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기독교 초기 동지 축제의 크리스마스화는 실패

이교도 신앙의 기독교적 전유(이교도 신앙을 기독교인들이 기독교적으로 세탁했다)

크리스마스의 유래가 로마의 동지 축제에 있다는 이야기는 상당히 유명하다. 그래서 로마의 태양신 신앙에 뿌리를 두고 있으니 이교적 풍습이라는 말이 있다. 일부 기독교계 신종교에서는 현대 개신교 및 가톨릭이 타락했다는 증거로 ‘크리스마스’를 들기도 한다. 이날을 여전히 ‘예수의 탄생일’로 기억하고 있다는 점에서 ‘기독교의 축일’이라는 점은 부인할 수 없는 사실이지만 그건 그저 겉으로 드러난 것일 뿐이다. (사실 거슬러 올라간다면 로마에서 멈출 이유는 무엇인가 물을 수 있다)

앞 글(크리스마스는 예수의 생일이 아니다?!)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그날이 실제로 예수가 태어난 날은 아니다. 종교적으로 그렇게 믿어질 뿐이다.

Saturnalia (detail) by Antoine Callet, 1783. (historytoday.com)

어쨌든 기독교 이전에 로마에서 동지 전 며칠 동안 사투르누스Saturnus 신을 기리는 축제인 사투날리아Saturnalia 기간(12월 17일에서 23일)이 있었다. 사투르누스(영어로 새턴Saturn, ‘토성’의 영어명이기도)는 그리스 신화에서 크로노스에 해당하는 신이다.

이 대목에서 왜 '사투르누스'인가 생각해 볼 수 있다. '태양신'이 나와야 하는 거 아닌가라고 생각이 될 수 있다. 그리스 신 크로노스에 대응이 된다는 점을 생각하면 중요한 포인트가 '시간'이라는 것을 눈치 챌 수 있다. 동지-태양신 연결에서 중요한 것은 '시간의 분기점'이라는 점이다.

이 축제 기간은 역법의 변경 및 여러 사회적 요인으로 동지 날짜 전후로 바뀌었고, 12월 25일이 축제의 절정인 날로 여겨졌다. 시리아의 미트라스 숭배 양식을 채용해 12월 25일은 '솔 인빅타'(Sol Invicta, '정복되지 않는 태양')라는 축일이 로마에 만들어지기도 했다(아우렐리아누스 황제(214-275) 시기). '솔 인빅타'는 태양신-황제의 연결을 통해 동지 축제에 정치적 의미를 담으려 했던 흔적을 엿볼 수 있게 해준다.

사투르누스, 미트라스라는 신을 기리는 축제가 크리스마스로 이어졌다는 역사적 설명은 일부는 맞다고 하겠지만, 그런 연결만 확인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여기서 눈여겨 볼 부분은 '시간', '태양'이 중요한 상징성을 가졌다는 점이다. 동지, winter solstice, 태양의 고도 변화의 극점 중 하나로 태양이 가장 낮은 고도에서 이제 점차 고도가 높아질 일이 남은 시기다. 이 시기와 의례의 관계에 대해서는 뒤에서 더 다룰 예정이다.

어쨌든 분명한 것은 크리스마스의 역사적 기원을 따지면 어김없이 '동지 축제'의 흔적을 발견하게 된다.


기독교적 대체는 성공적이었을까

'이교도의 동지 축제'로부터 축제의 기독교화가 시도된 것도 역사적 '사실'이라고 볼 수 있는데, 지금까지 이런 의례의 대체에 대해서 잘 알려진 '썰'이 기독교 지도자들의 기획설이다.

기독교가 유입된 이후 그러니까 약 4세기에 이르러서 12월 25일을 예수 탄생일로 기념하게 되었는데, 당시 기독교계 지도자들이 로마 제국의 이교도들을 이교 풍습에서 기독교 신앙에 입각한 의례로 효과적으로 포섭하기 위해서 ‘의례의 대체’를 시도하여 로마의 동지 축제를 예수의 탄생을 기념하는 크리스마스로 전환시켰다는 것이다.

동지 전후의 축제 분위기는 사람들 사이에서 퍼져 있었고, 그것을 어떤 의도를 가지고 전유하고자 한 것은 '솔 인빅타'나 '크리스마스'나 대동소이하다고 할 수 있다. '예수의 생일' 이전에 이미 12월 25일은 '태양의 순환'에서 새로운 탄생을 의미하는 시기였다는 것은 명백하다.

이날의 기독교화는 기독교의 시대에도 성공적이진 않았다. 4,5세기에 남겨진 기록을 보면, 여전히 사투날리아 축제가 이루어졌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지금의 알제리 북부인 로마 해안 지방의 수많은 고고학 유적지는 사투르누스 숭배가 서기 3세기 초까지 그곳에서 살아남았다는 것을 보여준다. 또 마크로비우스(Ambrosius Theodosius Macrobius, 약370-430)는 로마의 문인들의 사투날리아 잔치를 묘사하는 글을 남겼다(참고: Did the Romans Invent Christmas?).

지난 글(크리스마스는 예수의 생일이 아니다?!)에서 언급한 대로 12월 25일을 예수의 탄생일로 기념하는 의식이 보편화 된 것은 9세기 이후의 일이다. 예수의 생일이 12월 25일로 처음 상상된 3세기를 기준으로 생각하면 600년이 흐른 뒤의 일이었다.

그런데 이 전환은 ‘동지 축제’의 성격을 완전히 지울 수 있었을까? 그런 것 같지는 않다. 중세 크리스마스의 풍경은 유럽의 전통적인 동지 축제—켈트족의 ‘사우인’, 바이킹의 ‘율’ 등—의 모습을 잘 보여준다(참고: How Christmas Was Celebrated in the Middle Ages).


다음 글에 이어서...


※ 이 글은 '얼룩소'에 2022년 12월 20일에 게재했던 글이다.

댓글

  1. '이교적 신앙의 기독교적 전유'라는 말씀이 적용되는 것은 크리스마스 이외에도 여러 군데에서 찾아볼 수 있는 흥미로운 주제라고 생각합니다. 개인적으로는 바티칸 광장 한가운데에 왜 이교도의 상징인 오벨리스크가 우뚝 서있는지도 재미있는 주제라고 생각해요. 또, 우리나라에서 기독교가 다소 기복신앙적인 면모를 가지게 된 것도 우리 전통적인 신앙이 기독교적으로 변형되거나 기독교와 결합하고 있는 예라고 할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합니다. 이러한 모든 것들을 보면 인간 믿음의 다양하고 복잡하며 미스테리한 면과 접하게 되는 것 같기도 합니다. 결국 우리에게 보다 확실한 것은 신이라기 보다는 인간 그 자체이며, 인간을 통해 드러난 신의 모습/형상이라는 생각도 들고요.

    답글삭제
  2. 네 bomin님 의견에 동의합니다. 기독교는 '순수 절대 진리'를 자임하기 때문에 '비기독교적 기원'을 가진 요소를 찾는 게 흥미롭습니다. '기복신앙적 면모'의 경우는 인간 종교성의 '기본값'(default value)가 아닌가 생각합니다(한국만의 특징이 아니더라고요). 저는 신은 본래 우리의 인지 체계 상에서 '직관적으로 추론된' 존재였다고 생각합니다. 그 경우 신은 대체로 '소망을 처리하는' proxy로 상정되는 것으로 생각하고 있습니다. 기우제에서 가정된 신처럼 말이죠(의례의 형식에서 신은 분명 존재해야 하지만, 신이 중요하지는 않습니다). 철학적 맥락에서는 그런 신 관념을 '의인화 된 신'으로 이야기하게 되는 것 같습니다.

    답글삭제

댓글 쓰기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위로가 없는 '차가운 종교학', Science of Religion을 생각하며

※이 글은 얼룩소 글(23.7.13)을 옮겨온 것입니다. ━━━━━━ ♠ ━━━━━━ 종교라는 주제를 다루려면 '위로'가 필요하다? 이 말을 저는 곳곳에서 확인하게 됩니다. 그 이야기를 좀 해 보겠습니다. 정재승 박사가 총괄자문 및 프리젠터로 참여한 다큐 시리즈 '뇌로 보는 인간'의 마지막 '종교' 편에 제가 자문으로 참여하여 아주 짧은 시간 출연한 경험이 있었습니다. 시청률이 높았던 편이 아니라서 사람들로부터 별다른 반응을 듣지는 못했습니다. 우연히 EBS 다큐를 보던 친구가 '야, 너 나왔더라...잠깐 ㅎㅎ', 이런 반응을 보인 예가 있었을 뿐입니다. 함께 자문에 참여한 구형찬 박사(인지종교학)가 종교학자로서는 메인이었기 때문에 당연한 일이었습니다. '뇌로 보는 인간' - 종교 편의 한 장면┃저는 입을 다물고 있습니다^^ 몇 년이 지나서 그때 나왔던 미디어 비평 기사를 볼 수 있었습니다. 미디어스 기사 캡쳐 해당 다큐에 대한 내용을 정리한 다음에 이런 논평을 내 놓았습니다. 미디어스 관련 기사 '위로가 없다'는 비판 을 볼 수 있었습니다. 예 그렇습니다. 종교라는 주제를 다룰 때 사람들은 그런 것을 기대하곤 합니다. '종교의 본질', '참된 의미' 같은 것을 발견하고, 뭔가 진리의 말씀이나 인생을 통찰할 수 있는 지혜를 얻기를 기대합니다. 그런 이야기를 하는 종교학도 존재합니다. '현대인의 종교는 병들었다'는 진단을 내리며 '고대인의 지혜'를 회복해야 한다는 메시지를 내거나 모든 종교에 담겨있는 가장 고귀한 가르침(가령 황금률 같은)은 모두 상통하고 그것이 인간이 향유해야 할 소박하지만 분명한 진리라고 이야기하는 예도 있습니다. 프리드리히 막스 뮐러┃출처: Wikimedia Commons 종교학의 아버지라고 불리는 막스 뮐러는 '종교학으로의 초대(Introduction to the Science ...

"뇌 회로는 친숙한 것, 중요한 것과 단순한 배경을 식별합니다."(논문 정리)

흥미로운 신경과학 연구 소개를 봤습니다. 친숙한 것과 중요한 것을 먼저 식별하는 뇌 경로에 관한 연구입니다. '신경종교학'에 참고가 되는 논문일 것으로 판단되어, 내용을 정리해 봅니다.  *  *  * Brain Circuit Identifies What’s Familiar, Important, or Just Background┃Neuroscience News.com 요약 : 과학자들은 기억과 감정을 통합하여 감각 정보를 빠르게 평가하는 이전에 알려지지 않은 뇌 회로를 발견했습니다. 내측후각피질(entorhinal cortex)과 해마(hippocampus) 사이의 이 직접 피드백 루프를 통해 뇌는 중요한 광경과 소리를 거의 즉시 우선순위를 정할 수 있습니다. 이전에 알려진 더 느린 경로와 달리, 이 회로는 관련 자극과 배경 소음을 구별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으며, PTSD와 자폐증과 같은 상태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이 발견은 뇌가 정보를 걸러내는 방식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감각 및 기억 관련 장애를 치료하기 위한 새로운 전략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 ∞∞∞ ───  익숙한 것을 한눈에 알아보는 뇌 회로, 해마의 비밀 우리는 왜 친숙한 얼굴이나 물건을 한눈에 알아볼 수 있을까요? 반대로 처음 보는 것은 어딘가 낯설게 느껴지곤 합니다. 이런 능력 뒤에는 우리의 기억 이 큰 역할을 합니다. 뇌의 해마(hippocampus)라는 부분이 과거의 기억을 보관하고 있다가, 현재 들어오는 감각 정보와 비교하여 이것이 익숙한지 새로운지 판단하도록 돕는 것이죠. 예를 들어, 해마는 “이건 예전에 봤던 거야” 혹은 “처음 보는 거네”라는 신호를 뇌의 다른 부분에 보내 우리의 인식을 조절합니다. 이 덕분에 우리는 중요한 새로운 정보 에 주의를 기울이고, 이미 아는 것은 배경 소음처럼 무시할 수도 있습니다. 해마는 특히 대뇌피질의 한 부분인 내후각 피질 (entorhinal cortex)과 긴밀히 소통합니다. 내후각 피질은 오감에...

한 해를 시작하는 날은 많다?│시간과 종교적 본능

※ 이 글은 '얼룩소'에 2023년 1월 2일에 게재했던 글입니다. (부제를 약간 수정) ─── ∞∞∞ ─── 1년의 시작점은 많습니다. 우리에게 익숙한 시간은 동지, 설, 정월대보름, 입춘 등입니다. 전에 이야기한 16세기 후반 프랑스의 신년 기념일들처럼( 참고 ) 같은 나라 안에서도 여러 신년 기념일이 있는 경우는 특이한 현상이 아닙니다. 왜 이렇게 되었을까요? 원래 지역적인 단일성은 있었을 겁니다. 특정 지역에서는 1월 1일이다, 이 동네는 음력 설이다, 이 동네는 입춘이다, 이렇게 말입니다. 이게 어떤 계기에 통합되는 과정을 거칩니다. 지역적으로 통일성을 가진 집단들이 묶여서 더 큰 집단으로 통합되면서 시간, 의례 등을 통합하는 과정이 뒤따르게 됩니다. 종교단체 수준에서도 진행이 되지만 국가 수준에서도 진행이 됩니다. 이 과정은 국가의 흥망성쇠, 종교단체의 흥망성쇠 등 집단 구속력의 변화에 따라서 부침을 겪으며 반복·중첩되었을 것으로 보입니다.  앞서 언급한 프랑스에서는 16세기에 신년 기념일을 단일화하려 했습니다. 한국에서는 그러한 노력이 19세기말 20세기에 시도되었습니다. 공식적인 수준에서 한 해의 시작일은 그렇게 하루 아침에 바꿀 수 있지만, 의례적으로 기념하는 첫 날은 쉽게 변화하지 않습니다. 이를 문화적 관성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선조들이 해왔던 대로 해야 한다는 의식으로 나타남). 여러 신년 기념일은 그런 통합의 힘에도 어떤 현실적 필요에 의해서 과거의 전승이 살아남아 그 흔적을 남긴 덕분입니다. 다만 해당 기념일을 현재에 활용하는 의미는 달라질 수 있습니다.  현재적 가치를 상실하게 된다면 사라질 운명을 일 겁니다. 그럴 경우 '고유한 문화를 지키자'는 운동이 표출될 수도 있습니다. 집단 정체성과 관련된 전통으로 선택되지 못하면 잊혀지는 것이고요. 동지 우리에게는 팥죽 먹는 날 정도의 의미만 남았습니다. 그러나 이 날도 과거에는 새해가 시작되는 날로 기념되었습니다. 그런 동지 축제가 신년 축제인 사례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