍습은 근대 이후 현대까지도 이어져 내려왔다. 최근에는 거의 찾아보기 어렵지만 배냇저고리 일부를 수험생 모르게 옷에 꿰매어 부적처럼 사용하는 풍습이 그것이다.

기성세대가 과거를 추억하는 이야기 속에서도 '대입 시험 부적'으로 배냇저고리가 사용된 적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태어나서 처음 입은 배냇저고리를 고이 간직해 뒀다가 수능 전날 코트 안감 속에 실로 꿰매 주셨던 우리네 어머니의 정성에 비할 수 있으랴. 그건 어머니가 18년 동안 고이 간직한 부적이자 어머니의 간절한 마음이고, 정성일 것이다. 

━ 경남신문, 2005. 11. 19, "수능과 배냇저고리"

시험 부적은 과거부터 이어져 온 것도 있고, 새롭게 변하는 것도 있다. 그래서 변치 않는 것을 엿이나 떡이라는 사물로 이야기할 수 있지만, 시대불문, 장소불문 불변인 것은 '주술적 사고(magical thinking)'이다.

 

주술적 사고: 유감주술, 감염주술

제임스 프레이저가 그의 『황금가지』(1890 초판)에서 '주술의 유형론'을 이야기한 바 있는데, '관념 연합'(서구 철학사에서 등장하는 개념. 영국 경험론)의 원리로 주술적 사고방식을 분류한 것이다. 관념연합의 원리가 적용되기에 주술적 사고방식을 공감 주술(sympathetic magic)로 규정했다. 그 하위 형태로 유감주술(homeopathic magic)과 감염주술(contagious magic)을 말했다.


유감주술은 '비슷한 게 비슷한 걸 낳는다'는 원리(유사성의 법칙), 감염주술은 '접촉한 것은 떨어져도 영향을 준다'는 원리에 입각한 것이라 설명한다. 그리고 유감주술은 모방주술(Imitative Magic)과 같은 말이고, 감염주술은 접촉주술(Contact Magic)과 같은 말이다.

프레이저는 원시 종교적 사고방식으로서 주술적 관념을 이야기했지만, 사실 주술적 사고방식은 인간의 미개한 종교적 사고방식이 아니다. 부적 같은 걸 상상하는 게 어떻게 미개한 원시 종교적 관념이 아니라고 할 수 있느냐 의아할 수도 있겠지만 말이다.

 

주술적 사고와 뇌

인지과학, 뇌신경과학 연구 성과 덕분에 '주술적 사고'가 우리 뇌의 인지 방식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는 게 점점 명확해지고 있다(참고자료, "Magical Thinking and The Plastic Brain"). 뇌의 가소성plasticity(신경가소성neuroplasticity)은 뇌의 정보 처리 과정 중에 특정 뉴런의 연결이 강화되거나 신경돌기가 많아지는 등 자극의 변화에 따라서 신경생리적 구조가 변화하는 특성을 말한다. 이 때문에 '새로운 정보'를 유연하게 처리하게 된다. 또, 특정 신경회로가 손상돼도 다른 신경회로가 그 기능을 대체할 수 있게 된다.

이미지 출처: ketogenicforums.com

이미지 출처: https://www.cognifit.com/brain-plasticity-and-cognition

유사한, 인접한 자극은 동일한 신경회로를 통해서 처리되면서 해당 회로가 강화된다. 경제적 인지 전략의 산물이다. 자연선택이 그러한 제한을 준 것이다. 한정된 인지자원으로 효율적으로 다양하고 새로운 정보를 처리해야 했던 것이다. 이를 단적으로 확인시켜 주는 것이 허스Huth 등(2016)의 연구이다. 단어와 뇌 영역을 맵핑한 것을 보여주는데, 가까운 위치에 분포한 단어들은 서로 연결되어 있거나 비슷한 말이다.

특정 뇌 영역에 맵핑된 단어를 보면(우측 하단), 'mothers, murdered, children, child, cousin, mother, marry, son, who, wife, family, sons, death, murder, daughter, father, brother, whom, innocent, nephew'가 나와 있다. 의미론적으로 연결(mother, family, child ...)되기도 하지만 음성학적으로 연결된 것도 보인다(mother, murder). [https://gallantlab.org/huth2016/ 여기에서 누구나 확인할 수 있다.]

우리 머리 속의 정보 처리 장치의 특성 탓에 '주술적 사고'가 그럴 듯한 생각으로 받아들여진다. '주술적 사고'를 그럼 뭐라 하느냐. 유사한 것과 인접한 것을 연결하는 사고방식으로 표현할 수도 있겠지만, 근래에는 서로 관련 없는 것, 범주가 다른 것을 연결하는 사고방식으로 표현된다. 그렇게 정의를 하면 '사고의 오류'라고 규정하게 되는 측면이 있다(과학자들은 주로 이렇게 말한다).

어쨌든 '주술적 사고'라고 하는 것은 유사/인접한 정보를 묶어서 처리하는 뇌의 인지 방식의 특성이 종교적 맥락에서 나타나는 경우를 말한다고, 보다 중립적으로 설명해 볼 수 있다.

정리> 

주술은 '주술적 사고'(시험 '본다' - 거울, 이렇게 연결시키는 생각)와 '주술적 행동'(시험을 잘 보기 위해서 죽/미역국 안 먹는다든지, 손톱이나 머리카락을 안 자른다든지, 인과성이 없지만 인과성을 상상하여 얻고자 하는 결과를 기대하며 하는 행위)을 포괄하는 개념. 부적은 주술적 관념에 따라서 행운을 가져오거나 불운을 막아주는 것으로 여겨지는 물건을 말한다.

 

다양한 영역에서의 유사/인접성의 인지 원리

수사학적 기술 중의 하나인 비유법에서 이런 사고방식을 또 찾아볼 수 있다. 유비(analogy)가 유사성의 원리를 환유(metonymy)가 인접성의 원리를 활용하는 경우다. 

언어유희적 유머에서도 이런 사고방식을 볼 수 있다. 발음의 유사성/인접성, 의미의 유사성/인접성을 가로지르며 원래 의미와 덧붙여진 의미의 불일치로 재미가 만들어 진다(칼이 정색하면? 검-정색; 넌 내게 목욕값을 줬어 등등). 조선시대 문인 김삿갓은 예술적 경지로 끌어 올린 말장난을 보여준 바 있다.

二十樹下三十客 (이십수하삼십객): 스무나무 아래 서른(서러운) 나그네가
四十家中五十食 (사십가중오십식): 마흔(망할놈)의 집안(집구석)에서 쉰밥을 먹네
人間豈有七十事 (인간개유칠십사): 사람 사는 세상에 어찌 일흔(이런) 일이 있으랴
不如歸家三十食 (불여귀가삼십식): 차라리 집으로 돌아가 서른(설익은) 밥을 먹으리라

유사와 인접의 발상이 적용되는 사례들은 이 외에도 많다.

뇌라는 정보 처리 장치를 인간이 갖고 있는 한은 이런 사고 방식은 사라질 수 없는 것이다. 그러니 부적과 주술적 행동을 떠올리는 마음(거기에만 특화된 게 아니지만)은 지극히 자연스럽다. 옛날부터(호모 사피엔스) 지금까지 그리고 앞으로도 인간은 줄곧 유사와 인접을 넘나들며 생각하고 말하며 행동해 왔으며 행동해 나갈 것이다.

 

다른 나라 시험 부적과 주술행동

주술적 사고방식이 뇌의 인지 전략의 산물이기 때문에 세계 어디에서나 위험과 불안을 관리하려는 부적/주술행동이 확인된다. 부적 쓰는 건 만국공통이라는 얘기다.

인터넷에 회자되는 '세계의 시험 미신'을 보면, 이런 경향을 대충 살펴볼 수 있다.

일본은 시험 전날이나 당일에 '카츠동'(돈까스 덮밥)을 먹는다고 한다. '카츠'라는 발음의 다른 말이 '카츠(勝)'라서 '시험에서 승리'라는 의미를 갖고 있다고 한다. 사무라이 문화의 영향일지도 모르겠다. 'good luck'의 의미로 '무운을 빈다(武運を祈る)'고 말하는 것도 그렇고..

대형 초콜렛에 '지분오신지테'(자신을 믿어봐)라고 적혀 있다. 사진 출처: BBC News

비슷하게 KitKat이라는 '초코레또' 과자도 행운을 가져다 준다고 여겨진다. '킷토 카츠'(きっと勝, '꼭 승리')와 발음이 비슷해서 그렇다고 한다.

홍콩(아마도 중국도?)에서는 사과가 시험 부적으로 쓰인다고 한다. 사과의 중국어 발음이 'ping guo'인데 '안전'을 의미하기도 한다고. 중국어 '안전'하고는 발음이 다른 걸 보면 '사과'가 중국에서 갖는 상징적 의미 때문인 것 같기도 하다. 

다른 출처의 자료를 보면 '사과'가 중국에서 '지혜'를 상징하는 과일이기 때문이라고 한다. 이쪽도 개연성이 있어 보인다. 또 어떤 설명에는 '부의 상징'이어서 '행운'과 연관된다고 한다. 중국에서는 사과가 잘 나지 않아서 부자들만 먹는 과일이었다고 한다(사실인지는 모르겠음).

이 외에도 세계 도처에서 시험, 공부와 관련된 주술적 관념과 행동, 부적이 다양하다. 행운의 속옷, 머리카락 안 자르기, 불운한 의미/발음의 말이나 행동 회피하기, 악수 안 하기, 계란 안 먹기, 영험하다고 여겨지는 기념물 만지기 등등. 유사와 접촉의 원리가 작동하는 주술적 관념과 행동을 볼 수 있다.

 

다시 수능 부적과 주술행동

수능 부적의 대상이 되는, 주술적 사고의 투사체는 시대에 따라서 변천하고 있다. 물론 어떤 사물들은 계속 애용되는 것도 있지만 말이다. 변치않는 것은 주술적 사고방식 그 자체다. 시험과 관련된 부적과 주술행동들은 긍정형 '시험에 붙다'와 부정형 '시험에 떨어지다'는 의미를 환기할 수 있는 사물, 말, 행동들과 관련된다.

'시험 때 죽을 먹지 않는다', '죽쑤다'라는 말이 '망치다'는 의미라서. '시험 때 미역국을 먹지 않는다', '미끄러지다'라는 말을 '시험에 낙방하다'는 의미로 쓰기에. 시험에 '붙다'는 의미를 살려서, 엿, 떡, 밥풀, 풀. 시험 잘 '보라'는 의미에서, 손거울. 시험 문제를 잘 '풀라'는 의미에서, 화장지, 티슈. 시험 잘 '찍어'라는 의미에서 포크, 도끼. 시험 볼 때 '젖 먹던 힘까지 최선을 다하라'는 의미에서 젖병. 이런 예들은 의미/발음의 유사성에 기댄 부적과 주술행동(액막이)이다.

인접성에 따르는 수능 부적은 최근의 아이돌 '포카', 서울대 노트, 서울대 독서등, 서울대 초콜릿(개인적으로 수능 선물로 줘본 적이 있다), 합격생이 사용한 물건들 등이 있다.

전통적으로 사용해 온 '부적'(노란 종이 위에 빨간색으로 글자 비슷한 게 쓰여있는)도 사용이 되는 것으로 보인다. 알아 볼 수 없는 한자를 사용하는 버전은 주로 전문종교인(무당, 스님 등)이 제작하는 경우가 많고 순수하게 상업적으로 만들어지는 경우는 한글로 현대화된 기원의 메시지를 담고 있다.

'수능 부적' 이미지 구글링 결과

시험의 행운을 기원하기 때문에 '행운'과 관계된 사물도 부적으로 활용된다. 네잎클로버, 행운지폐(2달러), 행운동물(돼지 등) 등이다. 또 '행운'을 가져올 수 있는 초자연적 힘을 가진 존재를 떠올리는 것도 그런 부적이 될 수 있다(호랑이). 새로운 초자연적 존재를 떠올리기도 한다(기억의 신).

다른 나라의 행운 기원 행위나 부적도 포함될 수 있다. 일본의 오마모리(お守り, 말 그대로 '지켜주는 것')나 미국에서 유행한 포춘 쿠키(중국 음식으로 알려져 있지만 일본 유래설이 유력하다고)로부터 파생된 수능쿠키(부적형, 그냥 쿠키형 등 다양) 같은 것도 있다.

수능 부적도 상업화가 많이 되어 왠만한 물건들에 '수능 대박 기원' 문구만 들어가면 되는 식이다.

 

수능 부적 유형 총망라

이 이미지에 넣지 못한 '수능 부적'도 부지기수다. 수능 부적만 해도 이렇게 방대해졌다. 이렇게 넘쳐날수록 기본기에 충실한 부적들이 잘 살아남는 법이다. 엿과 떡 만한 시험 부적이 있겠는가. 물론 엿과 떡을 잘 안 먹는 세대가 등장하면서 자연스럽게 교체되긴 하겠지만, 엿만큼 '잘 붙는' 게 뭐가 있을지 모르겠다. 풀이 그 아성에 도전할 수 있을까? 아마도 어렵겠다.

엿이 긴 시간 우리의 '시험 부적'으로 사랑받을 수 있었던 건 다분히 그 '끈끈함' 때문이 아니겠나.

 

뱀발 ──────

주술의 다른 유형론, 이론주술과 실천주술, 흑주술과 백주술

프레이저의 주술 분류는 이론적이냐 실천적이냐를 기준으로 나눈 것도 있다.

이론적 주술과 실천적 주술. 이론적 주술은 '유사 과학으로서의 주술'이고 실천적 주술은 '유사 기술로서의 주술'이다. 실천적 주술의 하위 유형으로 '적극적 주술(요술)'과 '소극적 주술(타부)'로 유형화하고 있다.

과거에 이와 비슷하게 '백주술(white magic)'과 '흑주술(black magic)'을 구분하곤 했는데(현재는 적어도 학술적 가치는 없는 개념이다), 프레이저의 positive magic과 negative magic이 이와 비슷해 보이지만, 엄연히 다른 차원의 개념이다. 

백주술/흑주술은 역시 실천적 맥락이지만 방어적이냐 공격적이냐는 구분이다. 프레이저의 구분으로 치면 적극적으로 무언가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주술적 행동이 pm이기 때문에 흑주술이 프레이저의 이 유형론에 따르면 pm이 된다.

이런 유형론은 그럴 듯한 설명으로 이해되긴 하지만 주술적 사고방식이 나타난 현상을 나름대로 체계화 해서 다르게 설명하는 것 뿐이다. 그런 사고방식이 왜, 어떻게 생기고 유지되는가에 대한 과학적 분석이라고 보기는 어렵다.

 

References ──────

전통문화포털kculture.or.kr

 

Chapter 3. Sympathetic Magic. § 1. The Principles of Magic. Frazer, Sir James George. 1922. The Golden Bough

IF we analyse the principles of thought on which magic is based, they will probably be found to resolve themselves into two: first, that like produces like, or that an effect resembles its cause; and, second, that things which have once been in contact wit

www.bartleby.com

 

Magical Thinking and The Plastic Brain | Biology and Life

This post explores the concept of magical thinking and its flaws, as well as what neuroplasticity has to say about the matter.

biologyandlife.com



황당한 수능 미신 총정리

www.hankookilbo.com

 

Top 10 exam rituals from stressed students across Asia

Students under pressure in exams have their own rituals and superstitions. What are yours?

www.bbc.com


──────

이 글은 과거 블로그에 "수능 부적과 주술적 사고"(2021년 11월 24일 작성)라는 제목으로 쓴 글을 약간 수정하여 다시 올린 것이다.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ChatGPT에 '크리스마스와 동지'의 관계를 물어 보았다.

요즘 핫하다는 '챗GPT'에 크리스마스와 동지의 관계를 물어보았다. https://openai.com/ 나: 크리스마스가 동지와 관계가 있다고 생각하니? 챗봇: 크리스마스는 세계 여러 지역에서 전통적으로 12월 25일에 기념하는 축제일이며 종종 북반구에서 1년 중 낮이 가장 짧은 동지와 관련이 있다. 동지는 보통 12월 21일 또는 22일 경에 발생하며 태양이 하늘에서 가장 낮은 지점에 도달하는 것, 즉 일 년 중 밤이 가장 긴 날을 표시한다. 크리스마스 축제는 원래 기독교 이전의 동지 축제의 영향을 받았을 것으로 생각되며, 이는 종종 태양의 재생과 낮이 더 길어지는 시기의 복귀와 관련이 있다. 고대 로마인과 고대 켈트족을 포함한 많은 고대 문화에는 동지와 태양의 귀환을 중심으로 한 전통과 축제가 있었다. 그러나 크리스마스는 복잡한 역사를 가지고 있으며 다양한 문화 및 종교적 영향에 의해 형성되었다는 점에 유의하는 것도 중요하다. 동지가 축제일의 기원에 역할을 했을 수도 있지만, 크리스마스는 광범위한 종교적, 문화적 전통과 연관되어 현재 전 세계의 다양한 신앙을 가진 사람들이 기념하고 있다. 크리스마스와 동지의 관계에 대해서 비교적 유의미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으로 보인다.  동지 축제와 관련성을 '논증'하지는 않지만, 중요한 정보(동지 축제와 관련되지만 현재는 역사/문화/종교적 설명이 복잡하게 얽혀있다거나 복잡하게 변화했다)는 대체로 잘 이야기하고 있다. 인지진화적 설명은 관련 문서가 부족하기 때문에 활용하지 못하는 것으로 보인다. 디테일이 부족한 것도 한계라 할 수 있겠지만, 간단한 답변으로서는 상당한 수준이라는 것도 부인할 수 없는 것 같다. 챗GPT가 3문단으로 설명하는 것을 나는 A4 몇 페이지로 설명했던가. 대학 등에서 학생들에게 과제나 시험문제를 내줄 때 이제 안일하게 내면 AI가 답을 써주는 시대가 되어버린 듯하다. ─── ∞∞∞

'정신병', 스캡틱, 박한선

※ 이 글은 ' 얼룩소 '에 2023년 1월 28일에 게재했던 글입니다. 본래 제목을 약간 수정하였습니다. 이 글은 Skeptic Korea의 " 정신의학의 오래된 과제, 과학적 치료와 처방 "에 관한 얼룩소글의 출처를 체크하고, 정신질환 치료의 현실에 대해 박한선 선생님께 들었던 이야기를 정래해 본 글입니다. ─── ∞∞∞ ─── 최근에 나온 글인 줄 알고 찾아봤더니 전에 나온 글이군요. 마침 어제(1/27) 정신과 의사 출신 인류학자 박한선 선생님을 통해서 관련 이야기를 듣고, 글쓴이부터 찾아 봤습니다. 다른 저자인 걸 보고, 정신의학계에서 상당히 유명한 이야기라는 걸 짐작할 수 있었습니다. 박선생님께서 정신병 진단과 치료에 '정신분석학'이 사용되고 있다고 하셔서 좀 어리둥절 했었습니다. 심리학계(실험심리가 중심이 된)에서는 배우지 않게 된 분야로 알고 있어서 의학 분야에서도 당연히 퇴출되었다고 지레짐작하고 있었습니다. '왜 인지 모르지만, 효과가 있다'는 면에서 정신과 치료가 이루어지는 현실을 생각해 보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아, '정신분석학'도 프로이트, 융 시절의 버전이 아니라 많이 업데이트가 되었다고 하더군요. 자세한 부분은 과문해서 잘 모르겠습니다만. 어제 박선생님이 들려주신 이야기도 떠올라 흥미롭게 이 스켑틱의 글을 읽다가 문득 출처가 궁금해서 찾아 보니, '한국 스켑틱'에는 14권(2018년)에 "정신의학은 과학이 될 수 있을까"라는 제목의 글로 실려있었습니다. (스켑틱에서 얼룩소에 올리는 글이 최근호에 실린 글이 아니라는 걸 이제사 깨달은 거죠) https://www.badabooks.co.kr/SKEPTIC_magazine/?idx=54 글은 14권의 68~83쪽에 실렸습니다. 이 글을 일부 발췌해서 재편집한 것이 위의 얼룩소에 실린 글이더군요.

미신과 종교라는 개념에 담긴 '너는 틀렸고, 내가 맞다'

※ 이 글은 ' 얼룩소 '에 2023년 1월 21일에 게재했던 글입니다. ─── ∞∞∞ ─── 미신이란 말을 많이 씁니다. 그게 무엇이냐 물어 본다면 우리는 어떤 행위들이나 관념을 이야기합니다. 뇌과학자 정재승 선생님도 미신 이야기를 하면서 '빨간색으로 이름 쓰는 행위가 불길하다는 미신'을 이야기했습니다. 차이나는 클라스, 정재승 편 미신이 어떤 것인가를 말할 때, 이렇게 미신에 속한 것들을 이야기하게 됩니다. '시험 볼 때 미역국을 먹지 않는다' '시험 볼 때 포크를 선물한다' '손 없는 날 이사해야 한다' '밤에 손톱을 깎으면 안 된다' '귀신을 쫓기 위해서 팥죽을 먹는다' 그럼 '미신'은 어떤 것이냐 설명해 보라면, 아마 이런 말들을 늘어 놓게 될 겁니다. https://engoo.co.kr/blog/먼나라이웃나라-세계-각국의-다양한-미신들/ 표준국어대사전에 바로 그와 같이 설명이 되어 있습니다. 표준국어대사전 '미신' 항목 그런데 이런 개념은 일상에서는 그런대로 사용할 수 있지만, 엄밀하게 따지면 쓸 수 없는 설명입니다. '비합리적이고 비과학적'인 게 너무 광범위하기 때문입니다. 도덕적, 경제적 판단과 믿음에도 그런 사례를 많이 찾아 볼 수 있습니다. 가령 '관상은 과학이다', 'ABO 혈액형 성격론', '과시적 소비' 등등. 어떤 종교적 맥락에서 '이상한 것'을 이야기하기 위해서 '미신'이란 말을 많이 사용합니다. 종교와는 다른 것으로 이야기합니다. 그런데 위 국어사전의 개념 정의는 종교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