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종교문화 연구에 뇌과학을 어떻게 활용할까? - 2023 서울대 뇌주간 행사에 다녀와서

 뇌 주간 행사가 오랜만에 열려서 참여하게 되었다.

여러 순서 중에서 눈이 갔던 것은 '뇌파의 원리와 활용', '합리적/비합리적 의사결정'이었다. 종교문화 연구에 써먹을 수 있는 내용이 다뤄질 걸로 기대가 되었기 때문이다. 그래서 3시부터 참여해야지 하다가 당일날 '내 머리 속의 내비게이션'도 흥미롭겠다 싶어서 시작할 때부터 듣게 되었다.

전체 주제는 '대중강연'에 맞춰서 '일상 속의 필수 뇌기능 지식과 활용법'이었는데, 거기에 초점이 맞추어진 강연은 첫 번째 '뇌에게 자연스러운 학습법'이었다. 이인아 선생님과 이상아 선생님 정도가 중고생들과 학부모를 염두에 두고 강의안을 만든 것 같았다. 특히 이인아 선생님은 '학습'에 포커스가 맞춰졌었다.

이 강연의 하이라이트는 유튜브로 공개되어 있다.


# : 블로그에 정리하며 추가한 내용

* : 메모해 놓은 연구 질문들


① 강연-뇌에게 자연스러운 학습법-에 대해 메모한 것

'연합 학습 - 같이 활성화된 신경에 의해 정보 전달이 이루어진다'

* 이런 정보 처리 특성은 주술적 사고방식과 관련될 걸로 보인다.

'일회성 이벤트에 대한 기억은 해마(hippocampus)가 담당하며, 기억은 골자만 저장하고, 인지 지도가 있으며, 상상과 공감을 담당한다. 훈련에 의해서 해마 사이즈가 변할 수 있다. '

ex. 런던 택시 기사 연구 사례.

# 아마 이런 연구 사례를 말했던 것 같다.

https://www.pnas.org/doi/10.1073/pnas.070039597

'반복적 이벤트, 절차 기억은 기저핵(basal ganglion)이 담당한다.'

key point: 반복 숙달이 필요한 정보와 일회적으로 접한 정보 학습을 다른 방식으로 해야 한다.


② 강연-내 머리 속의 내비게이션-에 대해 메모한 것

해마의 인지 지도에 대한 내용

생존을 위한 길찾기를 해마에서 담당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해마에 장소 세포, 내비 피질(entorhinal cortex)의 격자 세포 등이 공간 인식과 길찾기와 관련된다고 한다.

# 내비 피질entorhinal cortex은 '내후각 피질', '후내 피질'로 번역되기도 한다. 모두 '코'나 '후각'이란 의미를 담은 번역이다. '내비'는 '內鼻'이지 'navigation'의 'navi'가 아니다.

해마와 내비 피질 위치 및 장소 세포와 격자 세포

주로 2014년 노벨 생리의학상을 받은 연구들을 소개하는 내용이었다. (한글 참고자료)

2014년 노벨 의학상 수상자들, '뇌의 위치 결정 시스템 관장하는 세포 발견'

cf. The Nobel Prize in Physiology or Medicine 2014

이 분들의 연구를 소개하는 내용이었다.

존 오키프(런던대)의 연구는 쥐의 뇌(해마)에 전극을 연결해서 특정 상자 안에서 쥐가 돌아다닐 때 뇌가 어떻게 활성화되는지 살펴 봄. 특정한 영역이 활성화 되는 것을 확인하고, 특정한 공간 위치를 표시하는 뇌 세포가 존재함을 입증. (자세한 정보─논문 서지라든지─는 위 2014 노벨 생리의학상 수상자 정보 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이미지 출처: https://www.nobelprize.org/prizes/medicine/2014/summary/

메이브릿 모서르와 에드바드 모서르의 연구는 내비 피질의 격자 세포가 쥐가 움직일 때 특정 영역들이 활성화된다는 걸 발견한 것이다.

이미지 출처: https://www.nobelprize.org/prizes/medicine/2014/summary/

장소 및 길찾기 시스템에 대한 확장 연구(인간에서 확인되는가, 3D에서도 확인되는가)가 이루어졌다고 한다.

* 인지종교학 표준모델에서는 다양한 인지 프로세스가 상호작용하면서 종교적 관념과 실천이 나타날 수 있다고 보는데, 종교적 경험(아마 실험실 환경에서는 종교적 글귀나 이미지, 영상을 보여주는 방식이 될 듯)에 따라 활성화되는 뇌 영역들이 무엇인지 살펴보면 좋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종교경험 뇌지도' 같은 것을 만드는 것이다. (연구비를 따기 힘든 주제라는 생각이 들긴 한다)


③ 강연-뇌파의 원리와 활용-에 대한 메모

뇌파 측정 시연이 이루어졌다. 뇌파 측정 장비 제작 업체(iMediSync)가 장비를 대여해 줬다고 한다.

https://www.etnews.com/20221109000101

한 남학생의 자원을 받아 위 장비를 씌워 뇌파를 직접 보고 간단하게 분석하는 방법(눈 깜빡임 등)을 체험하는 시간이 주였다.

당일 찍은 유이한 사진 중 하나, 자원한 학생의 모습은 담기지 않았다.

시연 전에는 뇌파에 대한 기본 정보를 알려주었다. 기본적으로 5개의 뇌파(감마, 베타, 알파, 세타, 델타), 현재는 더 늘었다고 하지만, 전문적인 정보라서 그런지 자세히 설명하지는 않았다.

참고자료, https://m.blog.naver.com/crewblossom/221613672349

짧은 뇌파는 근거리 회로를 긴 뇌파는 장거리 회로를 연결한다고 한다.

해마의 공간 세포는 세타 리듬을 가지고 있다고 한다.

시공간, 복잡한 정보처리는 세타파로 한다고 한다.

세타-감마 커플링은 인지 활동을 나타낸다고 한다.

Scalp EEG, 두뇌뇌파측정기술...EEG, Electro/encephalo/graphy 전기/뇌/그림

알파파는 신경활동 억제하는 기능을 한다는 가설이 있음.

뇌파를 유도하는 방법은 리드미컬한 소리, 10Hz 정도.


강연 후 질문에 대한 메모

뇌전기자극으로 뇌파 유도, 가능하지만, 효과에 대해서는 규명되지 않았음.

해마에 전극 심어서 해마 세타파를 높일 수도... 어떤 결과가 나올지는 아직..

* 뇌파 유도나 전기 자극으로 특별한 경험 혹은 뇌 상태를 안전하게 활성화시킬 수 있는 기술이 등장한다면, 많은 영역에서 활용할 수 있을 것 같다. 종교적 체험과 연결해서 생각해 볼 수는 없을까 하는 공상을 해 본다.


④ 강연-우리는 어떻게 합리적/비합리적 의사결정을 하는가?-에 대한 메모

주로 중독 문제를 다루고 있었다.

중독의 심리학적 정의, 강박적 행동+통제력 상실+부적 정서

* 종교활동과 중독...맹신의 상태는 어떨까? '행동 중독 장애'라고 할 수 있을까?

# 정의대로 보면 '종교 활동'은 중독이라고 할 수는 없다. 종교적 맹신은 어떠할까? 부적 정서가 동반될 경우에는 중독으로 표현할 수 있겠다.


왜 중독에 빠질까? 왜 충동적 행동을 할까?


의사결정 시 중요한 요소

보상reward, 위험risk, 노력efforts


도파민 분비 체계, 보상 시스템

중뇌 ... 전두엽, 선조체(striatum)

당일 찍은 마지막 사진, 4강연


약물 중독 → 도파민 보통의 10x

긍정 감정 늘리고 부정 감정 낮추려고 쓴 약물이 임계값 증가로 인해 Baseline mood를 끌어 내려 애초 부정 감정보다 더 낮은 긍정 감정 상태로 떨어지게 된다.

장기적 물질의존 → 뇌 손상(감정, 기억 영역)

* 종교활동의 만족감, 뇌의 어떤 보상회로가 관여할까? 체험 후 뇌 보상체계나 Baseline mood는 어떤 수준이 될까? 중독 효과와 비교해 볼 수 있는 지점일 듯하다.


정치 성향, 유전 영향이 큼

정서적 영향 사진을 보여줌(주로 역겨운 사진) → 반응 방식 체크 → 진보인지 보수인지 식별

정치적 의사결정, 감정적 시스템 활용

* 종교활동 → 보상회로?

명상 후 뇌 조직 변화 + 보상회로 → 행동전략이 달라질까? → 진화적 이점이 있을까?

본 이미지를 뇌 활성 상태로 추정하는 연구 사례 소개

Mind Reader: Reconstructing complex images from brain activities(Sikun Lin, Thomas Sprague, Ambuj K Singh, 2022)

Deep image reconstruction from human brain activity(Guohua Shen, Tomoyasu Horikawa, Kei Majima, Yukiyasu Kamitani, 2019)

* 종교적 경험/감각은 재구성할 수 있을까?

⑤ 강연-우리 뇌는 어떻게 도구를 사용할 수 있게 되었나?-에 대한 메모

히스토리닷컴의 한 아티클을 소개하면서 이야기를 시작한다.

https://www.history.com/news/hunter-gatherer-tools-breakthroughs

뇌 구조와 도구 만들기에 관한 연구들을 다루고 있다.

강연 슬라이드에서

고고인류학자 디트리히 스타우트(Dietrich Stout, Anthropology of Emory Univ.)의 연구를 흥미롭게 소개하였다.

연구자 블로그

Stout, D. (2008). Technology and human brain evolution. General Anthropology.15(2).

Stout, D., & Hecht, E.E. (2017). Evolutionary neuroscience of cumulative culture. Proceedings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114(30), 7861-7868. doi: 10.1073/pnas.1620738114

등이 언급되었다.

실제 도구를 어떻게 만들었을지, 도구를 만드는 데 걸린 시간, 학습 과정, 도구 제작 지식의 전파 방식 등에 대해서 다뤘다.

* 도구 형태와 종교적 실천 혹은 관념 사이에 상관성이 있는 경우가 있을까?

 

─── ∞∞∞ ───


흥미로운 연구들이었다. 게다가 종교문화연구에 적용해 볼 만한 주제와 방법론을 고민해 볼 수 있는 기회를 주어 더 재밌게 들었다. 관련 연구를 하루 속히 시도해 보고 싶은 바람이다.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미신과 종교라는 개념에 담긴 '너는 틀렸고, 내가 맞다'

※ 이 글은 '얼룩소'에 2023년 1월 21일에 게재했던 글입니다. ─── ∞∞∞ ─── 미신이란 말을 많이 씁니다. 그게 무엇이냐 물어 본다면 우리는 어떤 행위들이나 관념을 이야기합니다. 뇌과학자 정재승 선생님도 미신 이야기를 하면서 '빨간색으로 이름 쓰는 행위가 불길하다는 미신'을 이야기했습니다. 차이나는 클라스, 정재승 편 미신이 어떤 것인가를 말할 때, 이렇게 미신에 속한 것들을 이야기하게 됩니다. '시험 볼 때 미역국을 먹지 않는다' '시험 볼 때 포크를 선물한다' '손 없는 날 이사해야 한다' '밤에 손톱을 깎으면 안 된다' '귀신을 쫓기 위해서 팥죽을 먹는다' 그럼 '미신'은 어떤 것이냐 설명해 보라면, 아마 이런 말들을 늘어 놓게 될 겁니다. https://engoo.co.kr/blog/먼나라이웃나라-세계-각국의-다양한-미신들/ 표준국어대사전에 바로 그와 같이 설명이 되어 있습니다. 표준국어대사전 '미신' 항목 그런데 이런 개념은 일상에서는 그런대로 사용할 수 있지만, 엄밀하게 따지면 쓸 수 없는 설명입니다. '비합리적이고 비과학적'인 게 너무 광범위하기 때문입니다. 도덕적, 경제적 판단과 믿음에도 그런 사례를 많이 찾아 볼 수 있습니다. 가령 '관상은 과학이다', 'ABO 혈액형 성격론', '과시적 소비' 등등. 어떤 종교적 맥락에서 '이상한 것'을 이야기하기 위해서 '미신'이란 말을 많이 사용합니다. 종교와는 다른 것으로 이야기합니다. 그런데 위 국어사전의 개념 정의는 종교도 포함된다고 볼 수 있습니다. 미신과 종교가 구분되지 않는다면, 어딘지 이상하게 느껴집니다. '미신'은 과학적 개념은 아니다 우리가 일상에서 당연시하는 많은 개념은 편견의 산물인 경우가 많습니다. 정상과 비정상의 구분에서 그런 게...

미신에 대한 중립적 개념은 무엇일까?

※ 이 글은 '얼룩소'에 2023년 1월 25일에 게재했던 글입니다. 본래 제목을 약간 수정하였습니다. ─── ∞∞∞ ─── 미신, 사이비, 이단 이 말들은 종교의 대척점에 있는 개념들입니다. 미신은 종교적 의식(儀式)이지만, 종교적 수준에 이르지 못한 것을 지칭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물론 모든 비과학적인 믿음을 통칭할 때 사용하기도 합니다. 사이비(似而非), 말뜻은 ‘비슷하지만 틀린 것’이죠. 영어의 ‘pseudo-’에 대응되는 말입니다. 사이비 종교를 ‘pseudo religion’이라고 하지요. ‘가짜’라는 의미가 두드러집니다. '사이비'란 말은 『맹자(孟子)』, 「진심장구하(盡心章句下)」 편에 수록된 말입니다.  孔子曰: 惡似而非者(공자왈: 오사이비자) 공자께서 말씀하시길, "나는 비슷해 보이지만 실제로는 아닌 것을 싫어한다." 출처: 다락원 페이스북(https://www.facebook.com/darakwonchild) 이 언급의 자세한 맥락은 다음의 글을 참고하세요( 사이비-나무위키 ). 겉만 그럴 듯하고 속은 빈 경우를 말합니다. 사이비란 말은 참된 종교와 거짓 종교를 말하는 맥락에서 많이 쓰이게 되면서 애초 의미에서 '거짓 가르침'으로 변하였습니다(사이비과학, 사이비종교 등등). 이단(異端), 말뜻은 ‘끝이 다르다’이고, 의미상으로 ‘사이비’와 큰 차이가 없습니다.  『맹자집주』의 주자주(朱子註) 중 '맹자는 양주와 묵적과 같은 이단에게서 유교를 지켰다'라는 표현이 나옵니다. 유교의 맥락에서 '이단'의 대표주자는 '양주와 묵적'입니다. 양주는 '위아설'(나만 위하면 돼), 묵적은 '겸애설'(모두 무차별적으로 사랑하라)로 이야기됩니다. 유가들이 곡해해서 '무부무군(無父無君)의 가르침'으로 평가되는 것이지, 그리 허무맹랑한 가르침은 아니라고 평가되고 있습니다(참고: 양주(전국시대)-나무위키 ...

한 해를 시작하는 날은 많다?│시간과 종교적 본능

※ 이 글은 '얼룩소'에 2023년 1월 2일에 게재했던 글입니다. (부제를 약간 수정) ─── ∞∞∞ ─── 1년의 시작점은 많습니다. 우리에게 익숙한 시간은 동지, 설, 정월대보름, 입춘 등입니다. 전에 이야기한 16세기 후반 프랑스의 신년 기념일들처럼( 참고 ) 같은 나라 안에서도 여러 신년 기념일이 있는 경우는 특이한 현상이 아닙니다. 왜 이렇게 되었을까요? 원래 지역적인 단일성은 있었을 겁니다. 특정 지역에서는 1월 1일이다, 이 동네는 음력 설이다, 이 동네는 입춘이다, 이렇게 말입니다. 이게 어떤 계기에 통합되는 과정을 거칩니다. 지역적으로 통일성을 가진 집단들이 묶여서 더 큰 집단으로 통합되면서 시간, 의례 등을 통합하는 과정이 뒤따르게 됩니다. 종교단체 수준에서도 진행이 되지만 국가 수준에서도 진행이 됩니다. 이 과정은 국가의 흥망성쇠, 종교단체의 흥망성쇠 등 집단 구속력의 변화에 따라서 부침을 겪으며 반복·중첩되었을 것으로 보입니다.  앞서 언급한 프랑스에서는 16세기에 신년 기념일을 단일화하려 했습니다. 한국에서는 그러한 노력이 19세기말 20세기에 시도되었습니다. 공식적인 수준에서 한 해의 시작일은 그렇게 하루 아침에 바꿀 수 있지만, 의례적으로 기념하는 첫 날은 쉽게 변화하지 않습니다. 이를 문화적 관성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선조들이 해왔던 대로 해야 한다는 의식으로 나타남). 여러 신년 기념일은 그런 통합의 힘에도 어떤 현실적 필요에 의해서 과거의 전승이 살아남아 그 흔적을 남긴 덕분입니다. 다만 해당 기념일을 현재에 활용하는 의미는 달라질 수 있습니다.  현재적 가치를 상실하게 된다면 사라질 운명을 일 겁니다. 그럴 경우 '고유한 문화를 지키자'는 운동이 표출될 수도 있습니다. 집단 정체성과 관련된 전통으로 선택되지 못하면 잊혀지는 것이고요. 동지 우리에게는 팥죽 먹는 날 정도의 의미만 남았습니다. 그러나 이 날도 과거에는 새해가 시작되는 날로 기념되었습니다. 그런 동지 축제가 신년 축제인 사례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