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리마커블2 사용 후기 - 연구자들에게는 좋을지도

40대에 들어와 슬슬 노안이 오다 보니 '눈부심' 없이 논문이나 pdf로 된 책을 읽고 싶다는 마음이 굴뚝같았다. 그래서 e-ink tablet을 찾아봤다. 그래서 나온 결론은 reMarkable2였다.

사전조사로 선택(2,3년 전쯤부터 이 태블릿에 주목했다)한 이유는

1. '종이에 쓰는 것 같은' 필기감

(필기를 좋아하는 편은 아니지만, 전자 메모장이 있었으면 하긴 했다. 무언가 구상을 하며 낙서한 것을 컴에 저장해 놓을 필요성이 있었기에)

2. 디자인이 심플하다

(계속 써야 하는 기기니 디자인이 좋아야 하는 것은 당연하다고 생각하기에)

정도였다. 

ebook(epub만 가능), pdf를 e-ink로 볼 수 있으면서 그런 조건을 만족한다니 이게 좋겠다 싶었다.

검토 과정에서 후기들을 보니, 결론은 '극악의 가성비 및 사용성 제약' 때문에 "비싼 메모장"으로 불리는 것을 알게 되었다. 사실 그건 큰 장애물은 아니었지만, 구입을 주저할 만한 이유는 되었다. 더 신경 쓰였던 문제는 해상도였다. 컴퓨터로 메모한 것이나 그림 그린 것을 확대하면 해상도가 좋지 않게 나온다는 지적이 있었다(사실 사용해 보니 그런 건 큰 문제는 아니었을 것 같다. 소프트웨어 업그레이드로 개선한 문제인 것 같기도 하다. 컴터로 봐도 매끈하게 나온다).

리마커블2에 메모한 것 pdf로 내보내기 해서 pc로 확대해 본 결과(색깔 쓰기도 된다)


필기구 형태, 글씨 두께, 색깔(검, 회, 백, 파, 빨)을 변경할 수 있다 

해상도 문제가 개선되길 기대하며 reMarkable3가 나오면 사보자 생각하고 있었다. 그러길 2,3년의 시간이 흘러, re3가 나올 기미도 없고, re2를 사서 쓰다가 re3가 나오면 갈아타자 싶어서 주 초에 '중고나라'를 통해서 re2를 샀다. (신품은 너무 비쌌다. 마커, 커버 등을 갖추니 80만원이라니. 이건 아내의 결재를 받기 불가능했다)

그렇게 싸지도 않게(40) 중고를 구매했다. 커버와 마커는 re의 정품 커버와 머커는 아니고 별도 제품이 장착된 것이었다. 정가의 65% 정도 가격으로 구매한 셈인 듯하다.

커버와 마커

며칠 써보니 이 태블릿의 장단점은 극명했다. 단점이 워낙 유명하니 단점부터 짚어보면..


단점

1. 메모, 노트, 그림 그리기와 epub, pdf 읽기 및 주석 달기 외에는 할 수 있는 게 없다.

2. 어떤 어플도 깔 수 없다.

3. 고로 ebook리더기로 고려한다면 활용도가 무척 떨어진다. 어떤 ebook 어플도 깔 수 없으니 말이다. 다운로드 받은 epub 파일을 넣어 쓸 수는 있지만..

4. 웹 브라우저도 없다. 1번에 밝혔듯 이 태블릿은 쓰고, 그리고, 읽기만 가능하다.

5. 웹 클라우드 연결은 할 수 있지만, dropbox, google drive와 연동하려면 '구독 서비스' 상품에 가입해야 한다. 1년 무료에 이후 월 4.5천원 정도 한다고 한다. 이 부분은 분노를 금할 수 없는 부분이다. 아, 정책이 바뀐지 좀 되었는데, 확인을 못한 것이었다. dbox, gdrive 무료로 연동 가능하다. (다만 해당 웹 클라우드에 접근해서 파일을 읽을 수는 없고, 기기로 다운로드 해서 봐야한다는 불편함이 있다. 웹 클라우드에서 읽고 쓰기가 된다면 용량 문제는 완전히 해결될 수 있을 텐데, 아쉬운 부분이다.)

6. 커버와 함께 쓰면 무게가 좀 나간다. 700g 전후가 아닌가 싶다. 커버를 빼면 403g으로 가볍게 쓸 수 있다.

7. 필기감이 예상보다는 미끄럽다. 비정품 마커(펜) 문제일지도 모르겠다.

8. 한글 지원이 안 된다. 영어로 사용하는 데 지장이 없다면 큰 불편이 없을 수 있는 요소겠지만, 일단 한글 제목 파일이 깨진다는 게 문제다. 폴더명이나 기타 인터페이스 용어들은 그러려니 볼 수 있지만, 업로드(컴과 sync─usb로 보내는 게 아니다)한 파일을 분간하려면 일일이 영어로 바꿔줘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9. 한글 지원이 안 되니 당연히 한글 자판이 없다. 그러니 한글 문서 작업을 할 수 없다(타이핑할 수 없다). 오로지 메모로만 할 수 있고, ocr 인식도 불가능하다.

한글 타이핑용으로는 현재로선 사용 불가다

10. 파일이나 폴더에 한글이 표기되게 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작업을 해 줘야 한다('리마커블 한글'로 검색만 해도 방법은 알 수 있다. 외부 프로그램 이용해서 폰트─NotoSansKR-Regular.ttf─를 기기에 설치해서 그나마 대응할 수 있다(한글 파일명을 볼 수 있게 하려면 이 짓을 반드시 해야 한다. 태블릿에서 파일명을 한글로 입력하는 것이 가능해지는 건 아니다). 덧> 운영체제 업데이트 시마다 폰트 설치를 다시 해야 한다. 개킹받는 포인트!!

11. 이런데도 가격이 45만원 정도하고, 마커와 커버를 적당히 넣는다고 해도 35만원 정도가 추가 된다. 풀세팅을 하면 90만원에 육박한다. 확실히 욕 나오는 제품이다.

장점

1. 기능이 없다는 점. 이게 장점이 될 수 있는 이유는 오로지 주의를 빼앗길 요소가 없다는 데 있다. 스마트 기기는 집중을 유지하기 어려운 경우가 많다. 아이패드도 써 봤지만, 온전히 책을 보거나 필기에 집중한 경우는 거의 없었다. 특히 필기의 경우 느낌이 별로라서 타이핑은 해도 메모용으로 쓴 적이 거의 없었다.

어쨌든 이 점이 '어플을 깔지 못한다', '메일도 못 읽는다'(파일 첨부 메일 보내기 기능은 있다), '웹 서핑도 못한다', 'Ebook 리더기로도 못쓴다', '한글 지원이 안 된다'를 충분히 상쇄해 준다고 생각한다. 이런 판단은 자신이 하는 일이 무엇인가와 밀접하게 관련될 것 같다.

공부가 업인 자로서는 장시간 자료를 소화하는 집중력이 무척 중요하다. 그러기 위해서는 자료를 컴이나 아이패드 같은 곳에서 보는 게 별로 도움이 되지 않는다. 딴 짓 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게다가 일의 특성상 주로 보는 자료들이 pdf이다. 이 태블릿이 지원하는 유이한 파일 형태 중 하나다. 그러니 거의 없다시피 한 저 장점 하나에 40을 태워 볼 만하다고 생각한 것이다.

2. e-ink 태블릿이 제공해 주는 눈의 편안함. (이 태블릿만의 장점은 아니긴 하다)

3. 디자인, 무게

4. 종이 필기감을 충분히 느끼지는 못하는 것 같지만, 아이패드 같은 기기에서 느껴보지 못한 필기감이라는 것은 사실인 듯.


이 태블릿은 "비싼 메모장"이라는 평가에서 자유로울 수 없다. 장점1을 십분 누린다고 해도 가성비가 떨어진다는 느낌이다. 기기값이 20만원 정도만 되어도 가성비 균형이 얼추 맞춰질 것 같은 느낌이다. 정품 마커나 커버는 또 왜 이리 비싼지. 중고 가격으로도 가성비가 안 맞는 느낌이다.

아, 용량(6.57GB─팔기는 8GB로 파는데..)이 너무 적다고 느껴지는데, epub과 pdf만 들어가는 걸 고려하면, 크게 부족한 느낌은 아닌 것 같다(내가 가진 모든 자료를 태블릿에 넣겠다는 생각만 하지 않으면... 그때그때 보는 자료들만 넣어서 보면 문제가 없다는 느낌). 그래서 단점이나 장점에 언급하지는 않았다. 확실히 장점도 단점도 아니니까. 어플을 깔 수 있다면 큰 단점이었겠지만.

아울러 배터리가 생각보다는 빨리 달았다. 오래 간다고 하지만 논문 한 편 로딩해서 읽고 닫으면 2-3%는 떨어졌다. 하루에 10분 정도는 충전을 시키는 것 같다. 충전 없이 사용하면 길어야 3,4일 정도 사용할 것 같다. (원래 기대한 수준은 1주 이상이었다)

그러나 나는 '집중력'과 눈의 편안함을 샀다고 생각하고 있다. 저 많은 단점에도 불구하고 대체로 만족스럽게 쓰고 있다.

그래도 개선되길 바라는 것은 '한글 타이핑'과 dropbox나 google drive 무료 연결이다. 현재 연결 가능(다만, 연결해서 해당 파일을 보는 건 못하고 파일을 기기로 다운로드 해야 볼 수 있다. '이게 뭔 xxx이야' 싶다. 온라인으로 파일 보기를 못하다니, 21세기에...).


정리

Ebook리더기를 고려하면 사지 마시라.

눈 편한 태블릿 pc를 고려하면 사지 마시라.


메모, 노트 용으로 쓰면서 pdf, epub 파일을 주로 사용하는 경우라면 조금 고려해 볼 만하다.

여기에 '집중력'을 중시한다면, 꽤 괜찮은 선택일 수 있다.


집중력 고려한 별점: ★★★☆

글쓰기만 고려한 별점: ★★☆

눈 편한 태블릿 pc 기준: ☆


덧> 지우개 달린 정품 마커가 17.5만원, 안 달린 마커가 10만원 정도 하는데, 탭해서 지우개를 사용하는 게 생각만큼 불편하지는 않다. 굳이 더 비싼 걸 살 필요는 없을 것 같다.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위로가 없는 '차가운 종교학', Science of Religion을 생각하며

※이 글은 얼룩소 글(23.7.13)을 옮겨온 것입니다. ━━━━━━ ♠ ━━━━━━ 종교라는 주제를 다루려면 '위로'가 필요하다? 이 말을 저는 곳곳에서 확인하게 됩니다. 그 이야기를 좀 해 보겠습니다. 정재승 박사가 총괄자문 및 프리젠터로 참여한 다큐 시리즈 '뇌로 보는 인간'의 마지막 '종교' 편에 제가 자문으로 참여하여 아주 짧은 시간 출연한 경험이 있었습니다. 시청률이 높았던 편이 아니라서 사람들로부터 별다른 반응을 듣지는 못했습니다. 우연히 EBS 다큐를 보던 친구가 '야, 너 나왔더라...잠깐 ㅎㅎ', 이런 반응을 보인 예가 있었을 뿐입니다. 함께 자문에 참여한 구형찬 박사(인지종교학)가 종교학자로서는 메인이었기 때문에 당연한 일이었습니다. '뇌로 보는 인간' - 종교 편의 한 장면┃저는 입을 다물고 있습니다^^ 몇 년이 지나서 그때 나왔던 미디어 비평 기사를 볼 수 있었습니다. 미디어스 기사 캡쳐 해당 다큐에 대한 내용을 정리한 다음에 이런 논평을 내 놓았습니다. 미디어스 관련 기사 '위로가 없다'는 비판 을 볼 수 있었습니다. 예 그렇습니다. 종교라는 주제를 다룰 때 사람들은 그런 것을 기대하곤 합니다. '종교의 본질', '참된 의미' 같은 것을 발견하고, 뭔가 진리의 말씀이나 인생을 통찰할 수 있는 지혜를 얻기를 기대합니다. 그런 이야기를 하는 종교학도 존재합니다. '현대인의 종교는 병들었다'는 진단을 내리며 '고대인의 지혜'를 회복해야 한다는 메시지를 내거나 모든 종교에 담겨있는 가장 고귀한 가르침(가령 황금률 같은)은 모두 상통하고 그것이 인간이 향유해야 할 소박하지만 분명한 진리라고 이야기하는 예도 있습니다. 프리드리히 막스 뮐러┃출처: Wikimedia Commons 종교학의 아버지라고 불리는 막스 뮐러는 '종교학으로의 초대(Introduction to the Science ...

"뇌 회로는 친숙한 것, 중요한 것과 단순한 배경을 식별합니다."(논문 정리)

흥미로운 신경과학 연구 소개를 봤습니다. 친숙한 것과 중요한 것을 먼저 식별하는 뇌 경로에 관한 연구입니다. '신경종교학'에 참고가 되는 논문일 것으로 판단되어, 내용을 정리해 봅니다.  *  *  * Brain Circuit Identifies What’s Familiar, Important, or Just Background┃Neuroscience News.com 요약 : 과학자들은 기억과 감정을 통합하여 감각 정보를 빠르게 평가하는 이전에 알려지지 않은 뇌 회로를 발견했습니다. 내측후각피질(entorhinal cortex)과 해마(hippocampus) 사이의 이 직접 피드백 루프를 통해 뇌는 중요한 광경과 소리를 거의 즉시 우선순위를 정할 수 있습니다. 이전에 알려진 더 느린 경로와 달리, 이 회로는 관련 자극과 배경 소음을 구별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으며, PTSD와 자폐증과 같은 상태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이 발견은 뇌가 정보를 걸러내는 방식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감각 및 기억 관련 장애를 치료하기 위한 새로운 전략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 ∞∞∞ ───  익숙한 것을 한눈에 알아보는 뇌 회로, 해마의 비밀 우리는 왜 친숙한 얼굴이나 물건을 한눈에 알아볼 수 있을까요? 반대로 처음 보는 것은 어딘가 낯설게 느껴지곤 합니다. 이런 능력 뒤에는 우리의 기억 이 큰 역할을 합니다. 뇌의 해마(hippocampus)라는 부분이 과거의 기억을 보관하고 있다가, 현재 들어오는 감각 정보와 비교하여 이것이 익숙한지 새로운지 판단하도록 돕는 것이죠. 예를 들어, 해마는 “이건 예전에 봤던 거야” 혹은 “처음 보는 거네”라는 신호를 뇌의 다른 부분에 보내 우리의 인식을 조절합니다. 이 덕분에 우리는 중요한 새로운 정보 에 주의를 기울이고, 이미 아는 것은 배경 소음처럼 무시할 수도 있습니다. 해마는 특히 대뇌피질의 한 부분인 내후각 피질 (entorhinal cortex)과 긴밀히 소통합니다. 내후각 피질은 오감에...

한 해를 시작하는 날은 많다?│시간과 종교적 본능

※ 이 글은 '얼룩소'에 2023년 1월 2일에 게재했던 글입니다. (부제를 약간 수정) ─── ∞∞∞ ─── 1년의 시작점은 많습니다. 우리에게 익숙한 시간은 동지, 설, 정월대보름, 입춘 등입니다. 전에 이야기한 16세기 후반 프랑스의 신년 기념일들처럼( 참고 ) 같은 나라 안에서도 여러 신년 기념일이 있는 경우는 특이한 현상이 아닙니다. 왜 이렇게 되었을까요? 원래 지역적인 단일성은 있었을 겁니다. 특정 지역에서는 1월 1일이다, 이 동네는 음력 설이다, 이 동네는 입춘이다, 이렇게 말입니다. 이게 어떤 계기에 통합되는 과정을 거칩니다. 지역적으로 통일성을 가진 집단들이 묶여서 더 큰 집단으로 통합되면서 시간, 의례 등을 통합하는 과정이 뒤따르게 됩니다. 종교단체 수준에서도 진행이 되지만 국가 수준에서도 진행이 됩니다. 이 과정은 국가의 흥망성쇠, 종교단체의 흥망성쇠 등 집단 구속력의 변화에 따라서 부침을 겪으며 반복·중첩되었을 것으로 보입니다.  앞서 언급한 프랑스에서는 16세기에 신년 기념일을 단일화하려 했습니다. 한국에서는 그러한 노력이 19세기말 20세기에 시도되었습니다. 공식적인 수준에서 한 해의 시작일은 그렇게 하루 아침에 바꿀 수 있지만, 의례적으로 기념하는 첫 날은 쉽게 변화하지 않습니다. 이를 문화적 관성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선조들이 해왔던 대로 해야 한다는 의식으로 나타남). 여러 신년 기념일은 그런 통합의 힘에도 어떤 현실적 필요에 의해서 과거의 전승이 살아남아 그 흔적을 남긴 덕분입니다. 다만 해당 기념일을 현재에 활용하는 의미는 달라질 수 있습니다.  현재적 가치를 상실하게 된다면 사라질 운명을 일 겁니다. 그럴 경우 '고유한 문화를 지키자'는 운동이 표출될 수도 있습니다. 집단 정체성과 관련된 전통으로 선택되지 못하면 잊혀지는 것이고요. 동지 우리에게는 팥죽 먹는 날 정도의 의미만 남았습니다. 그러나 이 날도 과거에는 새해가 시작되는 날로 기념되었습니다. 그런 동지 축제가 신년 축제인 사례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