윌리엄 제임스의 책 The Varieties of Religious Experience의 국내 번역본은 2종이 있다. 한길사에서 나온 『종교적 경험의 다양성』(2000)과 대한기독교서회에서 나온 『종교 체험의 여러 모습들』(2003)이다.
![]() |
한길사본(좌)과 대한기독교서회본(우) |
최근에 두 책을 다 읽어 볼 기회가 있었다. 한길사본은 학부 때 읽은 적이 있긴 하지만, 거의 기억에 남아 있지 않아서 완전히 처음 보는 느낌으로 읽었다. 당시에는 이해를 제대로 하지 못해서 그랬던 것 같다. 이번에 이 책들을 보면서 아쉬운 점이 한둘이 아니었다.
번역의 우열을 가리자면 기독교서회 쪽이 조금 더 낫지만, 대체로 기독교적 관점으로 내용이 조금씩 왜곡되어 있는 느낌을 받았다. 한길사본은 장별로 번역어가 다른 정도가 아니라 같은 챕터 내에서도 번역어가 달라서 어리둥절한 경우가 제법 있었다. 도저히 한 명의 역자가 번역한 책으로 보이지 않는 수준이었다.
한 책은 번역의 기본도 갖춰지지 않은 느낌이고, 다른 한 책은 특정 시각의 왜곡이 가미된 번역이 두드러지는 느낌이다. 두 책 모두 윌리엄 제임스의 메시지를 제대로 파악하기에는 한계가 명백해 보인다.
종교심리학 분야의 대표 고전이라고 할 수 있는 이 책이 국내에 제대로 된 번역본이 없다는 것은 참으로 아쉬운 일이다. (한길사에서 나온 엘리아데 책, '종교형태론'의 경우도 번역에 문제가 많아 종교학 학술서 번역의 현주소를 보여주는 것인지도 모르겠다)
원서를 대조해 가면서 이 책을 읽고 난 후의 느낌은 '윌리엄 제임스는 원조 인지종교학자'구나 하는 것이었다. 제임스는 '종교 정의'라는 복잡하고 답 없는 논의를 회피하며 personal religion에 주목하여 그 심리적 차원만을 살피고자 한다. 그러면서 종교적 경험/체험의 최고봉으로 이야기하는 신비 체험을 살핀다.
해당 경험을 한 사람들의 반응 혹은 그들에 대한 다른 사람의 기록을 인용하는 방식으로 그 경험의 '주관적 현실성'을 승인하는 한편 객관적 실재성은 긍정하기 어렵다는 지적을 한다. (통상적인 이해와는 달리 그의 이 책은 신비체험과 같은 종교적 경험의 심리학적 실재성/진정성을 규명하는 논의가 아니었다. 내가 읽기로는) 개인의 심리상의 '효과'로 주목되는 것은 불안/긴장의 해소였다.
종교적 체험이 가져온다고 하는 결과/열매로 그 체험의 진실성을 판단하는 종교계, 특히 기독교계의 시각에 대해서 '주관적으로' 그렇게 믿을 수 있다고는 보지만, 그것이 객관적으로 확증할 수 있는 특성은 아니라는 이야기를 길게 하는 내용으로 보인다. 인간의 심리 메커니즘 상의 어떤 효과의 측면에서 종교적 경험을 인과적, 유물론적으로 설명(신경과학적 모델 없이도 이런 설명을 하고 있다는 점이 놀라운 부분이었는데) 하는 것이었다.
비슷한 심적 메커니즘의 작용이라고 해도 그것에 대해서 사람들이 어떻게 해석하느냐에 따라서 그 종교 경험의 의미가 다양하게 규정된다고 하는 것이 또한 이 책의 중요한 주장이었다. 이렇게 볼 때, 한길사 본의 제목이 제임스의 의도에 조금 더 부합하는 것이라 생각한다. 기독교서회 제목은 너무 기독교적 시각이 깊이 들어가 있다. 적당히 타협하는 '종교 체험의 다양성'도 용인 가능한 것 같다. 그러나 확실히 '여러 모습들'은 책의 내용과는 맞지 않는다.
경험/체험은 기본적으로 개인적인 것이니 이 용어가 쓰인 바에서 '종교적인 것'과 관련된 주관적 영역을 제임스가 타겟팅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이 책은 그 '주관성'을 단순하게 과학적으로 '승인'하는 논의를 전개하는 것이 아니다. 그러한 주관적 해석으로 가득 차 있는 종교 담론에 심리적 수준에서나마 과학적이고도 객관적으로 이야기할 수 있는 것의, 당대적인 한계선을 긋는 작업이었다.
─── ∞∞∞ ───
아, 내가 왜 학부 때 이 책을 제대로 이해할 수 없었는지도, 읽어보면서 잘 알 수 있었다. 그의 글쓰기 방식이 이해를 어렵게 하는 측면이 있긴 하다. 자료를 주로 인용문으로 채우고 있어서 인용문들 사이에서 필자의 논지에 대해 갈피를 잡기 힘든 경우가 많았기 때문이다. 아울러 그의 핵심적인 주장은 20장에 펼쳐지고 있었다. 가려는 목표를 제대로 모르고 헤매는 느낌으로 책을 볼 수밖에 없는 구조다.
이 책을 다시 보면서 '종교 체험의 다양성'은 결론 → 서론 → 본론 순으로 읽는 게 낫겠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제임스가 하고자 하는 이야기를 대략적으로 알면, 왜 종교 정의를 피하고 개인 종교 수준에서 이야기를 하는지, conversion이나 mysticism을 왜 어떤 의도로 다루는지를 보다 쉽게 파악할 수 있을 것 같다.
과학사, 심리학사를 주로 연구하는 제 외국인 친구가 윌리엄 제임스를 무척이나 좋아하는데, 그에 관한 글이 있어서 반갑게 읽었습니다. 윌리엄 제임스는 Society for Psychical Research의 회장을 지내기도 했었고, American Society for Psychical Research의 설립에도 관여했죠. 이런 단체에서 초심리학과 비정통적인 심리학적 연구를 수행했었는데, 그에 대한 글들에서도 그가 무척이나 과학적이고 객관적인 연구를 하려고 노력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이런 분야를 연구했다는 사실 자체가 그가 유물론에 경도된 것은 아니라는 사실에 대한 증거라고도 할 수 있을지 모르겠네요. 윌리엄 제임스는 사실 유물론-관념론의 이원론을 거부하는 입장에 가까운 것 같긴 합니다. 하지만 그의 수많은 텍스트들에서 그리 일관된 입장을 보이는 것 같지 않기도 하고요...어쨌든 윌리엄 제임스의 방대한 저작들이 좋은 번역으로 우리나라에 많이 소개되면 좋겠다는 생각입니다. 좋은 글 감사했습니다.
답글삭제윌리엄 제임스에 대해 추가적인 정보를 알려주셔서 감사합니다. 좋게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답글삭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