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4월, 2023의 게시물 표시

종교학 공부인의 '눈에 보이지 않는 지도책' 읽기

혼자 책을 읽을라 치면 이런저런 핑계를 대고 미루기 마련이다. '디지털 종교학' 관련 글을 쓰려고 샀다가 책장에 고이 모셔만 놨었는데, 같이 공부하는 세미나팀에서 이번에 읽기로 해서, 묵힌 숙제를 털었다. '눈에 보이지 않는 지도책'이란 제목에서 알 수 있듯이 지리적 정보만 보여주는 지도가 아니라 다양한 정보와 결합시킨 지도, 부제가 표시하듯이 '세상을 읽는 데이터'가 덧입혀진 지도를 보여주고 있다. 모든 데이터가 지리적 지도에 표시된 것은 아니었다. 그저 데이터 시각화 사례로 이야기할 수 있는 것들도 있었다. 이 책은 코로나19가 전지구적 전염병으로 떠오르던 시기에 마무리 작업이 이루어졌고, 그 분위기를 머리말에서 느낄 수 있다. 영국의 코로나19 사망자 시각화 지도로 시작한다. 머리말은 유니버시티 칼리지 런던 교수(지리정보학) 제임스 체셔(James Cheshire)에 의해서 쓰였다.  서문 은 이 책을 만들게 된 핵심적 아이디어를 참조가 된 메시지와 연구 사례를 통해서 제시한다. 게르하르트 리히터의 다음 말로 장이 시작된다. 보이지 않는 것 에 관하여 우리는 결론을 내릴 수 있고, 비교적 확실하게 그 존재를 상정할 수 있다. 하지만 그것을 표현하려면 유추하는 수밖에 없다. 보이지 않는 것을 의미하지만 눈에 보이는 방식으로만. -게르하르트 리히터 MIT 학생 케이티 보먼의 아이디어로 시작된 블랙홀 촬영, 로절린드 프랭클린이 DNA의 이중나선 구조를 밝힌 실험도 보이지 않는 것을 우리 눈으로 확인한 사례로 언급한다.  그렇지만 서문 내용 중에서 가장 중요한 참고 사례는 바로 자연철학자 훔볼트가 시도한 지도 시각화 사례였다. 실제로 그 작업을 구현한 것은 하인리히 베르크하우스였다. 훔볼트는 그에게 "전 세계 식물과 동물의 분포, 강과 바다, 활화산 분포, 자기 편각과 복각, 자기에너지 세기, 바다 조류, 기류, 산맥, 사막과 평원, 인종 분포, 산 고도와 강 길이 등을 표시한 지도"를 만들어 달라고

얼룩소에서 글쓰기 4개월, 공부인 '중년의 위기' 극복 프로젝트

순수하게 글만 써서 소득을 얻은 것은 처음이다. 강의나 연구재단 과제 말고는 순수하게 글만 써서 돈을 쥐어 본 적이 거의 없다. 그러고 보니 가끔 청탁 원고를 쓴 기억이 있긴 하다. 그걸 제외하고 '내 의지를 가지고 내가 문제를 설정해서 쓴 글', 그러니까 블로그에 썼었을 글로 돈을 번 것이 처음이다. 얼룩소 글쓰기는 정말 충동적으로 갑작스럽게 시작하였다. 공부를 같이 하는 대학원생 친구가 블로그에 글 쓸 거면, 얼룩소에 쓰면 원고료를 받을 수 있다고 해서 시작한 것이다. 아, 생각해 보니, 글 생산자 모집 공고가 있었다. 그 공모에 참여해 보려는 것도 소소한 동기가 되었다. 물론 도전 결과는 탈락이었지만. 내가 쓸 수 있는 글과 그쪽에서 '시장성' 있게 볼 수 있는 글과는 거리가 있지 않았을까 싶다. 공부하는 자의 글쓰기라는 한계가 있으니까. 아니, 내가 가진 콘텐츠의 한계일지도, 아니, 내 사고방식의 한계일지도 모르겠다. 글로 돈을 버는 것은 사실 주 목표는 아니었다. 그러나 동기부여의 요소는 되었던 것 같다. 1타 2피의 부수적 이익으로. 최소 1주일에 글 1개는 써 보겠다는 생각을 했다. 지금까지는 잘 지켜온 것 같다. 논문 작업으로 바쁠 때는 1주일에 1개를 썼지만, 여유가 되면 2개, 많으면 3개를 쓰기도 했던 것 같다. 확인해 보니 12월 말 쯤에는 1주일에 6개까지 쓰기도 했다(크리스마스와 동지 축제 글이 길어졌기 때문이지만). 그렇게 4개월의 시간을 보냈다. 작성글 39건, 원고량은 원고지로 1,500매는 넘기지 않았을까 싶다. 어느 정도를 더 써야 책이 묶일 수 있을지는 아직 감이 없다. 버릴 거, 축약할 거, 새로 써야 할 거를 고려하면 3,000매 분량 정도면 계산이 서지 않을까 싶다. 주 목표는 원고를 모으는 것이었다. 책을 만들려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시간 나면 써야지라고 생각하니 원고가 잘 써지지 않았다. 소소한 동기부여 요소지만, 정기적으로 글을 쓸 수 있게 되니까 애초 책을 기획했을 때는 생각해 보지

만우절 장난과 빙의의 관계

원글: 만우절 장난과 빙의의 관계│놀이와 주술적 사고 핵심요약 만우절은 신년 의례에서 기원했다. 신년 의례에서 빙의를 가장하여 귀신/유령 속이기 풍습이 존재한다. 귀신 속이기에 대해서는 다음의 영상을 참고하라. 귀신/유령 속이기는 '귀신 달래기'처럼 불운, 액을 막는 '예방 의례' 기능을 한다. 장난과 거짓말은 귀신을 속이기 위해 '귀신으로 가장'(빙의된)하는 연극과 관련된다. 장난과 거짓말은 액땜과 소규모 공동체의 해원과 관련된다. 자세한 내용은 본 글을 참고.